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는데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neatfootoil 〔n´i:tsf´ut-〕 우각유(가죽을 부드럽게 하는데 씀)
rounding 〔r´aundiŋ〕 둥글어지는, 주위를 둘러싸는(도는), 회전(손회)하는, 둥글게 함(됨), 둥글어진 것(표면, 모서리), (모난 것을)둥글게 하는데 쓰는, 원순화
김 여사에게 전화를 하려고 하는데요.
I'm trying to get hold of Mrs. Kim.
나은 책 읽기를 싫어 하는데 동생은 책 읽기를 좋아한다.
I don't like to read books, on the other hand my younger brother like to do it.
그러지 말았어야 하는데
I shouldn't have done it.
그가 지금쯤 왔어야 하는데
He's supposed to be here now.
I got goose bumps.
소름끼쳤어. 소름에는 goose flesh, goose
pimples, goose skin등 여러가지가 쓰입니
다. 우리말에는 닭살돋는다고 하는데 영어
는 오리살돋는다고 하네요.
Please inform us by return how long it takes to prepare the
goods for shipment.
그 상품의 선적준비를 하는데 어느정도 걸리는지 즉시 회답
요망합니다.
I am sure you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 decision you indicated was in the offing.
말씀하신 대로, 가까운 시일내에 결정이 있을 것으로 보아 사전
작업을 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신 것으로 봅니다.
서울행 비행기를 예약할려고 하는데요.
I'd like to book a flight to seoul.
Where can I take the subway train going to Chamsil Stadium?
잠실운동장에 가려고 하는데 어디서 전철을 타야 합니까?
I must get the radio fixed. 라디오를 수리해야 하는데.
[電話] 저는 Mr.Ham이라고 하는데 Mr.Koo 전화에 대한 회답입니다
This is Ham returning Mr.Koo`s call.
Insects play a vital role in pollinating many crops for humans
and ensuring that they produce fruit and seed.
곤충들은 (두 가지 하는데 있어서, 즉,) 인간을 위한 농작물을 수분시키는데
있어서 그리고 그들이 열매와 씨를 생산하도록 보장해주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Seldom has the mathematical theory of games been of practical use
in playing real games.
게임에 관한 수학적 이론이, 실제적인 게임을 하는데 있어서 실용적으로
유용한 경우는 거의 없었다.
Contemporary film directors, some of whom write the scripts for, act in,
and even produce their own motion pictures, are thereby assuming ever
more control of their art.
현대의 영화와 감독들은- 그들 중의 일부는 그들 자신의 영화를 위해 대본을
쓰고, 연기도 하고, 또 제작조차도 하는데 - 그래서 그들 예술의 더 많은
주도권을 가지고 있다.
everything but the kitchen sink: 필요한 것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것까지 포함한 모든 것
→ 야영을 하려면 필요한 것만 챙겨야 하는데 우스개 소리로 '부엌의 설거지통만 제외하고 모든 것을 다'(직역) 챙기는 경우로 자주 인용.
soup-house: 빈민을 위한 무료 식당
→ 거처가 없는 사람들에게 따끈한 스프를 제공하기 때문에 붙은 이름.(= soup-kitchen)
- soup-up: 고성능의, 자극적인
→ 엔진의 힘을 강력하게 해서 높은 속력으로 달릴 수 있게 한 것으로 본래 supercharged라고 하는데 이것의 발음이 줄어서 된 것.
like a curate's egg: 사물에는 좋은 점과 나쁜 점이 공존한다(유머)
→ 영국의 소심한 부목사(curate)가 주교와 식사를 하는데 주교가 부목사에게 달걀이 부패한 것 같다고 하자 한쪽은 이상 없다고 대답한데서 유래.
You made my day.: 너야말로 내 기분을 알아주는군!
→ make는 success를 의미하기도 하는데 미국 대통령 선거운동 때에도 많이 쓰임.
high on the hog: 부유하고 풍요로운 삶을 살다
→ live high on the hog이라고 하는데 hog는 질 좋은 고기를 얻을 목적으로 거세한 돼지를 말함.
He got a DUI conviction.: 그는 취중 운전 판결을 받았다.
→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DUI판결을 받으면 벌금과 함께 최소 3개월 면허 정지 처분을 하는데 DUI는 driving under the influence의 약자.
[比較] steal, purloin, pilfer, filch, thieve, rob, hold up
steal은 가장 일반적인 말로 특히「남몰래 훔치다」를 의미한다.
Thieves stole the silver.
또한 살그머니 하는 짓·남 모르게 하는 짓의 뜻이 강하게 들어 있고, 나쁜 짓을 한다는 뜻이 약하게 되는 수도 있으며, 때로는 아주 없어지는 수도 있다.
He stole a look./ He stole her heart./ Ill health has stolen the bloom her cheeks.
purloin은 본래 멀리 옮기다. 한편에 두다(remove far off, set to one side)를 의미했을 뿐이지만, 도둑질과 관련하여 슬쩍 빼돌리는 것이 강하게 든「도둑질하다, 훔치다」의 뜻으로, 지금은 문어로 쓰인다.
letters purloined by a blackmailer/ A certain document of the last importance has been purloined from the royal apartments.
pilfer는 작은 분량을 또는 사소한 물건을 훔치는 것, 즉「좀도둑질하다」또는 때로 steal이 너무 가혹스럽게 들릴 때에 완곡어로 쓰이며 고, steal은 도둑당한 물건을 목적어로 삼아, He stole money from a friend.처럼 쓴다. 전자는 사람에 중점이 있고, 후자는 물건에 관심을 둔 표현이다.
hold up은 미국에서 흉기를 가지고 통행인의 길을 막고 강탈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범인을 a hold-up man이라고 하는데, robber가 금품을 빼앗는데 비해, 이것은 금전을 빼앗는데 흔히 쓰인다. 그러나 이 구별은 확립된 것은 아니다.
구어체에서 남편을 '서방님'이나 '바깥양반' 하는데 영어에서는 'hubby'라고 한다. 마누라는 'old lady'가 무난하다.
'그는 황소처럼 일한다.'의 영역은 beaver라는 단어를 써서 He works like a beaver. 라고 해야 한다. beaver가 쉬지 않고 열심히 나무를 갉아먹으면서 댐을 짓는데서 나온 말인 듯하다. 또, 우리는 '개미처럼 열심히 일한다'고 하는데, 미국인들은 이 경우에 벌(bee)을 연상한다. 단, 이 경우 He works like a bee.라고는 하지 않고, He is as busy as a bee.라고 한다.
우리들은 화장실에서 일을 볼 때 누군가 밖에서 노크를 하면 주로 ‘에헴!’하고 헛기침을 하는데 미국인들은 이때 주로‘Occupied!’라고 말한다.‘사용중!’이란 말인데 It's being used! 또는 Someone's in here already! 와 같은 말이다.
Is it convenient that I meet you at noon?
정오에 당신을 만나려 하는데 괜찮으시겠습니까?
The warmth of the blanket helped her relax.
담요의 온기는 그녀를 편하게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You'll get the hang of it. 요령이 생길거야.
* 우리말 '요령'에 해당하는 영어는 hang과 knack이다.
'요령이 생긴다.'는 말은 get the hang(knack) of it.
훨씬 수준이 높은 요령은 know-how라 하고 expertise
즉, '전문적 기술'을 의미한다.
그리고 또 누가 무엇을 아주 잘 하는 것을 보고
"도가 텄구나"라고 하는데, 이러한 우리말에 해당하는 영어는
have(get) something down to a science 이다.
ex) You've got your dishwashing down to a science.
접시 닦기엔 도가 텄구나.
Can I have a doggy bag, please?
이것 좀 싸주실 수 있겠어요?
* 미국의 식당에서 leftover food(먹다 남은 음식)을 싸가지고
가는 경우가 흔한데, 자기가 기르는 개에게 갖다준다고 해서
doggy bag이라고 하는데 사실은 자기가 먹을 것이면서
개 핑계를 대고 먹다 남은 것을 싸가는 것이다.
Give me a doggy bag, please. 이라고도 한다.
formal party에 초청받았을 때
* '불청객'은 uninvited guest라 하고 gate-crasher라고도
하는데 gate를 부수는 사람(crasher)이란 뜻이다.
초청장이 없어 문에서 정지를 당하자 문을 부수고
들어가는 사람이란 표현이다.
formal party란 검은색 tuxedo 즉, black tie (bow tie-나비넥타이)를
맨 정장 차림(여성들은 이브닝 드레스)으로 가야 하는 파티를 말한다.
