영어학습사전 Home
   

one after the other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Cambridge M-W M-W Thesaurus OneLook Google


by turns; (=one after the other, in rotation) 교대로
They kept watch by turns.

one after the other (=by turns, in rotation) : 교대로
They kept watch one after the other. (그들은 교대로 망을 보았다.)

In one disturbing incident, a 15-year-old middle school girl gave birth
to a child after going into labor in the classroom. She was belatedly
found to have been raped on her way home from school. In other cases,
an 11-year-old girl was raped continuously by at least 11 men who
lived in her neighborhood and a 14-year-old girl was repeatedly raped
by her landlord and his son.
한 어처구니없는 사건으로, 15세의 여중학생이 교실에서 진통후 아기를
낳았다. 그 여학생은 학교에서 귀가중 강간당했던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또 다른 사건으로, 11세 소녀가 인근 마을에 사는 11명의 남자들로부터 계
속해서 욕을 당했으며, 다른 14세의 소녀는 집주인과 그 아들로부터 반복
해서 추행을 당했다고 한다.

Well, as in most work situations, we have a problem here with communication.
That is, most managers do not want to hear people complain, and most employees are afraid to come right out and say what they feel.
They usually won't say what they like or don't like.
They may complain to each other during lunch or after work, but they do not complain directly to the manager.
It is important, however, for a manager to find out if he or she is doing a good job.
One way to do this is to give employees a chance to talk.
Employees need an opportunity to say what is wrong, what they don't like about the work situation, and what they would change to make their work better.
대부분의 직장 내에서, 우리는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다.
즉, 대부분의 경영자들은 사람들이 불평하는 것을 듣고 싶어 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고용인(근로자)들은 나서서 자신들이 느끼는 바를 말하기를 두려워한다.
그들은 대개 그들이 무엇이 마음에 들고 안 드는지 말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들은 점심시간이나 일과 후에 서로에게 불평을 할 수도 있으나 경영자에게 직접 불평을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경영자가 자신이 일을 잘하고 있는지를 알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그 한 가지 방법은 고용인들에게 말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
고용자들은 직장 내의 일과 관련하여 무엇이 잘못되었고, 무엇이 마음에 들지 않는지, 그리고 일을 더 잘하기 위하여 무엇을 바꾸고 싶은지를 말할 기회를 필요로 한다.

When other painful changes came along in later life, I always recalled my mother's words.
And recently, when a friend of mine was having a hard time dealing with the loss of his job, I gave him the same advice.
At first he couldn't accept it, but after a while, he came to see that this was one of the changes that happen to everyone.
In the end, losing a job motivated him to start his own business.
나중에 살면서 다른 고통스러운 변화들이 있었을 때, 나는 늘 어머니의 말씀을 떠올렸다.
그리고 최근에 내 친구 한 명이 실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나는 그에게 어머니가 내게 주신 그 충고를 해 주었다.
처음엔 그는 그 사실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그러나 얼마 후, 그는 이것이 모든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변화들 중 하나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결국, 실직으로 인해 그는 자신의 사업을 시작할 수 있게 되었다.

Two women seated directly across from me suddenly "fell" out of their seats, landed on the floor and started to moan.
바로 내 옆에 앉아있던 두 여자가 갑자기 의자에서 넘어져 바닥에 부딪혔고 신음하기 시작했다.
One said, "I think my neck is broken. Call a doctor."
한 여자가 말했다.
"목이 부러진 것 같애. 의사를 불러줘요."
The other yelled, "I hurt my back. Get me an ambulance."
다른 여자가 말했다.
"나는 등이 아파. 구급차를 불러줘요."
I was stunned.
나는 어안이 벙벙해졌다.
The "falls" occurred fully two minutes after the bus had stopped.
그 두 여자가 자리에서 바닥으로 떨어진 것은 버스가 정지하고 나서 완전히 2분 뒤였다.
The man sitting beside me whispered in my ear.
"Those women are looking to sue to transit company for injuries.
It's gotten to be quite a racket."
내 옆에 앉아 있던 한 남자기 내 귀에 대고 속삭이길, "저 여자들은 상해죄로 운수회사를 고소하려는 것 같다. 그러면 꽤 많은 보상금을 받는다."

In many cultures, people think that love and marriage go together―like bread and wine or meat and potatoes.
많은 문화권에서 사람들은 사랑과 결혼이 빵과 포도주 고기와 감자처럼 늘 함께한다고 생각한다.
They think that love is a necessary foundation for marriage and that you should love the person you marry before you get married.
그들은 사랑이 결혼에 필수적인 토대이고 당신이 결혼하기 전에 결혼할 사람을 사랑해야한다고 생각한다.
In other cultures, however, a man and woman may not even know each other before their wedding day.
그러나 또 다른 문화권에서는 남자와 여자가 심지어 결혼날까지 서로를 알지 못하는 수도 있다.
Romantic love is not essential to marriage in these cultures.
이러한 문화권에서는 낭만적 사랑은 결혼에 필수적이지는 않다.
These people expect that love will develop after the wedding if the marriage is a good one.
이러한 사람들은 만약 결혼이 잘 이루어지면 결혼후에도 사랑이 싹틀것이라 기대한다.
Your views on love and marriage come from your culture.
당신의 사랑과 결혼에 대한 견해는 문화로부터 온다.
Have you ever thought about that? What are your views?
당신은 그것에 대해 생각해본적이 있는가? 당신의 견해는 어떠한가?

