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학습사전 Home
   

contracture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Cambridge M-W M-W Thesaurus OneLook Google


contracture 〔k∂ntr´ækt∫∂r〕 (근육.힘줄등의)구축, 경축

[百] 구축 (拘縮) contracture

[百d] 뒤퓌트랑 연축 [ ―― 攣縮, Dupuytren's contracture ]

[百d] 폴크만구축 [ ─ 拘縮, Volkmann's contracture ]

구형구축은 삽입한 보형물 주변으로 두꺼운 피막이 생기는 현상으로 피막이 좁아지면서 보형물을 압박해 가슴 모양이 변형되고 단단해지면서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The capsular contracture is a phenomenon where thick capsules form around the inserted prosthesis, which narrows the capsules and compresses the prosthesis, as the shape of the breast deforms and hardens, causing pain.

capsular contracture (관절낭 경축) capsular adhesion을 보시오.

contracture (경축) 비정상적으로 짧아지는 것. 근육, 관절 지지조직의 섬유증이나 근섬유의
장애에 의해 근의 수동적 신전에 일정한 고도의 저항이 있는 상태.

focal dystonia (국소성 근긴장이상) 이환된 근육에서 일시적으로 지속되는 경축
(contracture)이 특징인 국소적인 근긴장 이상.

joint contracture (관절 경축)

muscle contracture (근경축) contracture (muscular contracture를 보시오.

muscular contracture (근경축) 근육 길이의 감소로 인해 수동적 근신장에 대한 저항의 증
가가 계속 지속되는 상태.

myofibrotic contracture (근섬유성 경축) 근육의 과도한 섬유화로 인한 근육의 경축으로서
보통 외상이나 감염의 속발증이다.

myostatic contracture (근정지성 경축) 감소된 근 자극으로 인한 근육의 경축.

contracture 구축(構築)

G71 근육의 원발성 장애(Primary disorders of muscles)
-
제외:선천성 다발성 관절만곡증(arthrogryposis multiplex congenital)(Q74.3)
대사 장애(metabolic disorders)(E70-E90)
근염(myositis)(M60.-)
G71.0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뒤시엔느 또는 베커와 유사한 상염색체열성 소아형 근이영양증(Autosomal recessive, childhood
type, resembling Duchenne or Becker muscular dystrophy)
양성[베커] 근이영양증(Benign[Becker] muscular dystrophy)
조기수축을 동반하는 양성 견갑골비골성 근이영양증(Benign scapuloperoneal with early
contractures[Emery-Dreifuss] muscular dystrophy)
원위성 근이영양증(Distal muscular dystrophy)
안면견갑 상완성 근이영양증(Facioscapulohumeral muscular dystrophy)
지대형 근이영양증(Limb-girdle muscular dystrophy)
안성(眼性) 근이영양증(Ocular muscular dystrophy)
안인두성(眼咽頭性) 근이영양증(Oculopharyngeal muscular dystrophy)
견갑골비골성 근이영양증(Scapuloperoneal muscular dystrophy)
중증[뒤시엔느] 근이영양증(Severe[Duchenne] muscular dystrophy)
제외:선천성 근이영양증(congenital muscular dystrophy muscular dystrophy) NOS(G71.2)
근섬유의 특이적 형태학적 이상을 동반한 선천성 근이영양증(congenital muscular dystrophy
with specific morphological abnormalities of the muscle fibre)(G71.2)
G71.1 근긴장성 장애(Myotonic disorders)
근긴장성 이영양증[스타이너트](Dystrophia myotonica[Steinert])
연골이영양증성 근긴장증(Chondrodystrophic myotonia)
약물유발성 근긴장증(Drug-induced myotonia)
증상성 근긴장증(Symptomatic myotonia)
선천성 근긴장증(myotonia congenital) NOS
우성[톰슨] 선천성 근긴장증(Dominant[Thomsen] myotonia congenital)
열성[베커] 선천성 근긴장증(Recessive[Becker]
신경근긴장증[아이작](Neuromyotonia[Isaacs])
선천성 이상근긴장증(Paramyotonia congenital)
가성근긴장증(Pseudomyotonia)
약물 유발성일 때 약물감별을 원한다면 추가로 외인분류번호(XX장)를 사용할 것.
G71.2 선천성 근병증(Congenital myopathies)
선천성 근이영양증(Congenital muscular dystrophy) NOS
근섬유의 특이적 형태학적 이상을 동반한 선천성 근이영양증(Congenital muscular dystrophy with
specific morphological abnormalities of the muscle fibre)
중심코아 질환(Central core disease)
미세코아 질환(Minicore disease)
다코아 질환(Multicore disease)
섬유형 불균형(Fibre-type disproportion)
근관성(중심핵성) 근병증(Myotubular(centronuclear) myopathy)
소간상체(小稈狀體) 근병증 (Nemaline myopathy)
G71.3 달리 분류되지 않은 미토콘드리아 근병증(Mitochondrial myopathy, NEC)
G71.8 근육의 기타 원발성 장애(Other primary disorders of muscles)
G71.9 상세불명의 근육의 원발성 장애(Primary disorder of muscle, unspecified)
유전성 근병증(Hereditary myopathy) NOS

