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auditory-verbal approach 청각 대화 방식
colloquist 〔k´al∂kwist〕 대화자
colloquize 〔k´al∂kw`aiz〕 대화하다
conversation 〔k`anv∂rs´ei∫∂n〕 회화, 담화, 대화, 좌담(familiar talk), (정부.정당등 대표자와의)비공식 회담, 성교, 친교, 사교, (컴퓨터와의) 대화
dialogic 〔d`ai∂l´adзik〕 대화(체)의, 문답(체)의
dialogist 〔dai´æl∂dзist〕 대화자, 대화(극)작가
dialogize 〔dai´æl∂dз`aiz〕 대화하다
dialogue 〔d´ai∂l`o:g〕 대화, 문답, 의견 교환, (극, 이야기중의)대화 부분, 대화하다
dialog 〔d´ai∂l`o:g〕 문답, 대화
Dictograph 〔d´ikt∂gr`æf〕 딕토그래프(고성능 송화기로 별실의 대화를 몰래 청위 녹음해 두는 장치)
duologue 〔dj´u:∂l`o:g〕 (두 사람의) 대화, 대화극
fasciation 〔f´æ∫i`ei∫∂n〕 붕대 감기, 대화 현상
Great Fire (1666년의)런던 대화재
interlocution 〔´int∂rloukj´u:∫∂n〕 대화, 문답(dialoguge
interlocutory 〔`int∂rl´akj∂tori〕 대화의, 문답체의, 대화중에 삽입하는, (법)중간의, 최종적이 아닌)
interlocutor 〔`int∂rl´akj∂t∂r〕 대화자, 대담자, 질문자, 흑인연주단의 사회자
manmachine system 인간 기계계(인간 및 인간이 조작하는 장치, 기계를 구성 요소로 하는 체계), (협의로)인간과 컴퓨터와의 대화 형식에 따라 작업을 진행하는 시스템
marriage encounter 결혼 대화(몇 쌍의 부부가 모여서 부부간의 문제를 토의하여 부부 관계를 개선 하려는 방법)
monument 〔m´anj∂m∂nt〕 기념비, 기념상, 기념문, 기념관, 기념물, 문서, 기록(the Monument 1666년 런던 대화재 기념 원탑
polylogue 〔p´ali`o:g〕 복수 대화(토론)
protocol 〔pr´out∂k´o:l〕 의정서, 의례, 프로토콜(컴퓨터 상호간의 대화에 필요한 통신규약), 의정서(조서, 초안)를 작성하다
talky 〔t´o:ki〕 수다스러운, (극, 소설 등) 쓸데없는 대화가 많은
inter-Korean dialogue 남북한 대화
sign language 몸짓 대화, 수화
dialog 의견 교환; 대화; (연극 등에서 등장 인물이 나누는) 대화 부분
interactive 상호 작용하는, 대화형의
interactivity 쌍방향 참가, 대화식 이용
table 테이블, 탁자; (이야기, 대화를 위해) 테이블에 둘러앉은 사람들; 회의 장소
talking 이야기하기, 대화, 토론
I happened to overhear their conversation. (우연히 그들의 대화를 들었어요.)
She asked him to continue the conversation later. (그녀는 그에게 대화를 나중에 계속하도록 요청했습니다.)
나는 니가 그리워, (그중에서도) 우리가 나누던 대화가.
I miss you, our talks.
좋은 대화를 가졌어.
He has a good jaw.
I really enjoyed talking with you.
당신과 정말 즐거운 대화를 나누었읍니다.
an animated discussion [ conversation ] 활발한 토론 [ 대화 ]
She engaged him in conversation. 그녀는 그를 대화에 끌어들였다.
[세관] 이민국직원과의 대화
-
May I see your passport and landing card,please?
Are you here for business?
You may go to the customs counter.
What is the purpose of your visit to America?
여권과 입국카드를 보여주실까요?
사업상 오셨나요
세관대로 가셔도 됩니다.
미국방문의 목적이 뭡니까 ?