*rattle 덜걱덜걱 소리내다 make short, sharp sounds quickly, one after the other:
바람이 창문을 덜컥거리게 했다
The wind rattled the windows.

After parking our car at my daughter's apartment late Saturday night,
I noticed the one next to it had its lights on. I left a note on the
windshield with the telephone number, saying I'd come down and give
the battery a boost if needed.
About 3 a.m. the phone rang and a man said, "I'm sorry to bother you,
but I read your note and sure would appreciate a boost."
I turned on my car lights to see what we were doing, and after I got
him started, he offered to pay me. "No thanks," I replied. "Just
help some other motorist sometime."
When I went to my car on Sunday morning, I discovered I had left
my lights on, and the battery was dead.
지난 토요일 밤 딸의 아파트에 차를 세운 후 옆에 있는 차에 불이 켜져
있는 것을 보았다. 나는 전화번호와 함께 필요하면 내려와서 밧데리를
충전해 주겠다는 쪽지를 차창에 끼워놓았다.
새벽 3시경 전화 벨이 울리며 한 남자가 말했다. "폐를 끼쳐 죄송하지만
댁의 쪽지를 읽었습니다. 밧데리 충전을 받을 수 있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우리가 작업을 하는 동안 내 차의 불을 켜놓았다. 그가 차를 움직일 수
있게 되었을 때 그는 내게 돈을 지불하려 했다. "괜찮습니다," 나는
대답했다. "언제든 다른 사람을 도와주도록 하세요."
일요일 아침 내 차로 갔을 때, 불을 켜놓아서 밧데리가 나간 것을 발견했다.

One evening my husband's golfing buddy drove his secretary home after she
had imbibed a little too much at an office reception. Although this was
an innocent gesture, he decided not to mention it to his wife, who tended
to get jealous easily.
Later that night my husband's friend and his wife were driving to a
restaurant. Suddenly he looked down and spotted a high-heel shoe half
hidden under the passenger seat. Not wanting to be conspicuous, he waited
until his wife was looking out her window before he scooped up the shoe
and tossed it out of the car. With a sigh of relief, he pulled into the
restaurant parking lot. That's when he noticed his wife squirming around
in her seat. "Honey," she asked, "have you seen my other shoe?"
남편의 골프 친구는 어느 날 비서를 집까지 태워주었다. 그녀가 사무실 회식
때 과음했기 때문이었다. 흉이 될 일은 아니지만 강짜가 심한 아내에게 말하지
않기로 했다.
그날 밤늦게 남편의 친구 부부는 차를 타고 레스토랑에 가고 있었다. 문득
아래를 보니 앞좌석 밑에 하이힐 하나가 살짝 보였다. 눈에 띄지 않기 위해
아내가 창 밖을 바라볼 때까지 기다렸다가 신발을 집어 차창 밖으로 던졌다.
안심을 하고 그는 레스토랑 주차장으로 들어섰다. 그때 아내가 자리에서
두리번거리는 것을 보았다. "여보," 그녀가 물었다. "내 신발 한 짝 못봤어요?"

At one home on my husband's letter-carrying route, the dog on the other
side of the mail slot always barked excitedly and eagerly grabbed the mail.
One day the dog's owner explained that the spaniel had started bringing
the mail upstairs soon after he got him, so he was promptly rewarded with
a treat.
After several months there was a slight change in procedure: the dog
still delivered the mail upstairs―but only one piece at a time.
남편의 우편배달 구역 중 어느 집에서는 우편함 건너 편에 있던 개가 항상
흥분해서 짖어대며 우편물을 열심히 낚아챘다.
어느 날 개 주인은 그 스페니엘 개가 그의 집에 온 첫날부터 우편물을
가져다주기 시작해서 즉시 상을 주었다고 설명했다.
몇 개월 후부터 개는 방법을 약간 바꾸었다. 우편물을 이층까지 배달하기는
했지만 한 번에 한 개씩만 가져다주었다.

As men and beasts get used to each other, kindness and understanding may
slowly develop on one side, trust on the other. Both sides would gain by
it. "After all," says a zoo director, "the zoological garden is the only
piece of 'wilderness' that most people will ever see ; while it does much
to protect the animals, it performs a valuable service for humanity
itself."
사람들과 짐승들은 서로에게 익숙해지면서, 한 쪽은 친절과 이해심이 다른 한
쪽은 신뢰감이 서서히 발달될 수 있다. 양쪽 모두 그것으로 얻는 것이 있을
것이다. "결국, 동물원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계속해서 보게될 유일한
야생지의 일부이다. 그리고 그것은 동물들을 보호하는데 크게 기여하면서,
동시에 인간 자신을 위해서는 귀중한 도움을 주고 있다." 라고 어떤 동물원
원장이 말했다.