그 반대는 informal party인데 come-as-you-are party라고도 한다.
이런 파티에는 입고 있는 그대로 입고 가도 좋다.
prom은 promenade(프라미나아드)의 준말로서 고등학교 졸업반
학생들의 formal dance party를 가리킨다. formal party이므로
물론 tuxedo와 tie차림으로 가야한다.
그리고 초청장의 아랫부분에는 대게 R.S.V.P라고 적혀 있는데
이것은 Please reply란 뜻의 프랑스 말의 약자로서 파티 참석여부를
미리 전화로 알려 달라는 뜻이다. R.S.V.P밑에 괄호를 치고
Regrets only라고 쓰기도 하는데 이것은 참석 못해서 유감인 사람만
전화해 달라는 뜻이다.
미국에서 아파트 및 집을 구할 때
* Do you take children? 아이들도 받습니까? 란 뜻으로
아이들을 아예 받지 않는 아파트에는 Adults Only
즉 '어른들만 받습니다.'라고 써붙여 놓고
No Vacancy라고 써 붙여놓으면'빈방 없음'이란 뜻으로
들어가 물어볼 필요가 없다. available right now는
'지금 당장 들어갈 수 있는'이란 뜻으로 계약했을 시
바로 입주할 수 있다는 의미.
계약금을 earnest(진지한) money라고 하는데 집을 계약할 때
earnest money도 내고 금융기관에서 집 살 돈의 약80%를 융자받고
나머지 20%는 자기 돈으로 내야 하는 것이 보통인데,
자기 주머니에서 내놓는 돈을 down payment라 한다.
How much will the earnest money deposit be?
'계약금은 얼마나 내야 하나요?'
You look (so) well / You sure look well.
얼굴 좋아지셨습니다.
* 강조하려면 You look like a millian. 신수가 훤하십니다.
몇 년만에 만난 사람에게 흔히 '옛날 모습 그대로군요.
하나도 변하지 않았네.'라고들 하는데 여기에 해당하는 말은
You haven't changed a bit.라고 하면 된다.
반대로 '몰라보게 달라졌어'는 You sure have changed beyond recognition.
cf) Look who's here! 아니 이게 누구야!
Way to go! 잘 하고 있어!
* That's the way to go를 줄인 말인데 Nice try!라는 말도
가끔 쓰는데 이것은 운동 선수가 득점과 연결되는 어떤 동작을
시도했으나 성공을 거두지 못했을 때 '잘했어!'라고 격려하는
응원의 말이다. 그리고 관중 앞에 나와 응원을 하는 사람들을
cheer leaders라 하는데 특히 색종이를 들고 춤추는 응원
아가씨들을 pom pom girls라고도 부른다. 응원한다는 말은
'root for'라 한다.
You will pay for it! 어디 두고 보자!
* You won't get away with this!라고도 하는데
'너는 이것을 가지고 도망가지 못할 것이다'란 직역이지만
'너 나중에 두고 보자'란 뜻이다. won't는 will not의 준말인데
발음은 '워언트'이지만 '트'발음은 거의 들리지 않게 한다.
그리고 I'll get even. 라고 말하면 '복수를 하겠다.'는 뜻이
된다. get even은 '똑같이 된다.'는 말이니까 '내가 당한 것
만큼 너도 당하게 할 것이다.'는 뜻이다. '두고 보자'는 말은
반드시 복수를 하겠다는 뜻만이 아니라 확실한 결정을 하기
어려울 때 결정을 뒤로 미루면서 하는 말이기도 한다.
이런 뜻의 '두고 보자'는 Let's wait and see. 또는
It remains to be seen이라고 표현한다.
He has good connections. 그 사람은 백이 좋다.
* 어떤 직장에 취직하려고 하는 사람이 그 직장 사람들을
잘 아는 어떤 사람에게 '말씀 좀 해주실 수 있습니까?'라고
부탁하는 수가 많은데 이 때 해당하는 표현은
Would you put in a word for me?
'나를 위해 말 한마디 넣어 주시겠습니까?'
'백'이 좀 되어 달라는 뜻이다.
우리가 말하는 '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가장 가까운 영어는 connections와 strings라 할 수 있다.
'줄을 잘 잡아야 출세한다.'는 말을 하는데 여기서 '줄'이
바로 strings다. '백을 쓴다'를 영어로는 pull strings
또는 use one's connections라고 표현한다. 예를 들어
He pulled strings to get a promotion. 라고 표현하면
'그는 승진하기 위해 백을 썼다'는 뜻이 되고
He used his connections to get a promotion. 도
마찬가지 의미가 된다. 그리고 '나는 백이 없다' 는
I have no connections 또는 I have no strings to pull.
이라 하면 된다.
You are talking over my head.
너가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겠다.
* 미국인들이 쓰는 회화에서 You've lost me.라는게 있는데
'너는 나를 잃어 버렸다.' 즉 '너와 나는 끝장이다.'는 뜻일거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니가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겠다'는 말이다. 그러니까 I don't understand. 또는
I don't know what you are talking about. 또는
I don't get(or dig) it. 또는 I don't follow you.등과 같은 말이다.
You are talking over my head.란 말은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네 말은 너무 어려워서 못 알아듣겠다'는 말인데 여기서 head를
신체적 의미의 '머리'가 아니라 정신적인 의미의 '머리' 다시
말하면 '머리가 좋다'고 할 때의 '머리' 즉 '지능 수준'으로
생각하면 '너는 내 지능 수준 이상으로 말하고 있다.'가 되어
우리말 '네 말은 너무 어려워 못 알아듣겠다.'는 말이 된다.
이 말은 약간 빈정대는 뜻으로 흔히 쓰이는 말이므로
점잖은 상대에게 함부로 쓰면 않 된다. 예를 들어 비즈니스
얘기를 하는데 미국 사람이 어려운 단어를 많이 써서 알아듣기가
곤란하다. 이럴 때 I don't follow you very well. 또는
Would you mind using simpler words?
'좀 더 쉬운 말을 써 주실수 있겠습니까?' 라고 말하는
것이 좋다. 어떤 영화를 봤는데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다.
이럴 때 This movie is over my head. '이 영화는 내 지능수준
위에 있다.' 즉 '이 영화는 어려워서 모르겠다.' 는 말이 된다.
It's beyond me도 I don't understand.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
I can't do it.과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Don't take it out on me! 나 한테 화풀이하지 마세요
* 어떤 회사 중역이 위 상급자에게 야단 맞은 뒤 열 받아 있을 때
말단 사원들은 그 사람의 눈치를 보게 된다.
이 때 Give him a lots room.이라고 말한다면
'그의 기분을 상하지 않도록 주의 해라'는 의미가 된다.
여기서 room을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그에게 많은 공간을 주라'는 말은
'그에게 걸리지 않게 가까이 가지 말고 멀리 하라'는 의미가 된다.
Be careful not to get on his nerves.는 말과 같은 뜻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급자에게 욕을 먹은 사람을 보고
He got chewed out by his boss. 라고도 말을 하곤 하는데
미국 속어 chew out은 '야단친다'는 뜻이다.
Don't chew me out for notjing.은
'아무것도 아닌 걸 가지고 야단치지 마세요'란 의미.
I'm a fussy about foods. 나는 입이 까다로워요.
* '입이 짧다' 즉 '입이 까다롭다'는 fussy about foods라 한다.
fussy는 '까다롭다'는 뜻인데 choosy, picky, finicky, fastidious등도
같은 의미이다. 입이 까다롭지 않고 무엇이나 잘 먹고 또 많이 먹는
사람을 점잖은 말로 glutton이라 하고 속된 말로 pig 즉 '돼지'라 한다.
그리고 뭐든지 많이 잘 먹는 것을 eat like a pig 또는
eat like a horse라 표현한다. '식욕'은 appetite라 하는데
have a great appetite라 하면 '식욕이 왕성하다' 는 말이다.
It makes my mouth water 또는 My mouth is watering이라 하면
'군침이 도는군' 정도의 뜻이 된다.
There's no free lunch. 세상에 공짜가 어디 있어.
* 미국에도 사기꾼이 많다. 우편이나 전화를 통해 순진한 사람들을
속여 돈을 긁어내는 swindler(사기꾼)들이 많다.
사기꾼은 fly-by-nighter라고도 하는데 '사기를 치고 밤에 도망가는
사람'이란 뜻에서 생긴 말이다. '공짜 좋아하는 사람'을 영어로
freeloader, sponger, moocher등으로 부른다.
Is the money good? 벌이 괜찮습니까?