입국 조사관과의 대화
직원: May I see your passport?
여권을 보여 주십시오.
여행자: Here it is.
여기 있습니다.
직원: Do you have anything to declare?
신고하실 것이 있습니까?
여행자: No, I don't.
아니오, 없습니다.
직원: What's the purpose of your visit?
방문 목적은 무엇입니까?
여행자: I'm here on business.
사업상 왔습니다.
직원: How long are you going to stay in the United States?
미국의 어디에서 계실건가요?
여행자: At the White Hotel in New York.
뉴욕에 있는 화이트 호텔에 있을 것입니다.
운전사와의 대화
운전사: Good evening. Where to, sir?
안녕하십니까? 어디로 모실까요?
승객: Will you take me to the Capital Hotel?
캐피털 호텔로 데려다 주시겠습니까?
운전사: All right, sir.
알겠습니다.
승객: How long do you think it will take?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요?
운전사: I guess we'll be there in 20 minutes or so.
거기까지 20분 정도 걸릴거라고 생각합니다.
승객: How much do I owe you?
얼마입니까?
운전사: That'll be seven dollars, sir.
7달러입니다.
승 객: OK. Here you are. Keep the change, please.
네, 여기 있습니다. 거스름돈은 그냥 두세요.
운전사: Thank you, sir.
감사합니다.
* 대화중일 때
Can I wait?
기다려도 될까요?
All right, I'll wait.
좋아요, 기다리겠습니다.
The ballad is characterized by informal diction, by a narrative
largely dependent on action and dialogue, by thematic intensity,
and by stress on repetition.
발라드 (ballad /음악의 한 형태)는 다음과 같은 4가지의 특징을 가진다.
즉, 격식을 차리지 않은 말씨, 주로 행동과 대화에 의존하는 해설,
주제의 강렬함, 그리고 반복에 대한 강조 등이다.
Two's company, three's crowd.: 단둘이서 즐거운 시간을 즐기세요.
→ 본인의 합석으로 인해 상대방의 대화 분위기를 깨뜨리고 싶지 않아 사양하고자 할 때 쓰며 three's crowd를 생략하기도~
shoot the bull: 자유롭게 이야기하다, 허풍을 떨다
→ 미국 성인 교육기관의 ‘bull session'에서 젊은이들이 자유로운 주제로 대화한데서 유래. 대화가 막히는 사람에게 ’shoot the bull'이라고 격려하고 이때 각 청년들은 ‘bull'로 간주되었을 지도~.
[比較] silent, noiseless, quiet, still
silent의 주체가 반드시 침착하거나 동작도 정지하고 있다는 뜻을 내포하지는 않는다.
a silent conversation(농아자끼리 손짓 등을 사용한 무성의 대화)
quiet는 「소리를 내지 않는」이란 뜻 이외에 「(소리가) 조용한」이란 뜻이 있고, 또한 불필요한 동작의 부재를 나타낸다.
a quiet street(북적거리지 않는 거리)
still은 그 주체의 상태가 평온하거나 동작이 정지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It was so still that you could have heard a pin drop.
noiseless는 흔히 기계 등의 성능을 언급할 때 쓰인다.
[比較] what ever, whatever
(a) 의문사: what ever는 의문사 what의 강조형으로 ‘무식한 또는 극히 구어적인’ 용법에 속하고, What ever can it mean?(대체 무슨 말이냐?), What ever shall we do?(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 같은 글은 구어적인 대화를 그대로 옮겨 놓는 경우 이외에는 글에 쓰여서는 안되며, 반드시 두 낱말로 떼어놓아야 한다. whatever를 의문사로 이용해서, Whatever have you done?(대체 무슨 일을 저질러 놓았느냐?)처럼 하는 것은 그릇된 용법이다.
(b) 관계사: whatever는 복합관계사 what의 강조형으로, all that, any(thing) that(~인 것은 모두, ~인 것은 무엇이나)를 의미한다.