My best school report was in the first grade from Mrs. Varulo. First,
she told my parents about my amazing physical energy: "Lisa never tires
of chasing and punching her classmates." Next, she praised my class
participation and active, questioning mind: "After every
instruction--even one as simple as 'Please take out your pencils'--Lisa
asks 'Why?'" Mrs. Varulo was so impressed with my vocabulary that she
commented, "I don't know where Lisa has picked up some of the words she
uses, certainly not in my classroom." Somehow she even knew I would
become a famous fiction-writer. "More than any other student I have ever
had," she wrote, "Lisa is a born liar."
나의 최고의 성적표는는 Mrs. Varulo로부터 받은 1학년 때 였다. 첫째로,
그녀는 나의 부모님께 놀라운 나의 체력에 대해 말했다 : "Lisa는 급우들을
좇아가서 때리는 데 결코 지치는 적이 업죠." 그 다음으로, 그녀는 나의 수업
참가와 능동적이고 질문하는 정신을 칭찬했다 : "매 지시 후마다, 심지어
'연필을 꺼내'라는 간단한 지시 후에도 Lisa는 '왜요'라고 묻죠. " Mrs.
Varulo는 내 어휘에 매우 감명을 받아서 "나는 Lisa가 사용하는 어떤 어휘들은
어디서 줏어 들었는지 모르지만 확실히 우리 교실에서는 아니죠."라고 말했다.
심지어 그녀는 내가 유명한 소설가가 될 것이라고 알았다. "내가 가르친 어느
학생보다 Lisa는 타고난 거짓말쟁이 예요."라고 그녀는 썼다.

< Hard To Say I'm Sorry > by Chicago
==================================
"Everybody needs a little time away,"
누구나 잠깐은 떨어져 있을 필요가 있어요
I heard her say, "from each other."
서로로부터요 하고 그녀가 말하는 것을 들었지.
"Even lovers need a holiday
사랑하는 이들조차도 휴일은 필요한 거예요
far away from each other."
서로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만한
(즉, 서로에게서 떨어져 생각할 시간이 필요한 것을 돌려서 말했습니다.)
Hold me now.
지금은 절 안아 주세요
It's hard for me to say I'm sorry.
미안하다는 말을 하기가 힘들군요.
I just want you to stay.
그냥 당신이 곁에 머물기를 원해요.
[반복]
After all that we've been through,
좋은 것 싫은 것을 모두 함께 한 지금
I will make it up to you.
당신에게 보답을 하겠어요.
I promise to.
그렇게 하도록 약속할께요.
And after all that's been said and done,
그렇게 들었고 또 그렇게 해 온 지금
(즉, "약속을 지키겠다고 했고, 지켜 온 지금"으로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You're just the part of me
당신은 이제 저의 일부분입니다.
I can't let go.
그냥 떠나 보낼 수는 없죠.
Couldn't stand to be kept away
멀리한다는 것은 참을 수 없어요.
just for the day from your body.
당신으로부터 하루라도 (멀리한다는 것은)
Wouldn't wanna be swept away,
기억에서 지워지는 것은 싫어요
far away from the one that I love.
내가 사랑하는 사람으로부터 멀리 (또는 아득히)
Hold me now.
저를 안아 주세요
It's hard for me to say I'm sorry.
미안하다는 말을 하기가 정말 힘드네요.
I just want you to know.
그 점을 알아주었으면 해요.
Hold me now.
안아 주세요.
I really want to tell you I'm sorry.
정말 당신에게 미안하다는 말을 하고 싶어요.
I could never let you go.
저는 절대로 당신을 제 곁에서 떠나 보내드릴 수 없어요.
You're gonna be the lucky one.
당신은 (머무른다면) 행복한 사람이 될 수 있어요.
(즉, 그렇게 해주겠다는 말입니다.)