* 위의 말이나 Do you make good money?라 하면 돈벌이가
괜찮냐는 뜻이다. 우리는 돈을 번다라고 하는데 미국사람들은
make money라 한다. 그리고 만약 한 달에 3,000달러를 번다면
세금이나 경비를 제한 gross income(총수입)인지 아니면
세금을 공제하고 난 net income(순수입)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before taxes라 하면 세금 공제전이란 뜻이고
after taxes라 하면 세금 공제후 란 의미이다.
그리고 '월급쟁이'를 salaried worker라 하는데 일본식
영어인 salary man도 통용되고 있으나 좋은 영어는 아니므로
salaried worker를 쓰는 것이 좋다. '봉급'은 salary 또는
wage라 한다. 공제할 것을 빼고 집에 들고 가는 봉급을
take-home pay라 한다.
That's icing on the cake. 그거 참 금상첨화군.
* 우린 흔히 어떤 안 좋은 일이 겹쳐서 일어날 때 '업친데 덥쳤다'는
말을 쓰곤 하는데 영어에서도 이런 표현을 사용해 보면
add insult to injury 또는 It never rains but it pours.이라 한다.
그리고 정반대가 되는 '금상첨화' 로는 That's icing on the cake라
하여 '케이크 위에 크림을 바르는 격'이라 표현한다.
Ten years' study down the drain! 십 년 공부 도로아미타불.
* '10년간의 공부가 수챗구멍 밑으로 빠져 버렸다'는 의미로
쓰이는데 drain대신에 tubes란 말을 쓰기도 하는데 둘 다
'배수관'이란 뜻이다. down the drain 및 down the tubes와
비슷한 표현으로 back to the drawing board와
back to square one이란 말도 잘 쓴다. square one은
chess에서 출발점을 가리키므로 back to square one은
'원점으로 되돌아간다'는 뜻이 된다. 또 drawing board는
'제도판'이므로 back to the drawing board는 설계사가
마음에 들지 않는 설계도를 찢어 버리고 다시 제도판
앞으로 되돌아간다는 표현이다. on the drawing board란
말도 있는데 이것은 '아직 설계(계획)단계에 있다'
즉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없고 구상단계에 있다'는 뜻이다.
You are an angel.
* 아주 친절한 사람은 angel 즉 '천사'라고도 부른다. 어려운 부탁을
들어 준 사람에게 미국인들은 흔히 You are an angel이라고 한다.
이것을 '당신은 천사입니다.'라고 해석하기 보다는
'정말 고맙습니다.'정도로 해석하는게 좋다. 그리고 무슨 일을 할 때
의외로 잘 하거나 능력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You are a diamond in the rough. 라고 말했다면
'넌 숨은 인재야'라는 의미가 된다. 또한 없어서는 안 될 사람을
가리켜 우리는 '그 사람은 우리의 보배다'라고 하는데
jewel 또는 gem을 써서 표현한다.
Thank you for your business. 거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business는 단지 '사업'이라는 뜻외에도 여러 가지 의미가 있는데
I want your business(with us)라고 하면 '난 당신과 거래를 하고
싶다'는 뜻이 된다. business에는 또 '볼일'이란 뜻도 있는데
쓸데없이 남의 일에 참견하는 사람을 보고 keep out of this.
This is none of your business.라고 말했다면 '넌 좀 빠져.
네가 참견할 일이 아니야' 정도의 뜻이 된다. 그리고 사무실
문에 '볼일이 없는 사람은 들어오지 마시오'라고 써붙이고 싶으면
No admittance except on business라고 쓰면 된다.
또한 business에는 또 '권리'란 뜻도 있는데 반드시
have no business to∼와 같은 형식으로 쓰인다.
You have no business to tell me what to do with my money라
하면 '내 돈을 가지고 내 맘대로 하는데 당신이 이래라 저래라
할 권리가 없다'는 말이다. '진지함' 또는 '진정'이란 뜻으로도
쓰이는데 When I say I will do it, I mean business라 하면
'내가 무엇을 하겠다고 말하면 그것은 내가 진정으로 하는 말이다' 란
의미가 된다.
I'm going grocery shopping 장 보고 올께.
* 미국 사람들은 '장보러 간다'는 말을 go shopping이라고 하는데
특히 식품 종류를 사러 supermarket에 가는 것은
go grocery shopping이라고 한다. 그리고 물건을 사지 않고
구경만 한다는 뜻으로 한국에서는 eye shopping이란 말을
쓰는데 이것은 konglish이고 진짜 영어는 window shopping이라
한다. 그리고 물건을 사기 위해 여기저기 돌아 다니는 것을
shop around라 한다.
My hat's off to you. 경의를 표합니다.
* '당신에게 내 모자를 벗습니다'라고 하면 I admire you 또는
I respect you 즉 '난 당신을 존경합니다.'와 같은 말이다.
I take off my hat to you라고 길게 말하기도 한다. 같은 뜻으로
I've got to hand it to you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존경한다.'는
뜻도 되고 '알아줘야겠다'는 뜻도 된다.
Can you come my way? 네가 이쪽으로 올래?
* 누구와 만나기로 할 때 우리는 '내가 그 쪽으로 갈까요,
아니면 이쪽으로 오시겠습니까?'라는 말을 흔히 하는데
영어에선 Shall I come your way or would you come my way?라고
한다. 그리고 우리는 보통 '간다'라는 말을 go, '온다'는 말을
come으로 해석하지만 come을 '간다'로 번역해야 한다.
예를 들면 엄마가 밥 먹으라고 아들을 부르니까 꼬마가
'지금가요!'라고 소리쳤다면 영어로는 I'm coming!이라고 한다.
Going my way?라고 하면 '나하고 같은 방향으로 가십니까?'라는
말인데 남에게 차를 좀 태워달라는 뜻으로 흔히 하는 말이다.
All things came my way 또는 Everything came my way라고 하면
'만사가 나에게 유리하게 진행되었다'는 말이다.
I want to return your favor 난 당신의 은혜에 보답하고 싶어요.
* 은혜를 kindness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kindness는 단순히 친절한
행동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친절 이상의 은혜를 베푸는 것도
kindness라고 한다. 반대로 '원수를 갚다' 즉 '복수하다'는 것을
get even또는 make(someone) pay for something이라고 표현한다.
Someday I'll get even with you. 언젠가 꼭 복수를 하고 말테다
Times have changed 세상 많이 달라졌다.
* 우리는 '세상'이 달라졌다고 하는데 영어에서는 times(시대)가
달라졌다고 하는 데 유의할 필요가 있다. 세상이 달라지긴
달라졌는데 좋은 방향으로 달라지는 것을 come a long way
라고 한다. Korea has come a long way since the 1960s라 하면
'한국은 1960년대 이후 많이 좋아졌다'는 말이 된다.
You are talking my language 너 하고는 말이 되는군.
* 어떤 외국인 buyer와 상담을 하는데 화제의 방향을 바꾸어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다가 서로 통하는 면이 있어 한국 상담원이
You are through with each other!라고 그 buyer에게 이야기 했는데
이 말을 들은 상대방의 인상이 일그러짐은 짐작이 가고 남는다.
왜냐면 이 말은 '이제 당신하고 끝이야!'란 뜻이기 때문이다.
'너 하고 통하는 구석이 있군' 이란 우리말을 영어로 표현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 이 때 미국인들은 위 title에 적어놓은 말을
비롯하여 We are talking the same language란 말을 흔히 쓴다.
그리고 말이 안 통하다가 이야기가 되어가면 Now you're talking
즉 '이제야 말이 통하는군' 이란 말을 쓰곤 한다.
그리고 We're on the same wavelength와
We're in sync with each other라고 해도
'우리는 서로 잘 통한다'는 말이 된다.
The long and short of it is love 중요한 건 사랑이야.
* 우리는 흔히 핵심을 key point라 하는데 the long and short란 말도
'요점'이란 말이다. 그리고 long은 또 무엇이 '많이 들어 있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예를 들어 This product is long in salt라 하면
'이 제품에는 소금이 많이 들어 있다'는 뜻이 된다. 이런 뜻으로
쓰일 때는 long다음에 in 이란 전치사가 온다.
Eat food long in vitamins는 '비타민이 풍부한 음식을 먹으라'는
말이다.
You can't eat your cake and have it too
-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기란 어렵다.