Eat whatever you like./ Whatever is left over is yours.
또한 형용사로도 쓰인다.
Whatever request you make will be granted.(네가 요구하는 것은 무엇이든 들어주겠다.)
형용사로 쓰이는 경우 더 한층 강조하기 위해 any, no 따위로 수식된 명사 다음에 자리를 잡아, for any reason whatever(여하한 이유로든지)처럼 할 수 있다. for whatever reason보다 뜻이 강하다.
I have no plans whatever.
(c) whatever는 또한 양보절을 도입하는 경우에도 쓰인다.
Whatever happens, we'll meet here tonight./ Whatever man told you that, it is not true.
여기의 whatever는 관계사로 쓰일 때의 whatever와 용법이 다르지만, 그 차이는 별로 크지 않다. 따라서 whatever he has done he repents와 같은 글은 ⓐ 일을 다르게 했었더라면 좋았을 것을 하고 뉘우치는 우유부단한 사람을 가리켜서 ‘그는 자기가 한 일을 모두 후회하고 있다’를 의미할 수도 있고, ⓑ 큰 죄를 범한 사람일지도 모르지만 중요한 것은 후회한다는 사실이다를 가리켜서 ‘무슨 일을 했든지, 그는 후회하고 있다’를 의미할 수도 있다. ⓑ는 양보를 나타내는 절로, whatever-clause 끝에 콤마를 두면 ⓐ와 혼동될 염려가 있다.(ⓐ의 경우에는 콤마가 쓰이지 못한다)
남/북한이 서로 대화에 익숙해 지기 시작했다.
North and South Korea begun to get used to talking to each other.
문제는 대화를 남한과 진행시키는 것이다.
The problem is to get the dialogue going with the South.
이것을 이해할려고 노력하면서 남한은 Kim이 공표해왔던 대화를 바쁘게 분석하고 있다.
Trying to make sense of this, The South Korea are busily analyzing
some conversations of Kim that have been made public.
How's it going?
How are you today?
How are you doing?
How's everything going?
What's cooking?
안녕하십니까?
cf) How have you been?
그 동안 어떻게 지냈습니까?
* 미국인들과 대화할 때는 반드시 그들의 얼굴을
똑바로 쳐다보는 것이 좋다.
Don't jump to conclusions! 속단 하지 마!
* 어떤 대화중 한 사람이 상황이 불리해지자 다른 말로 돌려
이야기 할려고 할 때 다른 한 사람은 '딴 소리 하지 마라!'등과
같은 말을 한다. 이 말을 영어로 표현해 보면
Don't change the subject!이다. 여기서 subject는 화제, 즉
대화의 주제를 말한다. 따라서 '화제를 바꾸지 말라!'
'엉뚱한 소리하지 말라!' '딴소리 하지 말라!'는 말이 된다.
그리고 흥분해 하는 상대방을 보고 Don't steam이라고 한다면
Don't be angry 또는 Don't be mad, Don't get excited와 같은
의미가 된다. 이런 말 다음에 Hear me out이라고 한다면
'끝까지 내 말을 들으라'는 말이므로 기억해 두었다가
한 번 쓸 수 있도록 해보자. 그리고 윗 표현에서 글자 그대로
해석해 보면 '결론으로 뛰지 말라'는 말이 되는데 '속단하지
말라'는 우리말의 의미가 된다.
By dinnertime, Richard has brooded his way into a tragic and cynical mood.
저녁식사 무렵 리챠드는 수심에 잠기다가 비참하고 냉소적인 기분에 빠진다.
He disdains food and polite conversation.
그는 음식과 점잖은 대화를 외면한다.
His father is more intent on discovering whether
the boy has actually had any relations with the prostitute.
아버지는 그가 창녀와 실제로 어떤 관계가 있었는지를 알아내는데 더 많이 신경을 쓴다.
He is delighted by the boy's indignant denials,
아들이 펄쩍 뛰며 부인하는 것을 보고 기뻐한다
and after a fumbling attempt to explain why Richard should stay away from such
women, Nat is happy to end the conversation.