At the same time, other aspects of the Punk Look appealed not only for
attention, but for the love and care that we give to very small
children, especially to injured ones. After all, where else had we seen
that fluffy hair, those pale scratched faces and scraped knees, those
torn shirts and jeans? As for that Punk trade- mark, the outsize safety
pin stuck through a cheek or earlobe, it could not help but remind every
mother of the awful moment when she ran one just like it into her
darling instead of his nappie.
동시에, 펑크족의 모습의 또 다른 면은 주목을 끌려는 호소였을 뿐만 아니라,
또한 우리가 매우 어린 아이, 특히 다친 아이들에게 주는 사랑과 보살핌에
대한 호소였다. 결국, 펑크족들의 푸한 머리, 성처입은 창백한 얼굴, 해어진
무릎, 찢겨진 셔츠와 청바지 차림을 달리 어디서 본적이 있었던가? 펑크족의
트레이드마크라 할 수 있는 뺨 또는 귓불에 꽂은 커다란 옷핀에 대해서
말하자면, 어머니들이 그와 유사한 핀을 기저귀가 아닌 그녀의 사랑하는
아기에게 찔렀었던 끔찍했던 순간을 모든 어머니에게 상기시키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John's Diary]
출근 시간이 지나 배차 간격도 늘어났을 테니 극장까지 가려면
꽤나 시간이 걸릴 것 같다. 한 정거장만 가면 되는데… 오늘 왜
일이 자꾸 꼬이지? 시간은 시간대로 늦고 돈만 버리고, 되는 일이
없네. 차라리 뛰어갈 걸 그랬나 보다. 10여분이 지나자 열차가
들어오는 소리가 들렸다. 사람들이 우루루 열차문 앞에 몰렸다.
뒤에 있던 한 뚱뚱이 아줌마가 내린다음 타라는 안내방송에는
아랑곳 하지 않은채 내리는 사람들사이를 비집고 들어갔다.
It was passed the rush hour and they must have increased the
train intervals. It would take much longer than usual to get
to the theater, I thought. Shit! The theater was just a stop
away. What a day! Wasted time and money for nothing! At this
point I began to think that I should have tried running to
the theater. After about 10 minutes, I heard the next train
pulling in. People didn't bother to line up and stormed
towards the train. The PA system cranked out a warning to get
on the train in an orderly fashion, but that didn't prevent
the fat lady behind me from jumping the line and forcing her
way through the crowd.
1. It was passed the rush hour: 어느 시점을 두고 그 시점을
지났다고 할 때 It is passed ~를 씁니다.
2. They must have increased the train intervals: Train
intervals는 열차 배차 간격을 말합니다.
Must have + 과거분사는 "분명히 무엇무엇했을 것이다"라는
추정을 말하는 것이구요.
She must have missed the train, or she should be here by now.
열차를 놓친 게 분명해, 안 그러면 지금쯤 왔을 텐데.
3. It would take much longer than usual: 여기서 would를 쓴
것은 "아마도 그럴 것이다"의 의미입니다. Will에도 추정의
의미가 있습니다.
4. Get to the theater: 도착하다는 arrive를 흔히 쓰지만,
구어체에서는 get to가 더 일반적이지요.
When you get there, please call me.
거기 도착하거든 전화 좀 해.
5. For nothing: 거저라는 의미지요. 여기서는 소득도 없이
시간과 돈을 낭비했다는 의미입니다. Good for nothing이라는
말도 있는데요 아무짝에도 쓸모 없다는 말입니다.
You're good for nothing.
이 아무짝에 쓸모없는 놈아.
6. Pulling in: 자동차나 기차 등이 서서히 자기쪽으로 오는 것을
pull in한다고 합니다. 여기서는 플랫폼으로 들어오는 것을
말하지요.
7. Didn't bother to line up: 줄을 서려고 애쓰지 않았다는
말이지요. Bother는 원래 일부러 수고를 해서 무엇무엇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 귀찮은 걸 무릅쓰고 도와주려 한다면,
Please, don't bother. It's too much of a hassle.
아이, 안그러셔도 됩니다. 너무 귀찮은 일이잖아요.
부정의 의미로 쓰이면, "신경을 전혀 쓰지 않는다"의 의미가
됩니다.
Line up은 줄을 선다는 뜻입니다.
8. Stormed towards the train: Storm은 폭풍우를 말합니다.
폭풍우가 몰아치 듯이 와르르 몰려드는 것도 storm이지요.
The loan sharks stormed into my office.
사채업자들이 사무실로 몰려들었다.
9. The PA system cranked out a warning: PA는 public
announcement의 약자입니다.
Crank out은 시끄럽게 내질르는 걸 말하지요. 무더기로
생산한다는 의미도 있지요.
Crank it up이라는 말도 잘 쓰는 데요. 볼륨을 높이라는
뜻입니다.
10. Jumping the line: 새치기하는 걸 말합니다. 줄을 건너 뛰는
것이지요.
Jump the queue는 영국식 영어지요. Jump the gun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달리기 선수들이 총을 쏘기도 전에 뛰어나가는 걸
말하지요. 비유적으로도 씁니다.
11. Force one's way through: 동사 + one's way + 전치사 형태는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구문입니다. 한번 살펴볼까요?
He forced his way through the crowd.
사람들을 헤집고 들어갔다.
He elbowed his way into the bus.
팔꿈치로 밀고 버스 안으로 들어갔다.
He felt his way out of the room.
(어둠속에서) 더듬거리며 방을 빠져나갔다.
웬만한 타동사는 모두 이렇게 만들 수 있지요. 숙어라고 외우지
마시고 응용을 해보세요.
She kept up the relationship with them. (그 사람이들이랑 계속
연락했어.)
자주 만나지는 못하더라도 편지나 전화 등으로 연락을 하면 관계는 유지되지요.
그렇게 관계를 유지하는걸 keep up the relationship (with someone)이라고 합니다.
그냥 keep up with someone만 써도 같은 뜻이예요.
They've kept up with each other even as they broke up.
그들은 깨진 뒤에도 계속 연락해왔다.
I try to keep up the relationship with those I met when I
worked as a teaching student.
교생 실습 때 만난 사람들과 계속 연락해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하고 있다.
*교생: teaching student

그러나 고위공직자가 사모펀드에 투자한 뒤, 사모펀드에 정부의 정책 방향을 미리 귀띔해주면 사모펀드는 다른 투자자보다 한발 앞서 투자를 해 높은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
However, if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tip the private equity fund about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in advance after they invest in the private equity funds, they can invest one step ahead of other investors and earn high capital gains.