* 양자택일을 해야 할 입장인데, 둘 다 놓치기가 아까워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을 때 우리는 흔히 '토끼 두 마리를 모두 잡으려다
모두 놓친다'는 속담을 빗대어 이야기 하곤 하는데 영어에서도 이와
비슷한 말이 있다. '케이크를 먹든지 아니면 가지고 있든지 둘 중에
하나만 택해야지, 둘 다 택할 수는 없다'는 의미다.
You can't have it both ways와
You can't work both sides of the street란 표현도 많이 쓴다.
We live from hand to mouth 우린 그날 벌어 먹고 살기 바쁘다.
* 부모로 부터 재산을 물려받은 것은 inherit a fortune이라고 하거나
또는 born with a silver spoon in one's mouth 즉 '은숟가락을
입에 물고 태어난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반대로 맨 손으로 열심히
일해서 자수성가하는 것은 make it on one's own이라 한다.
make it은 '성공(출세)한다'는 말이고, on one's own은 '혼자의
힘으로'라는 뜻이다.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이 없는 사람들은
처음엔 live from hand to mouth 즉 '그날 벌어 그 날 쓰기
바쁘게 살다'가 나중에는 부자가 되기도 하는데 '그 날 벌어
그 날 쓴다'에 해당하는 말이다.
live from paycheck to paycheck
즉 '봉급에서 봉급으로 삶을 이어간다'는 표현도 많이 쓰인다.
Give us some terms. 외상으로 좀 줘.
* '외상'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credit라 하는데 일정한 기간
동안 빌린다는 의미에서 terms라는 말도 쓴다.
term에 's'를 꼭 붙여야 한다.
What are the terms?라고 하면 '지불 기간은 얼마나 줍니까?'라는
말이 된다. 그리고 물건을 '외상으로 준다'는 것은 give credit가
된다. 또한 상표를 보면 흔히 '권장 소매 가격'이라고 적혀 있는 것을
많이 보는데 이에 해당하는 말은 the suggested retail price이라 한다.
That is why ending the U.S. moratorium on testing would be
a mistake; it would only weaken worldwide support for
tighter restraints on proliferation.
이것이 바로 왜 미국이 핵실험중지를 끝내는 것이 실책인가 하는
이유이다. 미국이 핵실험을 재개한다면 이는 핵확산에 보다
엄격한 제약을 가하고자 하는데 대한 범세계적인 지지를
약화시킬 뿐이다.
Nat tells the same stories of his youth that he tells every time
he has had too much to drink,
나트는 젊은 시절의 이야기를 하는데 그것은 술이 잔뜩 취했을 때 늘 하는
이야기다
and Sid clowns around until he decides he had better go to bed.
시드는 해롱거리다가 잠자리로 간다.
The lovemaking of the two young people is almost a kind of warfare
두 젊은이들의 사랑행위는 거의 전투를 방불케 하는데
in which Julien is constantly on his guard against being
tricked or betrayed or made a fool of.
줄리앙은 속임이나 배신을 당하거나 웃음거리가 되지 않으려고
끊임없이 자신을 경계한다.
The thieves capture him, and, finding he has no money, are on
the point of killing him,
도둑들이 그를 잡아, 돈이 없다는 것을 알고, 죽이려 하는데,
when it occurs to somebody that their prisoner could just as well
be offered in marriage to one of the gypsy women.
그때 누군가가 그들의 포로도 집시 여자에게서 결혼 제의를 받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한다.
While there, he is interviewed by the police inspector at work on the case,
Porfiry Petrovich,
경찰서에 있는 동안, 사건을 담당한 경위, 포피리 페트로비치가 면담을 하는데,
who approaches the problem psychologically and whose shrewd
insights direct his suspicions toward Rodion.
그는 문제를 심리적으로 접근하며 그의 예리한 통찰력은 로디온에게 혐의를 돌린다.
After a suitable wait, he renews his courtship and proposes to Kitty in a curious scene
적당히 기다린 후, 키티에게 다시 구애하고 결혼신청을 하는데 방법이 묘하다
in which he spells out the initial letters of the words of his declaration of love.
그의 사랑을 고백하는 말에 첫 글자들을 풀어쓴 것이다.
Kitty shows her intuitive understanding by replying in the same manner.
키티는 직감적으로 이해하고 같은 방식으로 답장을 한다.
There the children lead a robust, confident life which Pelle tries with
partial success to enter into.
그곳 어린이들은 강건하고, 자신감 있는 생활을 하는데 펠레는 그들과 어울리는데
어느 정도 성공한다.
Pelle finds lodgings with a family of three orphan children;
the eldest, Marie, is a girl of thirteen who mothers the rest.
펠레는 세 명의 고아가 사는 집에 하숙을 하는데, 맏이인 마리는
나머지 애들을 키우는 13세 소녀이다.
Blanche tries to plan her escape, hoping that a clever letter
to an old admirer will bring an invitation to his Texas ranch or his yacht.
블랑쉬는 이곳을 벗어날 궁리를 하는데, 그녀를 찬양했던 늙은이에게 절묘한 편지를 보내
그의 텍사스 농장이나 요트에 초대받기를 기대한다.
Q 3
값이 얼마인지 묻는 표현으로는 'How much is it?' 밖에 모르는데요,
학원이나 클럽처럼 한달치를 끊는 곳이 있잖아요.
그럴 때 "한 달 요금이 얼마입니까"라고 물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A 3
한 달에 얼마냐고 묻고 싶으면
How much is it for a month?
How much is it monthly?라고 합니다
요금을 묻는 표현으로는 charge라는 동사를 쓰기도 합니다
charge는 기본의미가 (책임, 의무, 요금 등을) 부과하다,
(짐, 부담)을 지우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그래서
How much do you charge for a month?
How much do you charge monthly?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charge의 용례를 좀 살펴보면
건전지에 채워넣고 부과하는 것이니까 '충전하다'
총에 채워넣는 것이니까 '장전하다'
cash or charge?라고 할 때 '현금이요 카드요?'라고 해석을 하는데
이때 charge는 카드에 기록을 채워넣는 것이죠.
그래서 카드가 여러개 있으면
Charge it to my BC cards라고 할 수 있겠죠
그외 자세한 것은 다음 기회에 매거진을 통해 다루겠습니다
mug(머그) 컵 아시죠? 손잡이가 있는 컵 말입니다.
-
그 mug가 노상 강도짓 하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Stay away from lonely back streets. You might be mugged.
한적한 뒷골목은 피하세요. 노상 강도를 당할 지도 모릅니다.
-
강도는 robber라고 하는데 노상강도는 특히 mugger라고 합니다.
Beware of muggers!
노상 강도를 조심하세요!
-
스냅사진을 snapshot이라고 하죠, 그럼 mug shot은?
경찰이 촬영한 범인 얼굴 사진을 말합니다.
-
mug가 나온 김에 범죄 행위에 대해서 살펴보죠.
소매치기는 pickpocket
즉 소매(pocket)에서 집어간다(pick)입니다.
-
가게(shop)에서 물건 훔치는 사람은 shoplifter.
동사형은 shoplift. 여기서 lift는 들어올리다
즉, 가게에서 물건을 몰래 들고 가는 것입니다.
스키장 리프트 생각하시면 lift 기억하시겠죠?
-
지갑(purse) 들치기는 purse snatcher
여기서 snatch는 낚아채다는 의미입니다.
-
유괴범은 kidnapper
동사형은 kidnap인데 이는 kid + nab입니다.
kid(아이)를 nab(낚아채다, 붙잡다)에서 나왔습니다.
He was nabbed for robbery.
그는 강도죄로 체포되었다.
참, nap은 '낮잠 자다'라는 의미입니다.
I nap my free time away.
자유시간을 꾸벅꾸벅 졸며 지낸다
아이를 재워서 데리고 가는 것이 유괴라고 연상하셔도 되겠죠?
-
금고 털이는 safe cracker
safe는 금고이고 crack은 말 그대로 크랙, 즉 깨는 것이죠.
-
비행기 납치범은 hijacker
-
주거지 침입자는 burglar라고 하는데
그래서 밤손님을 cat burglar라고 합니다.
To raise declining productivity to the levels of advanced countries,
the nation has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apital
investment and should help less productive industries swiftly switch into
high value-added business lines, for example.
낮은 생산성을 선진국 수준으로 올리기 위해서, 정부는 자본 투자의 효율
을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데 예를 들면, 생산성이 낮은 산
업을 재빨리 고부가가치 업종으로 전환해야 한다.
decline : 내리막 길, 사양길; 기울다, 사양하다, 쇠하다
efficiency : 효율, 능률
value-added : 부가가치
You're very,very talented.
당신은 뛰어난 재능을 가지셨어요.