그리고 리챠드가 그런 여자들을 멀리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느라고 쩔쩔매다가
나트는 기꺼이 대화를 끝낸다.
As the men drift in and out of sleep, they talk of their
various plans to get back to work, or they dully repeat the
insults and boasts that constitute most of their conversation.
잠이 들었다 깼다하는 동안 그들은 일자리로 돌아갈 여러 가지 계획
을 이야기하거나, 대화 내용의 주류를 이루는 모욕과 허풍을 지루하
게 반복한다.
Stanley overhears the conversation.
스텐리는 그 대화를 엿듣는다.
In fact, President Kim met with his two rivals shortly after the April
vote and asked for their cooperation to realize what he called ``grand
politics'' through dialogue and compromise. But this did not happen until
the rival parties struck a deal last week to normalize legislative activity
with the ruling party agreeing to consider opposition demands _ legal
and institutional guarantees for the political neutrality of law
enforcement authorities.
사실, 김대통령은 4월 총선 직후 두 야당 총재들을 만나 김대통령이 일컫
는 "큰 정치"를 대화와 타협을 통해 구현하기 위해 야당총재들의 협조를 구
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사법당국의 정치적 중립을 법적으로 그리고
구조적으로 보장하라는 야당의 요구를 여당이 협의대상으로 삼겠다고 동의
함으로써 지난주에 입법활동의 정상화가 이루어질 때까지는 이루어지지 않
았다.
institutional : 기구의, 기관의, 구조적인
neutrality : 중립, 중립성
law enforcement authorities : 사법당국(검찰과 경찰등)
It was exactly 25 years ago on Aug. 12, 1971 that the South Korean
Red Cross first proposed inter-Korean Red Cross talks and this date is
commemorated as it successfully opened formal inter-Korean dialogue
for the first time in the 26 years since national division in 1945.
대한 적십자사가 남북 적십자 회담을 처음 제안했던 것은 정확하게 25년
전인 1971년 8월 12일로써, 이날은 1945년 민족이 분단된 이래 26년만에 처
음으로 공식적인 남북 대화가 성공적으로 열렸던 날로 기념되고 있다.
commemorate : 기념하다, 축하하다, 기념이 되다
inter-Korean dialogue : 남북한 대화
The key to the successful four-way conference is the resumption of
inter-Korean dialogue. Pyongyang, however, has been seeking a way out
of its plight through negotiations with Washington and Japan alone, to
the exclusion of Seoul. But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ill not give
massive assistance to the North if it flies in the face of economic
logic.
4자회담의 성공 여부는 남북한 대화의 재개에 달려 있다. 그러나, 북한은
한국을 외면하면서, 미국과 일본의 협상을 통해서만 곤궁을 타결하려 들고
있다. 그러나 미국과 일본은 경제 논리에 저촉될 경우에는 북한에 대규모
지원을 주지 않을 것이다.
resumption : 재개, 회복, 되찾음, 요약
plight : 곤경, 궁지, 어려운 입장, 서약, 맹세; 서약하다, 약혼하다
exclusion : 제외, 면제, 해제
fly in the face of : ...에 대항하다, ..에세 정면으로 대들다
logic : 논리, 논법, 조리, 설득력, 논리학
Dialogue is supposed to be interactive. Because there was a lot of essential
issues not discussed during the meeting, many people felt thirsty for fresh
answers to honest questions.
대화란 쌍방통행이다.
급하게 많은 소재가 다뤄져 대화의 왕복성 (往復性) 이 부족했다.
정치자금.내각제.정계개편 등에 대해 이해가 되지 않는 시청자들은 후속토론을
원했을 것이다.
Now you're talking. (상인 고객과의 대화중):물건을 사겠다.
이제서야 마음에 드는 말을 하는군요.(동감의 표시)
☞ 셔츠 ☜
[셔츠]라는 말은 영어의 shirt 에서 온 말인것은 누구나 안다.