업계에서는 일부 은행이 금감원의 조정안을 수용하면 다른 은행의 의사결정에도 줄줄이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The industry expects that if some banks accept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mediation plan, it will affect other banks' decisions one after another.

에스모가 신규사업 진출, 경영컨설팅 등의 목적으로 출자했던 법인들의 장부가액이 크게 떨어졌다는 얘기인데, 전문가들은 "공시 하루 만에 이렇게 밝히는 것은 상당히 예외적"이라고 했다.
In other words, the book value of corporations that ESMO invested in to enter new businesses and consult management has fallen significantly, and experts said, "It is quite exceptional to make such an announcement just one day after the disclosure."

업계 한 관계자는 "라임펀드 이후 호주·독일 부동산과 이탈리아 의료비 채권, 디스커버리, 개인 간(P2P) 금융에 이어 육류담보까지 줄줄이 만기 상환에 실패하면서 사모펀드에 대한 투자자 불신이 계속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An industry official said, "After Lime Fund, investor distrust in private equity funds continues to grow as Australian and German real estate, Italian medical bonds, Discovery, P2P financing, and even meat loans have failed to make redemption at maturity, one after the other."

건물주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경제난을 겪는 소상공인을 위해 잇따라 임대료 인하에 동참하고 있다.
Building owners are participating one after the other in cutting rent for small business owners suffering from economic difficulties due to the novel coronavirus infection.

이 같은 '기업사냥'을 여러 차례 반복해왔던 것으로 드러난 김씨 등은 수사가 시작되자 줄줄이 해외 등지로 줄행랑을 치기도 했다고 검찰은 밝혔다.
Kim and others, who were found to have repeated such "corporate hunting" several times, ran away to overseas and other places one after another when the investigation began, prosecutors said.

보고서에 따르면 한 환자 침실에서는 일상적인 청소를 하기 전에 샘플을 추출했고, 다른 두 환자의 방에서는 소독 조치 이후에 샘플을 얻었다.
According to the report, samples were taken before routine cleaning in one patient's bedroom, and after disinfection measures in the other two patients' rooms.

이 가운데 한 명은 완치 후 재확진된 환자고 다른 한 명은 감염경로를 조사 중이다.
One of these patients is re-confirmed after cure and the other is being investigated over the route of infection.

앞서 해당 팀장과 접촉했다 자가격리 중이었던 분당구보건소 다른 팀장 1명과 직원 2명도 지난 25일과 27일 잇따라 코로나19에 감염돼 격리 치료중이다.
One other team leader and two employees of Bundang-gu Health Center, who had contacted the team leader in question earlier and have been in self-isolation, are also infected with COVID-19 one after another on the 25th and 27th and are treated in isolation.

이 변호사가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이틀만인 4일부터 추가 확진자가 줄줄이 나오기 시작했다.
On the 4th, two days after the lawyer was confirmed, the number of additional confirmed cases began to appear one after the other.

다만, 치매를 조기에 치료하기 시작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5년 뒤 요양시설에 입소할 가능성을 4분의1 수준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However, early treatment of dementia can reduce the likelihood of entering a nursing facility after 5 years by one-fourth compared to other cases, so it is most important to start treatment early.

연구팀은 생후 8주가 지난 암수 생쥐 40마리를 2개 집단으로 나눠 한 그룹에는 고지방 식단만 섭취하도록 하고 다른 그룹에는 일반적 식사를 제공했다.
The research team divided 40 male and female mice after 8 weeks of age into two groups, and they had given only high-fat diets to one group and a regular diet to the other group.

Reporter: This is Columbus University, one of our great centers
of higher learning.
(여기는 우리나라의 위대한 고등교육기관 중의 하나인 콜롬
버스 대학입니다.)
One of them was a gunman, who TOOK HIS OWN LIFE after
killing two other students.
(그들 중 한 명은 다른 학생 두 명을 죽인 후 스스로 목숨
을 끊은 총격수였습니다.)
But the lesson that was taught here today was one of
how good things can go tragically wrong.
(그러나 오늘 여기서 가르쳐진 교훈은 좋은 일들이 어떻게
비참하게 잘못 될 수 있는지 였습니다.)
A multicultural Peace Fest, organized by the students
in the interest of campus unity, has ended with three
people dead.
(대학내 단합을 위해 학생들에 의해 추진된 다문화 평화 축
제가 세 명의 사망자를 낳고 끝났습니다.)
One was a gunman, who took his own life after killing
two other students.
(한 명은 다른 학생 두 명을 죽인 후 스스로 목숨을 끊은
총격수였습니다.)
The mayor, we understand, IS ON HIS WAY HERE TO THE
CAMPUS AS WE SPEAK.
(우리가 알고 있기로는 시장님께서 방송이 나가는 바로 이
순간에 여기 이 대학으로 오는 길이라고 합니다.)