M24 기타 명시된 관절 이상(Other specific joint derangements)(540∼541쪽의 부위별 분류번호 참조)
-
제외:현재손상-각 부위별 관절손상 참조(current injury-see injury of joint by body region)
결절종(ganglion)(M67.4)
딱 소리나는 무릎(snapping knee)(M23.8)
측두하악관절 장애(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K07.6)
M24.0 관절안의 유리체(Loose body in joint)
제외:무릎안의 유리체(loose body in knee)(M23.4)
M24.1 기타 관절연골 장애(Other articular cartilage disorders)
제외:연골석회화증(chondrocalcinosis)(M11.1-M11.2)
무릎의 내(內)이상(internal derangement)(M23.-)
전이성 석회화(metastatic calcification)(E83.5)
조직흑변증(ochronosis)(E70.2)
M24.2 인대 장애(Disorder of ligament)
오래된 인대손상에 의한 속발성 불안정(Instability secondary to old ligament injury)
인대 이완(Ligamentous laxity) NOS
제외:가족성 인대 이완(familial ligamentous laxity)(M35.7)
무릎(knee)(M23.5-M23.8)
M24.3 달리 분류되지 않은 관절의 병리학적 탈구 및 불완전 탈구(Pathological dislocation and subluxation
of joint, NEC)
제외 : 선천성 관절의 탈구 또는 전위(congenital dislocatin or displacement of joint) - 근골격계의
선천성 기형 및 변형(Q65-Q79) 참조(see congenital malformations and deformation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Q65-Q79))
현재손상 관절 탈구 또는 전위(current injury, dislocatin or displacement of joint) - 신체부위
의 관절 및 인대의 손상 참조(see injury of joints and ligaments by body region)
관절의 재발성 탈구 또는 전위(recurrent dislocatin or displacement of joint)(M24.4)
M24.4 관절의 재발성 탈구 및 불완전 탈구(Recurrent dislocation and subluxation of joint)
제외:무릎뼈(patella)(M22.0-M22.1)
척추 불완전 탈구(vertebral subluxation)(M43.3-M43.5)
M24.5 관절의 구축(拘縮)(Contracture of joint)
제외:사지의 후천성 변형(acquired deformities of limbs)(M20-M21)
관절의 구축을 동반하지 않은 건(초)의 구축(contracture of tendon (sheath) without
contracture of joint)(M67.1)
뒤퓌트랑 구축(Dupuytren's contracture)(M72.0)
M24.6 관절의 강직증(Ankylosis of joint)
제외:척추의 강직증(spine)(M43.2)
강직증이 없는 관절의 경직(stiffness of joint without ankylosis)(M25.6)
M24.7 관골구 돌출(Protrusio acetabuli)
M24.8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명시된 관절 이상(Other specific joint derangements, NEC)
과민성 고관절부(Irritable hip)
M24.9 상세불명의 관절 이상(Joint derangement, unspecified)