우리는 그말을 와이셔츠,내의,티셔츠....를 가리키는 말로 쓰지만
그쪽 사람들과 대화할 때 셔츠라고만 해서는 좀 애매해진다.
영어에서 그 구별을 하기 위해서는 딴 말과 함께 사용해야 명확해
진다. 내의는 T-shirt 또는 undershirt,와이셔츠는 dress shirt,
스포츠 셔츠는 sports shirt,트레이너와 같은 셔츠는 sweat-shirt
라고 한다.
우리가 런닝셔츠라고 하는 소매없는 내의는 영국에서는 vest 라고
한다. 미국에서는 sleeveless undershirt 라고 한다. 미국에서
vest 라고 하면 양복의 조끼를 뜻하므로 조심해야 한다.
영국에서는 이 조끼를 waistcoat 라고 한다.
여성의 경우는 별로 shirt 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 속옷의 경우
lingerie 나 undies 라 한다.
》 (俗談) " Pitchers have ears. " ( 직역: 주전자에는 귀가 있다.)
→ " 낯말은 새가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
→ 주전자의 손잡이가 사람의 귀처럼 생겼다는 것에서 생겨난 말
* pitchers :(귀모양의 손잡이와 주둥이가 있는) 물주전자
비슷한 말로 = " Walls have ears. "이 있습니다.
ex) You are a little pitcher.→ 넌 귀도 밝다.
ex) Little pitchers have large[long] ears.
( 직역: 작은 주전자 귀가 크다.)
:아이들이 어른들의 대화에 귀를 쫑끗 세우고 엿듣는데서 나온말.
→애들은 귀가 밝다.(언제나 말 조심을 해야죠.)
* 바늘구멍을 흔히 우리는 '바늘의 귀'라고 하는데 서양 사람들은
'바늘의 눈(Eye of the needle.)'이라고 하는군요.
》 각국의 식사 문화
→ 대한민국 : 수저와 젓가락 사용횟수를 거의 비슷하게 사용하죠.
일 본 : 밥공기를 왼손으로 들어 입에다 대고 젓가락으로
먹습니다. 큰 대접의 국은 나중에 두 손으로 들고 다
마셔야 좋은 예절이라고 하는군요.
대 만 : 면 종류를 먹을때는 왼손은 수저 오른손에는 젓가락
을 사용하여 먹습니다.
》 인 도
↘. 180여개의 언어와 700여개의 방언이 있는 나라.
. 글을 쓸 수 있는 인구가 전체 인구의 30%미만인 나라.
. 통역자가 많지 않아서 대화에 단절이 많은 나라.
. 대부분이 힌두(Hindu)교와 윤회설을 믿는나라.
. 공통어로 힌두어가 있지만 지금 사용하는 언어가 최고라며 힌
두어를 배우지 않는 사람이 많은 나라.
. 소를 신성시 하며 길거리를 배회하는 사람이 많은 나라.
> 오늘 대화에서 이해해야 할 부분은 미국사회에서의 party 개념
은 우리처럼 어른과 아이들이 함께 하는 party가 없으며 만약
baby sitter가 있다고 하면 그때는 아이들과 파티에 동반해도
괜찮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파티가 어른은 어른끼리 아이들은
아이들끼리의 파티가 열립니다.
* baby sitter : 1) 집을 지키며 아이들을 돌봐주는 사람
2) 俗:(항공모함을 호위하는) 구축함
2) 놀라움의 반응표현
----------------------------------------------------------
Is that so ? / Is that right ? / How interesting ! /
Really ? / That's news to me. / I didn't know that./
What ? / No kidding ! / You must be kidding ! /
You don't say. / Come on ! / Give me a break ! /
----------------------------------------------------------
뜻밖이라는 의미로 가벼운 놀람을 나타낼 때, 흔히 우리는
" 그래요 ? "라고 합니다. 이러한 경우에, 영.미국인들은
" Is that so ? "/ " Is that right ? "/ " How interesting! "
등을 쓰는데, 특히 " How interesting ! "을 많이 사용합니다.