As stated above, section 777 of the Act permits the DOC to use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for the duration of an entire proceeding, from initiation to termination or
revocation. Although IA may have access to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from
another segment of the proceeding, IA may not base a decision on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that is not on the record of the particular segment of the proceeding. 19 CFR
351.306(b) deals with the use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by parties from one
segment of a proceeding to another. Generally, the APO authorizes parties to retain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for two additional segments after the segment in which
the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was submitted (i.e., two subsequent consecutive
administrative reviews, or in any other segment initiated during those two administrative
reviews). An authorized applicant may place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received in
one segment of a proceeding on the record of additional segments as classified but only if
the information is relevant to an issue in the subsequent segment. Once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is placed on the record of a subsequent proceeding, it remains a
permanent addition to the later record.
위에 명시된바와 같이 법 제777조는 상무부가 착수로부터 종결 또는 취소
의 전기간동안 영업비밀정보를 이용하도록 허용한다. 비록 수입행정실이
다른 절차로부터 영업비밀정보에 접근할 수 있지만, 특정 절차상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영업비밀정보를 결정의 근거로 할 수는 없다. 19 CFR 351.306(b)
에서는 이해당사자가 한 절차에서 다른 절차로 옮겨져서 영업비밀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행정보호명령에 의하면
이해당사자는 영업비밀정보가 제출된 절차후의 2개의 추가 절차에 영업비밀
정보를 계속 보유할 수 있다 (즉, 두 연속적인 행정심사, 그렇지 않으면 두
행정심사 기간중 착수된 다른 어떤 절차에). 권한 있는 신청인은 정보가 다음
절차의 당면 문제와 관련되는 경우로 분류되는 경우에만 전단계에서 받은 영
업비밀을 다음단계의 기록으로 할 수 있다. 일단 영업비밀정보로 이어지는
진행절차상에 기록되면 그것은 그후의 기록에 변화 없이 추가된다.

가. 봉
(a) Bars and rods
"봉"이란 압연ㆍ압출ㆍ인발(引拔)ㆍ단조(鍛造)제품으로서 코일 모양이 아니어야 하고, 그 횡단면이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고 중공(中空)이 없으며, 원형ㆍ타원형ㆍ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ㆍ정삼각형·볼록정다각형["편평화한 원형"과 "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하며, 이들은 마주보는 두 변이 볼록한 호(弧) 모양이고 다른 두 변은 직선이며 길이가 같고 평행한 것이다]인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횡단면이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ㆍ삼각형ㆍ다각형인 물품은 전체 길이에 걸쳐 둥근 모양의 모서리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횡단면이 직사각형("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인 물품은 그 두께가 폭의 10분의 1을 초과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또한 위와 동일한 모양과 치수를 가진 주조 제품이나 소결(燒結) 제품으로서 제조된 후 단순한 트리밍(trimming)이나 스케일 제거(de-scaling) 이외의 다른 연속가공을 거친 것도 포함한다. 다만, 다른 호에 해당하는 물품이나 제품의 특성이 있는 것은 제외한다. 그러나 제74류의 와이어바(wire-bar)와 빌릿(billet)으로서 선재[와이어로드(wire-rod)]나 관(管) 등으로 제조할 때 단순히 기계에 투입하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끝을 가늘게 하거나 그 밖의 다른 가공을 한 것은 제7403호의 구리의 괴(塊)로 본다. 이 규정은 제81류에 해당하는 물품에도 준용한다.
Rolled, extruded, drawn or forged products, not in coils, which have a uniform solid cross-section along their whole length in the shape of circles, ovals, rectangles (including squares), equilateral triangles or regular convex polygons (including “flattened circles” and “modified rectangles”, of which two opposite sides are convex arcs, the other two sides being straight, of equal length and parallel). Products with a rectangular (including square), triang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may have corners rounded along their whole length. The thickness of such products which have a rectangular (including “modified rectangular”) cross-section exceeds one-tenth of the width. The expression also covers cast or sintered products, of the same forms and dimensions, which have been subsequently worked after production (otherwise than by simple trimming or de-scaling), provided that they have not thereby assumed the character of articles or products of other headings.Wire-bars and billets of Chapter 74 with their ends tapered or otherwise worked simply to facilitate their entry into machines for converting them into, for example, drawing stock (wire-rod) or tubes, are however to be taken to be unwrought copper of heading 74.03.This provision applies mutatis mutandis to the products of Chapter 81.