우리는 TV연예인을 talent라고 하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요즘은 흔히 "TVstar"라고 하며 영화배우는 "movie star"랍니다.
≫ (약국) - " drugstore "
-미국의 약국에서는 우리와는 달리 화장품,담배,잡지,일용잡화,문구,필름
...등을 팔고 있으며 심지어는 가벼운 식사(커피,음료,햄버거)도 가능하
도록 탁자도 준비 되어 있답니다.
-또한 병원의 처방없이는 약을 살 수 없다.(예외:흔한약-감기,소화제...)
-알약을 " pill " 이라고 하는데 "피임약"이란 뜻으로 사용되며 이것
역시 병원에서 처방이 있어야 구입할 수 있다는 군요.
≫ "금"을 분류할때 18k ,24k에서 "k"가 의미하는것은 ? " 캐럿 "
→ (미) karat / (영) carat 라고 하는데 이는 "순금을 24로 보았을때
금의 함량을 표시하는 단위" 입니다. →(순금은 24Karats 입니다.)
※ 미국의 금은방에서는 거의 순금을 취급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 " Prince of Wales "가 영국의 황태자 라고 하는데....유래는 ?
→ 역사적인 배경이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영국이라고 부르는
브리튼섬은 잉글랜드,스코틀렌드,웨일스의 3개로 구성되었죠 ?
옛날에는 각각 독립된 나라였고 그중에서도 잉글랜드의 서쪽에 위
치한 Wales는 13C 후반 까지는 독립을 유지하면서 그 왕을 "Pri
-nce of Wales"라고 불렀고 1282年에 잉글랜드 애드워드Ⅰ세에게
패해서 Wales왕국은 바람과 함께 사라졌던 것이죠. 이 전쟁중에
애드워드Ⅰ세의 차남이 북웨일스의 "카나폰 성"에서 태어났는데
그 직후에 형의 죽음으로 인해서 황태자가 되게 되었습니다.
이어서 애드워드Ⅰ세로 부터 "Prince of Wales "라는 칭호를 부여
받게 된것이 오늘날까지 같은 칭호로 내려온 것입니다.
≫ 외국에도 학교 앞에서 광고지를 나눠주기도 하는지요 ? → NO,
- 주로 우편으로 보냅니다. (인건비가 비싸서..)
- 광고지를 " flier " 라고 하는데 이는 신문 사이의 광고지가 바람
에 휙~ 날라가기도 하죠. 그래서 flier 이라고 하는군요.
- 강의실 입구에는 해당과목의 정리된 노트와 지금까지의 시험지도
돈을 받고 판매합니다.
≫ " aster "가 "과꽃"(=China aster)이라고 하는데..... Why ?
- 그리스어로 "aster"는 "별"이란 뜻입니다. 과꽃모양이 ★모양 처럼
생겨서 그런 것입니다.
※[어원] " aster, astr, astro " ⇒ " 별 "
ex) ┌ asterisk - 별모양의 것,별표(*)
├ asteroid - 소혹성,불가사리 - id →like
├ astrologer - 점성가 - loger → study
├ astronaut - 우주 비행사 - naut→sailor
├ astronomer - 천문학자 - nomer→rule
└ disaster - 천재,재난,큰 불행.- dis→apart
≫ " best man " 이 → "신랑의 들러리" 란 뜻이 된 이유는요 ?
→ 미국식 결혼에서 신랑의 들러리들을 "Grooms men"이라고 하는데 이들
중에서 신랑과 가장 가까운 친구이자 주(主)된 인물을 "best man"이라
고 합니다. best man은 신랑이 신부에게 줄 선물을 들고 있게 됩니다.
※ 영국에서는 들러리가 한 사람이므로 best man만 씀.
※ " bridesmaids " → " 신부의 들러리들 " 이들 중에서 주(主)된 인물
을 " maid of honor "-물론 미혼여성 입니다. [공주의 시녀(侍女)]
※ 입장하는 신부 앞에서 꽃을 뿌리면서 신부를 인도하는 소녀를
" flower girl "라고 합니다.
≫ 우리나라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미국의 것을 본뜬것이라고 하는데.
......좀더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 미국의 대학 수학능력시험을 " SAT "라고 합니다.
( Scholastic Aptitude Test )의 약자 입니다.(본국인만 해당됨)
→ 미국의 거의 모든 대학이 신입생 선발시 이 점수를 참고 합니다.
과목은 영어,수학 2과목이며 점수는 각각 800점씩 1600점 만점
입니다. 3시간에 걸친 객관식 시험이며 영어는 독해력,어휘에 중점
을 두죠. 1년에 6번을 응시 가능하며 그중 가장 좋은 점수를 가지고
대학 성적에 고교내신성적,추천서 등과 같이 반영하게 되죠.
(우리와 비슷하죠? 다른점은 여러대학에 응시가 가능하며 누구나
거의 대학에 들어가지만 졸업이 무척 힘든 편입니다.
→ 빠르면 대학을 2년 반개월 만에 졸업이 가능하며 대학원은 1년만에
졸업할 수 있지요.(왠지 아시죠?[5월28일자 표현정리] 참고 하세요.)
→ 외국인 경우에는 TOEFL 시험성적을 참고 합니다.
☞ 졸업식 ☜
졸업식을 영어로 graduation 이라고 하는데,어원인 gradus 는 라틴
어로 [단계],즉 step 을 뜻한다. gradually 는 [점점 더]라는 뜻이
되고 ,degree(학문의 단계,즉 학위),progress(앞 단게로 가다,즉
진보하다) 등은 여기에서 나온 말이다.
미국에서는 졸업식을 graduation 이라 하지 않고,보통 commenceme-
nt 라고 말한다. 이것은 [개시,시작]이라는 뜻인데,오랜 학업을 끝
내고 한 사람 몫을 할 수 있는 인간으로서 인생을 시작한다는 깊은
뉘앙스가 있는 말이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6월에 졸업식을 하는데,
그날은 검은 cap and gown 으로 정장한 senior(4학년생)들이,학위
와 각 학부 고유의 colorful 한 gown 모습을 한 교수진을 선두로
신록이 눈부신 교정을 parade 하고 대강당으로 향한다.
우선 national anthem (국가) 제창을 하고,목사에 의한 invocation
(기도), 그리고 president's address(학장 축사)를 한 다음 졸업생
들은 한 사람씩 단상으로 올라가서 학장으로부터 직접 diploma(졸
업장)을 받는다. 우리나라 대학의 졸업식보다 훨씬 무게가 있다.
입학하기는 어렵지 않지만 졸업하기는 힘든 미국대학이어서 졸업식
이 그렇게 성대한지도 모른다.
☞ 여성을 칭찬하는 말 ☜
한국에서는 여성을 칭찬하다가 잘못하면 오해를 사기 십상이지만 ,
외국에서는 여성을 보면 칭찬하는 것이 에티켓이다. 그렇다고 무턱
대고 칭찬하는 것이 아니라 아직 잘 모르는 사이라면 직접 본인을
칭찬하기보다는 우선 의복이나 소지물을 칭찬하는 것이 좋다.
What a lovely sweater you're wearing! (스웨터가 멋진대요)라든
가 You look real cool in that dress. (그 드레스가 참 근사하군
요) 처럼 말할 수 있다. 이 cool 이라는 말은 한때는 많이 사용했
지만 최근에는 좀 한물 간 말이 되어 버렸다. 이 경우의 cool 은 [
근사한,멋진] 이라는 말이다. 혹은 I like your hairstyle. (머리
모양이 마음에 드는군요) 하고 헤어스타일을 칭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고, 더 나아가서 Your hair is beautiful. 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섹스에 관한 것을 노골적으로 화제에 올리는 것은 삼
가는 것이 좋다. 가령 sexy 라는 말은 면전에 대고 말하는 것은 바
람직하지 않다. 그 자리에 없는 제 삼자에 대해서도 [ She looks
very sexy in her jeans.] ( 진 차림의 그 여자는 아주 섹시해요)
정도로 그치는 것이 좋다. 몸차림이 단정하거나 모양새가 좋을 때
우리말로 [스마트 하다 ]고 하는데 영어의 smart 는 [머리가 좋다,
영리하다]라는 뜻이다.
* Tom 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단어.
Tom : 백인에게 굽실거리는 흑인.
Blind tom : 술래 잡기.
Tom and Jarry : (미) 럼술에 달걀,우유따위를 섞은 것.
Tom,Dick and Harry : (구어) 너나 할것 없이, 어중이 떠중이.