M62 기타 근장애(Other disorders of muscle)(540∼541쪽의 부위별 분류번호 참조)
-
제외:경련(cramp and spasm)R25.2)
근육통(myalgia)(M79.1)
알코올성 근병증(alcoholic myopathy)(G72.1)
약물유발성 근병증(drug-induced myopathy)(G72.1)
강직인간 증후군(stiff-man syndrome)(G25.8)
M62.0 근육의 이개(離開)(Diastasis of muscle)
M62.1 근육의 기타 파열 (비외상성)(Other rupture of muscle (nontraumatic))
제외:건의 파열(rupture of tendon)(M66.-)
근육의 외상성 파열(traumatic rupture of muscle)-신체 부위별 근육 손상 참조
M62.2 근육의 허혈성 경색(Ischaemic infarction of muscle)
제외:구획 증후군(compartment syndrome)(T79.6)
근육의 외상성 허혈(traumatic ischaemia of muscle)(T79.6)
볼크만 허혈구축(Volkmann's ischaemic contracture)(T79.6)
M62.3 (하반신불수성)부동(不動) 증후군(Immobility syndrome(paraplegic))
M62.4 근육의 구축(拘縮)(Contracture of muscle)
제외:관절의 구축(contracture of joint)(M24.5)
M62.5 달리 분류되지 않은 근쇠약 및 위축(Muscle wasting and atrophy, NEC)
무용성 위축(Disuse atrophy) NEC
M62.6 근긴장(Muscle strain)
제외 : 현재손상(current injury)-신체부위별 근육손상 참조
M62.8 기타 명시된 근 장애(Other specified disorders of muscle)
근육(초) 탈장(Muscle(sheath) hernia)
M62.9 상세불명의 근 장애(Disorder of muscle, unspecified)

M67 활막 및 건의 기타 장애(Other disorders of synovium and tendon)
-
제외:손바닥 근막 섬유종증[뒤퓌트랑](palmar fascial fibromatosis [Dupuytren])(M72.0)
건염(tendinitis) NOS(M77.9)
건에 한정된 황색종증(xanthomatosis localized to tendons)(E78.2)
M67.0 (후천성) 짧은 아킬레스 건(Short Achilles tendon(acquired))
M67.1 건(초)의 기타 구축(Other contracture of tendon(sheath))
제외:관절의 구축을 동반한 경우(with contracture of joint)(M24.5)
M67.2 달리 분류되지 않은 활막의 비대(Synovial hypertrophy, NEC)
제외:융모결절성 활막염(색소성)(villonodular synovitis(pigmented)(M12.2)
M67.3 일과성(一過性) 활막염(Transient synovitis)
중독성 활막염(Toxic synovitis)
제외:재발성 류마티즘(palindromic rheumatism)(M12.3)
M67.4 결절종(Ganglion)
관절 또는 건(초)의 결절종(Ganglion of joint or tendon(sheath))
제외:점액낭의 낭포(cyst of bursa)(M71.2-M71.3)
활막의 낭포(cyst of synovium)(M71.2-M71.3)
딸기종에서의 결절종(ganglion in yaws)(A66.6)
M67.8 기타 명시된 활막 및 건의 장애(Other specified disorders of synovium and tendon)
M67.9 상세불명의 활막 및 건의 장애(Disorders of synovium and tendon, unspecified)

Q68 기타 선천성 근골격 변형(Other congenital musculoskeletal deformities)
-
제외 : 사지의 감소성 결손(reduction defects of limb(s))(Q71-Q73)
Q68.0 흉쇄유돌근의 선천성 변형(Congenital deformity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선천성 (흉골유돌의) 사경(Congenital(sternomastoid) torticollis)
흉쇄유돌(근)의 수축(Contracture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흉골유돌의 종양(선천성)(Sternomastoid tumour (congenital))
Q68.1 손의 선천성 변형(Congenital deformity of hand)
선천성 곤봉지(Congenital clubfinger)
(선천성) 삽모양 손(Spade-like hand (congenital))
Q68.2 무릎의 선천성 변형(Congenital deformity of knee)
무릎의 선천성 탈구(Congenital dislocation of knee)
선천성 전반 무릎(Congenital genu recurvatum)
Q68.3 대퇴골의 선천성 휨(Congenital bowing of femur)
제외:대퇴골 (목)의 전경(anteversion of femur (neck)(Q65.8)
Q68.4 경골 및 비골의 선천성 휨(Congenital bowing of tibia and fibula)
Q68.5 상세불명의 하지 장골의 선천성 휨(Congenital bowing of long bones of leg, unspecified)
Q68.8 기타 명시된 선천성 근골격 변형(Other specified congenital musculoskeletal deformities)
쇄골(의) 선천성 변형(Congenital deformity of clavicle)
팔꿈치(의) 선천성 변형(Congenital deformity of elbow)
전완(의) 선천성 변형(Congenital deformity of forearm)
견갑골(의) 선천성 변형(Congenital deformity of scapula)
팔꿈치(의) 선천성 탈구(Congenital dislocation of elbow)
어깨(의) 선천성 탈구(Congenital dislocation of shoulder)