WHERE IT'S AT - Names for a common symbol
-
The @ symbol has been a central part of the Internet and its forerunners ever
since it was chosen to be a separator in e-mail addresses by Ray Tomlinson in
1972.
@ 기호는 1972년 Ray Tomlinson이 이메일 주소의 분리자로 선택하고나서 인터넷과
인터넷 선봉자들의 중심부분이 되어 왔다.
From puzzled comments which surface from time to time in various newsgroups,
it appears the biggest problem for many Net users is deciding what to call it.
그것을 어떻게 불러야 하는가 하는 문제가 다양한 뉴스그룹에 때때로 올라오는
당황스러운 의견들로 시작해서 많은 인터넷사용자들의 가장 큰 문제로 떠올랐다.
This is perhaps unsurprising, as outside the narrow limits of bookkeeping,
invoicing and related areas few people use it regularly.
이것은 부기, 송장작성 및 관련분야에서 극히 일부의 사람들만 @를 계속 사용해오던
것이었기 때문에 놀랄만한 일은 아니다.
Even fewer ever have to find a name for it, so it is just noted mentally
as something like "that letter a with the curly line round it".
@의 이름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적었기 때문에 그냥 "a에 꼬부랑꼬리가 붙어
있는 글자" 따위로 대충 불러지기도 했다.
-
It use in business actually goes back to late medieval times.
그것이 비즈니스에서 실제로 쓰여지기 시작한 것은 중세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It was originally a contraction for the Latin word ad, meaning
"to, toward, at" and was used in accounts or invoices to introduce the price
of something ("3 yds of lace for my lady @ 1/4d a yard").
@는 원래 "-로, -쪽으로, -에"를 의미하는 라틴어 ad의 축약형이었고
어떤 물건의 가격을 표시하기 위해 회계나 송장에 쓰여졌었다.
In cursive writing, the upright stroke of the 'd' curved over to the left
and extended around the 'a'; eventually the lower part fused with the 'a'
to form one symbol.
필기체에서는 d의 수직획은 왼쪽으로 굽어져서 a를 감싸는데까지 나간다.
결국은 아랫부분은 한 자로 만들어지기 위해 a에 흡수되었다.
Even after Latin ceased to be commonly understood, the symbol remained in use
with the equivalent English sense of at.
라틴어가 일반적으로 통용되던 시절이 끝나고도 그 기호는 영어의 at와 동등한
의미로 남아서 사용되었다.
-
Because business employed it, it was put on typewriter keyboards from
about 1880 onwards, though it is very noticeable that the designers of
several of the early machines didn't think it important enough to include
it (neither the Sholes keyboard of 1873 nor the early Caligraph one had it,
giving preference to the ampersand instead), and was carried over to the
standard computer character sets of EBCDIC and ASCII in the sixties.
비즈니스에서 @가 채용되었기 때문에 1880년경부터 타자기 자판에 추가되었다.
하지만 초기 타자기를 디자인하는 사람들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도
주목할 일이다.(1873년의 숄즈 자판과 초기 캘리그래프모델은 @자판 대신에
&를 두었었다.) 이것이 1960년대의 EBCDIC과 ASCII 문자세트에 반영되었다.
From there, it has spread out across the networked world, perforce even
into language groups such as Arabic, Tamil or Japanese which do not use
the Roman alphabet.
이후 네트웍이 발달하면서 그것은 전세계에 전파되어 로마자를 쓰지 않는
아라비아어, 타밀어, 일본어 등의 언어군에도 적용되었다.
-
A discussion on the LINGUIST discussion list about names for @ in various
languages produced an enormous response, from which most of the facts which
follow are drawn.
언어학자들의 토론거리로 @를 여러가지 언어에서 어떻게 부를 것인가가 등장하면서
많은 반응을 일으켰고 많은 사건이 일어났다.
Some have just transliterated the English name 'at' or 'commercial at'
into the local language.
어떤 사람들은 영어이름 at나 commercial at를 그나라말로 번역하기도 했다.
What is interesting is that nearly all the languages cited have developed
colloquial names for it which have food or animal references.
재미있는 것은 대부분의 언어에서 구어체 이름으로 음식이나 동물을 의미하는
단어가 붙여졌다는 것이다.
-
In German, it is frequently called Klammeraffe, 'spider monkey' (you can
imagine the monkey's tail), though this word also has a figurative sens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English 'leech' ("He grips like a leech").
독일에서는 Klammeraffe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거미원숭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독자는 원숭이의 꼬리를 연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이름은
영어의 leech(거머리)(그는 거머리같이 잡았다)가 모양을 묘사하는 것과 비슷한
점이 있다.
Danish has grisehale, 'pig's tail' (as does Norwegian), but more commonly
calls it snabel a, 'a (with an) elephant's trunk', as does Swedish,