Tomboy : 말괄량이. Tom cat : 숫코양이.
pipping Tom : 여자의 벌거벗은 모습을 염탐하는 남자.
( 유래 -- 11세기 영국에서 과중한 세금에서 주민들을 구하기 위해
모시아백작의 아내 고디바가, 알몸으로 백마를 타고 마을을
달리면 세금을 낮추겠다는 남편의 내기에 응하게 된다.
그녀가 말을 타고 마을을 지날때, 창가에서 Tom 이라는
재단사가 몰래 훔쳐보다가 장님이 되었다고 하는데서
pipping tom 이 유래 )
....Tom은 미국의 대표적인 남자 이름 ( Ex 철수 )
미국에서 Tom 이라는 이름은 않좋은 뜻이 많은데, 이름자체가
흔하고 쉬워서 좋지 못한 뜻에 많이 쓰인다.
[어원]
성경에서 Tom은 예수의 제자였는데, 특히 의심이 많아서 자신의 눈으로
보지 않고서는 예수의 부활을 믿으려 하지 않았다고 함.
》 미국의 여러 party의 종류와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 우리나라의 party(잔치)와는 근본적으로 개념이 서로 다릅
니다.
▶우리나라는 아는사람끼리 모여 먹고(중요하죠?) 마시고 노
래하고...낯선 사람끼리 서로 모여 서먹서먹해 할까봐 친지
,동창,직장동료,이웃...등등 이처럼 따로 따로 여러차례 파
티(?)를 치루게 되죠.
▶미국은 낯선 사람끼리 만남의 장소로 제공해 주는 듯한 의
미도 다분히 있고 그 파티에서 아주 공식적인 행사 외에는
참석자 서로가 뿔뿔이 각자 행동하죠. 주인공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서로를 소개 시켜주지 않는한 아무도 반겨주지 않습
니다. (파티가 삭막할 것 같죠? 먹을것도 별로 없구요,
아마 잘 알지 못하고 우리나라 사람이 서양의 파티에 초대
받고난 후에는 시시하다고 실망을 하게 된다고 하는데....)
- dinner party : (격식을 갖추고 이루어지는 party중 하나로
초대장을 받은 사람만이 참석 할 수 있습니다.
- coktail ″ : 저녁 식사후 간단한 술과 스넥으로 즐기죠.
- hail and farewell party : 사람을 보내고 맞이하는 파티
* hail - ∼라고 부르며 맞이하다.
* farewell - ( = goodbye )
- custom party : 색다른 가장을 하고 즐기는 파티
- surprise 〃 : 주인공 몰래 친구들이 깜짝 놀라게 하는...
- birthday 〃 : 생일 파티
- open house : 공개 파티, 우리의 '집뜰이'와 비슷하기도.
- baby shower : 아기가 태어나기 전에 친구들이 아기의 용품
을 미리 사주는.....
- birdal 〃 : 신부에게 살림 용품을 친구들이 선물하는..
- dance party : 학교에서 주최하는 파티중 가장 성대한 파티
그 중에서 졸업생을 위한 파티로 학생들에게
시선을 받는 파티는 " prom (무도회)" 입니다.
- home coming : (일년에 한번 졸업생들을 불러 여는) 대학제
,동창회.....
- GI party : 미군부대에서 미군 병사들이 모여 청소를 시
작하는 파티를 말합니다.
* G.I. -(Government Issue)
》 (俗談) " Pitchers have ears. " ( 직역: 주전자에는 귀가 있다.)
→ " 낯말은 새가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
→ 주전자의 손잡이가 사람의 귀처럼 생겼다는 것에서 생겨난 말
* pitchers :(귀모양의 손잡이와 주둥이가 있는) 물주전자
비슷한 말로 = " Walls have ears. "이 있습니다.
ex) You are a little pitcher.→ 넌 귀도 밝다.
ex) Little pitchers have large[long] ears.
( 직역: 작은 주전자 귀가 크다.)
:아이들이 어른들의 대화에 귀를 쫑끗 세우고 엿듣는데서 나온말.
→애들은 귀가 밝다.(언제나 말 조심을 해야죠.)
* 바늘구멍을 흔히 우리는 '바늘의 귀'라고 하는데 서양 사람들은
'바늘의 눈(Eye of the needle.)'이라고 하는군요.
* 'dear John letter', 'dear Jane letter' 등이 이별을 알리는
편지라고 하는데 여기서 John 이나 Jane 이 쓰인 이유는?
=> dear John letter : 이별을 알리는 편지, 절교장
이 말은 제 2차 세계대전 때 남자를 전쟁터에 보낸 여자들이
남자의 소식을 기다리다가 지쳐서 헤어지자는 편지를 쓴 것에
서 유래한 말입니다. 그 편지의 서두가 보통 "Dear John (사
랑하는 John 에게) ...."라고 시작되었기 때문이며 John 은
우리나라의 '철수'처럼 흔한 이름이기 때문에 쓰인 것입니다.
cf) 우리말의 경우 사람 이름이 정확하지 않을 때 '김 아무개
, 이 아무개'라고 하는데, 영어에서는 남자의 경우에는 '
John Doe', 여자의 경우에는 'Jane Doe'라고 합니다.
★ 【Pros and Cons 가 찬반양론 이런말이라고 하는데 왜그렇
습니까...?】
◐ < Pro >...찬성(론),찬성투표 의 뜻을 나타내는 접두어( = For)
< Con > ...반대,역,대응 을 뜻하는 접어.( = Contra,against)
Pro or Con = For or Against
※ Are you for or against ? 《 당신은 찬성합니까, 반성합니까..?》
★ 【Handicap 이 신체적인 장애란 뜻을 가지게 된 이유가 무엇..?】
...원래 영국,독일,스칸디나비아 등지에서 17 세기 경에 유행했던
게임의 일종입니다. Hand in the cap 이 말이 변형이 된것인데
이 게임의 목적은 값어치가 각각 다른 물건을 웃돈을 얹어서
교환하는데 있었다고 합니다.
게임은 심판과 물건을 교환할 두사람 으로 구성되며 심판이 가지고
있는 쳉모자나 중절모자에 세사람이 일정액의 돈을 넣게 된다고
합니다..물건교환을 찬성하게 된다면 심판이 정한 웃돈을 손에 쥔채
내밀고 찬성하지 않으면 빈손을 내밀게 된다고 하는데 , 두사람이
똑같이 동전을 내밀면 물건의 차액을 건네줌과 동시에 교환거래가
성립하며 중절모속의 돈은 심판의 차지가 되고 둘다 빈손을 내밀면
교환거래가 성립 않되고 역시 중절모속의 돈은 심판의 차지가 됩니다.
그러나 한사람는 찬성, 다른사람은 빈손을 내밀면 거래는 성립
안돼지만 걸었던 돈은 동전을 내밀었던 사람의 차지가 되었습니다.
이 같은 원리가 18세기 경마장에서 적용되씔심판은 두말중에
잘뛰는 말에 무거운 돌을 얹고 뛰게 하는 불리한 조건을 부과
함으로써 능력을 다른 두말사이에 정당한 경마 경기를 가능하게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Handicap 은 불리한 조건.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나아가서는 신체적인 장애란 뜻도 포함하게 되었다고합니다.
》 미국은 심판의 용어가 각 종목마다 다르다고 하는데 ?
→ Football의 경우 referee(주심), umpire(부심), linesman(선심)
선심에는 또 field Judge 와 line Judge가 있고 back Judge
(후심) 이렇게 6명과 선심을 보조하는 3명의 보조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베드맨턴,야구,수영,테니스의 주심을 : umpire
.권투,농구,미식축구,레슬링,하키,럭비의 주심을 : referee
.구기종목의 선심을 : Judge (권투에서는 부심을 Judge라고 함)
.심판에대한 총칭을 : Official라고 합니다.
* umpire 는 본래 ①제3자 ,②동등하지 않는자
> Ground-hog('s) Day - 성촉절(聖燭節) = Candlemas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잠을 자는 동물을 개구리와 뱀이라고 흔
히 말하는데 미국에서는 Groundhog(=woodchuck) 이라는 '옹
다람쥐 과 동물'로 굴을 파고 땅속에서 살며 겨울잠을 잔다.
이 동물은 2월2일이 되면 땅 밖으로 나온다고 하는데...
* 성촉 : 예수 부활 전날 밤에 쓰는 축성 밀촉
* 미국의 많은 직장인들은 언제 회사로부터 해고통지서를 받을지
몰라 몹시 불안에 떨고 있는데, 미국 언론에서는 이런 현상을
"Pink Slip 공포증"이라고 하는데 왜 해고통지서를 "Pink Slip"
이라고 합니까?