T79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상의 특정 조기 합병증(Certain early complications of trauma, NEC)
-
제외:외과적 및 내과적 처치의 합병증(complications of surgical and medical care)
NEC(T80-T88)
성인의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of adult)(J80)
신생아의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nme of newborn)(P22.0)
의료 처치중 또는 처치후에 발생할 때(when occurring during or following
medical procedures)(T80-T88)
T79.0 공기 색전증(외상성)(Air embolism(traumatic))
제외 : 유산, 자궁외 또는 기태 임신에 합병된 공기 색전증(air embolism complicating abortion
or ectopic or molar pregnancy)(O00-O07, O08.2)
임신, 출산 및 산욕에 합병된 공기 색전증(air embolism complicat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uerperium)(O88.0)
T79.1 지방 색전증(외상성)(Fat embolism(traumatic))
제외 : 유산, 자궁외 또는 기태 임신에 합병된 지방색전증(fat embolism complicating abortion or
ectopic or molar pregnancy)(O00-O07, O08.2)
임신, 출산 및 산욕에 합병된 지방색전증(fat embolism complicating pregnancy, chilbirth
and the puerperium)(O88.8)
T79.2 외상의 이차적 및 재발성 출혈(Traumatic secondary and recurrent haemorrhage)
T79.3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상후 상처감염(Post-traumatic wound infection, NEC)
원한다면 감염원 확인을 위해 추가 분류번호(B95-B97)를 사용할 것.
T79.4 외상성 쇽(Traumatic shock)
손상에 의한쇽(Shock following injury) (즉각적, immediate)(지연성, delayed)
제외 : 마취성 쇽(anaesthetic shock)(T88.2)
아나필락시성 쇽(anaphylactic shock) NOS(T78.2)
음식 부작용에 의한 아나필락시성 쇽(anaphylactic shock due to adverse food reaction
shock)(T78.0)
적절히 투여된 올바른 약제에 의한 아나필락시성 쇽(anaphylactic shock due to correct
medicinal substance properly administered shock)(T88.6)
혈청에 의한 아나필락시성 쇽(anaphylactic shock due to serum shock)(T80.5)
유산, 자궁외 또는 기태 임신에 합병된 쇽(shock complicating abortion or ectopic or molar
pregnancy)(O00-O07, O08.3)
전기 쇽(eletric shock) (T75.4)
번개 쇽(lightning shock)(T75.0)
비외상성 쇽(nontraumatic shock)NEC(R57.-)
산과적 쇽(obstetric shock)(O75.1)
수술후 쇽(postoperative shock)(T81.1)
T79.5 외상성 무뇨증(Traumatic anuria)
좌상 증후군(Crush syndrome)
압궤에 의한 신부전(Renal failure following crushing)
T79.6 외상성 근허혈(Traumatic ischaemia of muscle)
구획 증후군(Compartment syndrome)
폴크만 허혈성 연축(Volkmann's ischaemic contracture)
제외 : 전경골 증후군(anterior tibial syndrome)(M76.8)
T79.7 외상성 피하기종(Traumatic subcutaneous emphysema)
제외:처치에 의한 (피하)기종(emphysema (subcutaneous) resulting from a procedure)(T81.8)
T79.8 기타 외상의 조기합병증(Other early complications of trauma)
T79.9 상세불명의 외상의 조기합병증(Unspecified early complication of trauma)

T87 재부착 및 절단에 국한된 합병증(Complications peculiar to reattachment and amputation)
-
T87.0 재부착된 상지(의 부위의)합병증(Complications of reattached(part of) upper extremity)
T87.1 재부착된 하지(의 부위의)합병증(Complications of reattached(part of) lower extremity)
T87.2 기타 재부착된 신체부위의 합병증(Complications of other reattached body part)
T87.3 절단 기부(基部)의 신경종(Neuroma of amputation stump)
T87.4 절단 기부의 감염(Infection of amputation stump)
T87.5 절단 기부의 괴사(Necrosis of amputation stump)
T87.6 절단 기부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합병증(Other and unspecified complications of amputation stump)
절단기부 연축(Amputation stump contracture) (굴곡, flexion) (인접 근위부 관절의, of next
proximal joint)
절단기부 혈종(Amputation haematoma)
절단기부 부종(Amputation oedema)
제외:환상지 증후군(phantom limb syndrome)(G54.6-.7)


검색결과는 21 건이고 총 238 라인의 자료가 출력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