where it is the name recommended by the Swedish Language Board.
덴마크말에서 @를 지칭하는 것으로 돼지꼬리라는 의미의 grisehale(노르웨이어로도
마찬가지이다)이 쓰이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snabel a(코끼리 코가 달린 a)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다. snabel a는 스웨덴의 스웨덴어위원회에서 추천된 스웨덴말
이기도 하다.
Dutch has apestaart or apestaartje, '(little) monkey's tail' (the 'je' is
a diminutive); this turns up in Friesian as apesturtsje and in Swedish
and Finnish in the form apinanhanta.
네덜란드말에서는 (작은)원숭이꼬리라는 의미의 apestaart 또는 apestaartje가
있다.(je는 약한 느낌을 주는 접미사) 이 말이 프리즐랜드어로는 apesturtsje가
되고 스웨덴어와 핀란드어로는 apinanhanta가 되었다.
Finnish also has kiss"anh"anta, 'cat's tail' and, most wonderfully, miukumauku,
'the miaow sign'.
핀란드어로는 고양이꼬리의 의미로 kissanhanta라는 말을 쓰기도 하고 가장 특이한
이름으로 고양이울음소리인 miukumauku라는 단어를 쓰기도 한다.
In Hungarian it is kukac, 'worm; maggot', in Russian 'little dog',
in Serbian majmun, 'monkey', with a similar term in Bulgarian.
헝가리말로는 kukac(벌레, 구더기), 러시아어로는 작은 개, 세르비아어로는
majmun(원숭이, 불가리아어도 비슷하다)이 쓰인다.
Both Spanish and Portuguese have arroba, which derives from a unit of weight.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에서는 중량단위에서 온 arroba가 있다.
In Thai, the name transliterates as 'the wiggling worm-like character'.
태국에서는 꼬물거리는 벌레 모양의 글자로 직역되는 이름을 쓴다.
Czechs often call it zavin'ac which is a rolled-up herring or rollmop;
the most-used Hebrew term is strudel, from the famous Viennese rolled-up
apple sweet.
체코에서는 동그랗게 만 청어, 청어요리의 의미인 zavinac으로 부르는 경우가 흔하고
히브리어로는 비인의 유명한 요리인 말린 애플스위트에서 온 strudel이 많이 쓰인다.
Another common Swedish name is kanelbulle, 'cinnamon bun', which is rolled up
in a similar way.
스웨덴에서 자주 쓰이는 이름으로 비슷한게 말린 '감빵'의 의미인 kanelbulle가 있다.
-
The most curious usage, because it seems to have spread furthest from its
origins, whatever they are, is snail.
말의 기원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보이면서도 널리 퍼져있어 신기하게 보이는
용법으로 달팽이가 있다.
The French have called it escargot for a long time (though more formal
terms are arobase or a commercial), but the term is also common in Italian
(chiocciola), and has recently appeared in Hebrew(shablul),
Korean (dalphaengi) and Esperanto (heliko).
프랑스에서는 오랫동안 escargot로 불러왔고(arobase나 a commercial이 좀더
정식 표현이긴 하지만) 이탈리아어로 chiocciola, 최근의 히브리어에 shablul,
한국어의 달팽이(골뱅이가 더많이 쓰임:역자 주), 에스페란토어의 heliko 등이
똑같이 달팽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
In English the name of the sign seems to be most commonly given as at or,
more fully, commercial at, which is the official name given to it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haracter sets.
영어로는 at, 완전하게는 commercial at가 가장 보편적으로 통용되고 있고
이것이 국제표준 문자세트에서의 공식명칭이다.
Other names include whirlpool (from its use in the joke computer language
INTERCAL) and fetch (from FORTH), but these are much less common.
다른 이름으로 whirlpool(소용돌이모양)(컴퓨터 은어로 사용된데서 유래한),
fetch(forth에서 유래한)가 있으나 훨씬 덜 사용된다.
A couple of the international names have come over into English:
snail is fairly frequently used; more surprisingly, so is snabel from Danish.
두개의 국제적인 이름이 영어로 넘어오고 있는데 snail이 꽤 자주 사용되고
놀랍게도 덴마크말인 snabel도 자주 사용되는 경향이다.
-
Even so, as far as English is concerned at is likely to remain the standard
name for the symbol.
그래도 영어로는 아무래도 at가 @에 대한 이름의 표준으로 남아 있다.
But there is evidence that the sign itself is moving out from its Internet
heartland to printed publications.
그러나 @ 기호 자체가 인터넷 중심부에서 인쇄매체로 넘어가고 있는 징후로 해석될
증거가 있다.
Recently the British newspaper, the Guardian, began to advertise
a bookselling service by post, whose title (not e-mail address)
is "Books@The Guardian". Do I detect a trend?
최근 영국 신문 Guardian에서는 서적 우편판매서비스를 광고하기 시작했는데
그 서비스의 이름은 "Books@The Guardian"(이메일 주소가 아니다)이었다.
필자가 경향을 제대로 탐지했는 지 모르겠다.
-
At least we shall have no problem finding a name for the symbol.
적어도 @ 기호에 대한 이름을 찾는데는 문제가 없을 것이다.


검색결과는 32 건이고 총 541 라인의 자료가 출력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