=> 요즘 미국에서는 경기침체로 인해 기구축소(Down Sizing
= Right Sizing)를 많이 합니다. 회사에서 주는 정식 해고
통지서를 "pink slip"이라고 하는데 이 말은 1925년경부터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직원을 해고할 경우에 흔히
월급봉투 속에 붉은 색으로 인쇄된 해고통지서를 넣어 주었
던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cf) pink slip n. 해고통지(서)
v. 해고시키다(속어:slang)
dismissal = discharge = layoff = removal 해고
》 미국에서 이사를 할때는 가구는 어떻게 하는지요.?
- 미국은 가구가 있는 Apartment 와 그렇지않는곳(unfurnished Apart
ment)이 있다고 합니다. 가구가 있는곳은 Furnished Apartment 라고
하는데 냉장고,세탁기 건조기와 경우에 따라서는 침대,소파,탁자가
있는곳도 있고 싱크대,조리용 레인지,오븐은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있
다고 합니다..일반 주택의 경우에는 계약조건에 따라서 가구가 있기
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는군요.가구등을 구입하면은 입주자의 소
유이므로 가지고 다닌답니다. 장농의 경우에는 북받이 장롱이 방마다
있어서 장농을 사는일과 이사할때 장롱때문에 고생하지는 않는다는군요
2) You ever need any references, I'm your man.
혹시라도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라도 말하세요.
무엇이든 도와드리겠어요.
-->> * 여기서 I'm your man은 "나는 당신의 연인"
이 아니고, "무엇이든지 도와드리겠다"라고
번역합니다.
* References => 참고, 참고할 서류(사항)
취직/학교 입학때 중요하다고 하는데,
미국에서는 직장을 옮길때, 반드시 전 직장의
참고자료, References가 꼭 중요하게 붙어다
닌다고 합니다.
★ [ 숫자를 읽는 법 ]
e.g.
1) 120 : one hundred (and) twenty
2) 359 : three hundred (and) fifty nine
3) 2,898 : two thousand, eight hundred (and) ninety-eight
4) 1,506 : one thousand, five hundred and six
5) 1,700 : one thousand, seven hundred
6) 47,309 : forty-seven thousand, three hundred and nine
7) 559,921 :
five hundred fifty-nine thousand, nine hundred twenty-one
8) 5,779,075 :
five million,seven hundred seventy-nine thousand,seventy-five
위의 보기는 가장 기본적인 숫자 읽는 방법입니다. 보기 중, thousand
와 million에 의해서 끊어지는 부분을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 [ 일상회화에서 사용되는 숫자를 읽는 법 ]
일상회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숫자 중, 건물의 번지수와 호텔,여관
등의 호실을 읽는 것은 필수 입니다. 그 읽는 방법을 다음에서 알아봅
시다.
위의 보기를 다시 이용해 보면, 먼저 1과 2처럼 3자리 숫자로 되어
있는 것은, 1) one twenty 2) three fifty-nine과 같이 백자리와 십자
리를 나누어 읽습니다. 4자리 숫자가 되면 3) twenty-eight, ninety-
eight로 읽는데, 4)처럼 십자리 숫자가 0인 경우에는 fifteen-on-six로
읽고, 5)처럼 십자리 이하가 모두 0일 경우에는 seventeen hundred로
읽습니다. 연도를 읽을 때도 역시 이 방법을 사용합니다. 또한 사람에
따라서는 숫자를 하나씩 읽기도 하는데, 1)을 one-two zero [oh]로 읽
는다든지, 3)을 two-eight-nine-eight로 읽는다는 뜻입니다. 6)의 경우
처럼 5자리 숫자의 경우에도 이것이 미국의 우편번호에 쓰인 것이라면,
four-seven-three-zero[oh]-nine처럼 숫자를 하나씩 읽습니다.
전화나 크레디트 카드의 번호가 03-123-4567일 경우, 그 읽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3가지가 쓰일 수 있습니다.
1) zero[oh]-three,one-two-three,four-five-six-seven
2) // , // ,forty-five sixty-seven
3) // ,one twenty-three,forty-five sixty-seven
-----------------------------------------------------------------
★ [ 소수.분수.서수의 읽는 법 ]
1) 소수의 경우는 소수점을 'point'라고 읽고 숫자는 그대로 읽습니다.
e.g. > 0.2 : (zero) point two
> 0.05 : (zero) point zero five
> 1.7 : one point seven
> 25.9 : twenty-five point nine
그러나 $35.9 라는 가격을 읽을 경우, 다음과 같은 읽는 방법이 있습
니다. > thirty-five point nine dollars
> // dollars and nine cents
> // ,nine
2) 분수의 경우는 분자를 기수로, 분모를 서수로 읽으며,분자가 2이상
일 때는 복수형으로 읽어줍니다. 또한 ½은 half로, ¼은 quarter로
읽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e.g. ⅓ : one third ⅔ : two thirds
3/5: three fifths
3) 일반적으로 서수를 사용하는 경우의 예를 다음에서 참고하세요.
e.g. > 7층 : the seventh floor
> 5번가 : Fifth Avenue ('다섯 번째 대로'라는 뜻)
> 4번째 : the fourth time
> 오른쪽에서 6번째 : (the) sixth from the right
> 제 2과 : the second lesson
> 7월 4일 : July (the) fourth/(the) fourth of July
> 우리는 '차들이 거북이 운행을 한다.'라는 말을 하는데 영어에
서도 거북이처럼 느리다는 표현을 사용하나요 ? - Yes.
- 'as slow as a turle' 또는 ' tortoiselike '가 그같은 말 입
니다. 모두 거북이처럼 느리다는 의미가 됩니다.
- 거북이 외에도 느린 것에 비유되는 동물에는 달팽이(snail),
민달팽이(garden slug), 나무늘보(sloth) 등이 있습니다.
(ex)
- You're too fat and out of shape to outrun a garden slug !
( 너는 너무 뚱보라서 민달팽이도 따라 잡지 못"할꺼야! )
- The fat man walked as slow as a turtle.
( 그 뚱뚱한 사람은 거북이처럼 느리게 걸었어요.)
- I hate those snail-paced guys.
( 저 느림보 녀석들은 정말 싫어요. )
☞ Britain 과 England의 차이
우리나라 사람 가운데 Britain과 England를 동의어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은데, 이 두개의 지명이 가리키는 범위에는 차
이가 있습니다. 그 차이를 일으키는 것은 Wales 와 Scotland로,
이들은 England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Britain에는 포함 됩니다.
즉, Britain은 England와 상기의 두 지방으로 이루어지는 큰 섬
전체를 가리키는 것이죠. Britain의 기원은 신화에 따른 것으로
Aeneas의 자손의 영웅 Brutus에서 나온 것이라고 하는데, 이는 파
리가 Troy의 왕자 Paris에서 나왔다는 것과 같은 이야기입니다.
I'd like you to meet a friend of mine.
제 친구를 소개 드렸으면 하는데요.
>> Thay would have done that by now.
: 지금쯤은 그렇게 했어야 했는데요.
* 가정법 과거완료 주절(귀결절)의 형태입니다.
( 과거에..을 했어야 하는데...[못했다] )
'crocodile tears'가 '거짓눈물이라고 하는데 왜 그런
뜻이 되었는지요?
알려진 바에 의하면 악어는 큰 먹이를 삼킬 때 눈물을
흘린다구요.직역을 하면 악어의 눈물인데,사실 악어가
미안한 마음에 눈물을 흘리는 것도 아니고,맛있게 먹
으면서도 겉으로는 눈물을 흘리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
에 생겨난 말이랍니다.
[Q] canned music이 "레코드 음악"이라고 하는데 왜 그런가요?
[A] 속어로 쓰이는 canned의 뜻
1) 술에 취한. ex) They are very canned.
2) 녹음이 된. ex) canned music(녹음이 된 음악)
3) 신선하지 못한. ex) canned cow(통속에 들어있는 우유)
canned는 can에 어원을 두고 있음.
★ live music : 생음악.
canned music : 노래를 녹음하고 편집한 인위적인 음악.
(보관해 두었다가 아무때나 들을 수 있는 것처럼
마치 깡통에 음식을 가공해 두었다가 꺼내 먹을
수 있다는 것에서 비유되서 생긴 말)
[Q] 'deans list' 우등생 명부라고 하는데, 이 유래에 대해서
말씀해 주세요!
[A] 매학년이나 학기말에 대학당국이 작성하는 우등생 명부.
dean은 대학의 학과장 또는 학장.
우등생 선발도 학장의 소관이므로 우등생의 이름을 학장
이 관리.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 유래.
honor roll : 우등생 명단. 미국의 중학교나 고등학교에서
어떤 기준이상의 점수를 낸 학생.
honor's college : 우등생만 전문적으로 하는 대학.
* 틀린글자를 지울 때 쓰는 백색 수정액을 우리는 흔히 "화이트"
라고 부르는데 이것이 맞는 표현인가요?
화이트는 잘못된거고, 일반적으로 White-Out이라고 하고, 본래
눈앞을 가릴 정도의 눈보라를 whiteout이라고 하는데, 미국의
수정액 상표이름인 whiteout에서 비롯된것이고, 완전히 지운다
라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의 뜻으로 whiteout을 쓰기고 하고,
Correcting Fluid, Correction Fluid라고도 합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포스트잇은 self adhesive label이라고 합니
다.
[Q] TV프로에 보면 "나서기"라고 하는 사람이 가끔 나오잖아요.
저의 부서에도 나서기 좋아하는 사람이 있거든요. 그 사람때문
에 다른 사람이 아주 괴로워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 사람이 나서서 일이 잘 되기 보다는 일을 망쳐놓는
경우가 더 많았거든요. 우리끼리 모여서 하는 말로...
"우린 저 사람때문에 되는 일이 없어!"
"우린 저 사람때문에 안돼!"
하고 말을 하는데, 이런걸 어떻게 하나요?
[A] (어떤 일이) 되어가다, 진전이 있다. => get somewhere
반대 : (일이) 잘 안 되다. 진전이 없다. => get nowhere
우리 저 사람때문에 되는 일이 없어.
=> We are get in nowhere(anywhere) because of him.
or We aren't in anywhere because of him.
아~ 오늘은 되는 일이 없어!
=> Is not going anywhere today?
아~ 오늘은 내가 왜 이러지...
=> I'm not myself today.
or It's not my day.
* 비행사의 교신에서 보면 말 끝에 ROGER 라고
하는데 이 말은 " 상대방의 이야기를 잘 받았다 "
는 뜻입니다.이 밖에 용어를 알아 보면
OVER -> 응답바람
OUT -> 이상 교신 끝
WILCO -> 내용을 정확히 알고 그렇게 함
RADIO CHECK -> 잘 들리는 지 알아 보는 확인
I HEAR YOU R.C. -> 잘 들려요.
- 우리나라 사람이 미국에 가서 택시를 탔는데, 운전수가 뒤
돌아보면서 "Single"하고 묻더랍니다. 그래서 "혼자"라고
생각했는데, 그 운전사 왈 "잔돈이 없는데, 1$짜리 갖고
있는가"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Single"이 어떻게 1$짜리
가 되었고, 그 밖의 쓰임에 관해서 물으셨읍니다.
===> 93년 2월호 GMP 책자내 자문위원님이 "Single"때문에
겪었던 일을 진술한 것이 있는데요. Single이라는 뜻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형용사나 명사로는 "하나"라는
뜻으로 Double, triple, compound와는 상대적인 뜻으로
쓰이고, 동사로서는 여러개 중에서 뽑아내다. 선택적
으로 쓰이다라는 뜻이 됩니다. 최인선 가족이 물으신
대로 Single이 미국에서는 1$짜리 지폐로 쓰이고,
영국에서는 1 pound짜리 지폐로 쓰이는데, 이것은 모두
"하나"라는 명사로써 쓰인 것입니다. 호텔에서 방을 말
할때 한 사람이 사용하는 방을 'Single'이라고 이야기
하죠. 그리고 1인용 침대는 'Single Bed'라고 말하구요
미국에서 편도용 차표를 'One-way ticket'이라고 하는
데, 영국에서는 'Single ticket'이라고 합니다. 음악이
담겨있는 Record중 양쪽에 한 곡씩 들어있는 판을
'Single'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결혼하지 않은 미혼인
상태를 'Single'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미혼인 남녀가
찾아가는 술집을 'Single Bar'라고 하고, 결혼하지
않고 혼자사는 생활을 'Single life'라고 합니다. 배우자
가 없이 혼자 자녀를 키우는 사람을 'Single Parent'라고
도 합니다. 운동 경기에서도 'Single'의 뜻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Tennis나 탁구에서 '복식'을 Double, '단식'을
'Single'이라고 하죠. Golf에서 handy가 10 미만인 실력
을 Single이라고 합니다. 야구에서 Single은 1루타를 치
는 것을 말하고, Single home-run은 보통 말하는 "솔로
홈런"을 일컫습니다. 스키장의 Lift앞에서 누가 Single
이라고 물으면, '같이 Lift를 타도 되겠는가?'라는
뜻이 됩니다.
< Q > 어떤 사람이 옆에서 귀찮게 하거나, 기분 나쁘게 만들때
일이 잘 되어가는 상황이 자기가 예상했던 것보다 나쁘
게 진행되어 갈때, 우리가 흔히 '야! 정말 짜증나네.'
'야! 정말 열받으네.'라고 하는데, 이런 말들은 영어로
어떻게 하는지....
< A > 속어에 대한 말은 영어로 옮길때는 별의미가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 화나네', '야! 신경질난다'로
바꾸어 말한다면...
㈀ It's really getting to me.
㈁ It's getting on my nerves.
㈂ It's really picking on me.
㈃ It's bugging me.
㈄ It's bothering me.
㈅ It's driving me crazy가 됩니다.
사전에서 'donkey'는 미국민주당을 상징하고 'elephant'는
공화당을 상징한다고 하는데 왜그런지요?
1874년 미국의 만화가 토마스 네스트가 하펄스 weekly라는
주간지 만화란에 그림을 개재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많은 만화가나 연사들이 사용함으로써 donkey는 미국의 민주당
(Democratic party)을, elephant는 미국의 공화당(Republican
party)를 상징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Q>"see the handwriting on the wall" 가 '불길한 예감이 들다'
'임박한 재난의 징조'라고 하는데 이유가 뭐에요?
A>구약성경 다니엘 5장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 B.C 605년에
바빌론의 왕에게 패망하여 포로로 이끌려 갔던 이스라엘 사람
중에 다니엘이란 사람이 있었는데,그는 신앙심이 깊고 지혜로
운 사람이었다고. 그왕의 아들이 예루살렘에서 빼앗은 온갖
금과 은그릇으로 잔치를 베풀때에 사람의 손가락이 나타나
왕궁 촛대의 맞은편에 글자를 썼는데 이것을 본 왕의 아들이
공포에 질려 나라의 모든 유명한 점장이를 불러 이 글을 해
석하고자 했으나 아무도 알지 못했고,이때 다니엘이 '왕의
시대가 지나갔음'을 예언하였으며 곧 현실로 나타났다.
이때부터 생겨난 말이라고하네요.
우리들이 주유소에 가서 기름을 가득 채워 주세요.라고 말할 때
Fill her up, please.
it
Five dollars, please. 5달러어치 주세요.
주유소를 gas station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gas란 휘발유를 뜻합
니다.
A: Hello ?
B: Repair service. May I help you ?
A: Yes. My phone is out of order.
B: What seems to be the problem ?
A: I don't get a dial tone.
B: All right. What's your number ?
A: 382-7613.
B: Okay, we'll take care of that. Try again in a few minutes.
A: Thank you.
B: You are welcome.
-
A: 여보세요 ?
B: 수리국입니다. 뭘 도와 드릴까요 ?
A: 네. 우뫙 전화가 고장났어요.
B: 어떻게 고장이 났죠 ?
A: 전화 신호가 떨어지질 않아요.
B: 알았습니다. 몇번이죠 ?
A: 382-7613입니다.
B: 고쳐드리겠습니다. 몇분후에 다시 걸어 보십시요.
A: 감사합니다.
B: 천만에요.
-
전화가 잡음이 많이 날 결우 전화회사 수리국에 신고하는 것
을 대화로 엮어 보자. radio나 TV또는 전화의 「잡음」을 static
(스태틱)이라고 한다.
-
A: Repair sevice. May I help you ?
B: Yes. My phone has lost of static.
A: How old is your phone ?
B: About 10 years old.
A: The wiring in your phone may have gotten rusty then.
Could you bring your phone to our office ? We'll clean
it for you.
자료가 1000라인이 넘어 잘랐습니다.
검색은 105 건, 총 1000 라인의 자료가 출력된 상태에서 중단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