이 외에도 상대방의 말에 의외(意外)라는 뜻을 가볍게 전달할
때에는, " Oh, are you ? " / " Oh, doesn't he ? "등을 쓰기도
합니다. 이 반응 표현은 상대방이 말한 문장의 주어와 동사를
그대로 반복 사용하며, 긍정.부정.시세까지도 똑같이 사용한다
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 I am worn out. "(몹시 피곤
해) "라고 말했을 경우에는 그 반응 표현으로 " Oh,are you ? "
를 쓸 수 있다는 것이며,"He doesn't know the ABC of English."
(그 사람은 영어의 영자도 몰라.)"라는 말에 " Oh,doesn't he ?"
정도로 반응을 보일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이런 식의 반응을 보이
기 위해서는 상대가 말하는 문장의 주어와 동사를 정확히 알아
들어야만 되기 때문에 특별한 주의력이 필요하며, 대화 도중 의
식적으로 이런 반응표현들을 사용하면 듣기 훈련에도 좋은 도움
이 될 것입니다.
그 밖의 놀라는 반응표현 중에 " Really ? "가 있습니다. 이것
은 끝을 어떻게 올리는냐에 따라 강한 놀라움과 약한 놀라움이
결정 됩니다. 그리고 놀라움의 정도가 심할 때 쓰는 반응표현으
로 " That's news to me. " / " I didn't know that. "
" What ? " / " No kidding. "
등을 들 수가 있습니다.
미국인이 많이 쓰는 표현 중에 " Give me a break ! "를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여간해서는 해석하기가 쉽지 않은 표현입
니다. 이 표현은 정상적으로 봐서는 이래야 되는데 그렇지 못하
다거나, 예상외로 정도가 심한 결과가 발생했다거나, 터무니 없
는 농담으로 사람을 당황하게 만든다거나, 기본적인 이해력이나
습관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행동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접할
때, 쓰입니다. " 무슨 소리야. 농담하지 말고 똑바로 얘기해 봐."
또는 " 너무 그러지 마시고, 사정 좀 봐 주세요. " 정도로 해석
하면 됩니다.
1) 부정의문문
============
YES와 NO의 대답이 문제되는 것은 바로 부정의문문의 경우입니다.
일상 대화의 대답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Yes와 No이지만
부정의문문의 경우, 우리 말의 관습대로 대답하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와는 정반대의 뜻이 되고 맙니다.
우리 말의 '예./아니오.'와 영어의 'Yes/No.'사이에 존재하는 사
고 방식의 차이를 알아 두어야 됩니다.
----------------------------------------
1. 탁배 : 영화 보러 가고 싶지 않니 ? 옆의 세대화를
상훈 : 응, 난 별론데. 우리말 하듯이
그대로 영어로
2. 은영 : 너 파티에 안갔었니 ? 옮기면 다음과
성래 : 아니, 갔었어. 같습니다.
3. 주석 : 걔 파티에 못 간대 ? ↙
정열 : 응, 못 간다던데.
---------------------------------------
1. T.B. : Don't you want to go see a move ?
S.H. : Yes,(I don't).
2. E.Y. : Did you go to the party ?
S.L. : No,(I did).
3. J.S. : Can't he go to the party ?
J.Y. : Yes,(he can't).
우리말에서 "예."/"아니오."는 '상대가 말한 것'에 대한 긍정,부정
을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상대가 부정으로 물어 보았더라도 "너의 말
을 긍정한다."는 의미로 "예."를 쓰고, 그 반대의 경우에 "아니오"를
쓰는 것입니다. 그런데 영어에서는 상대가 부정으로 물었던지 아니던
지 '자신의 의지'가 긍정이면 "Yes." 부정이면 "No."가 됩니다.
다시 말해서 ▶ 앞의 영어 예문은 대답이 모두 틀린 것입니다.
영화를 보러 가기 싫은 '자신의 의지'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 No "를
써야 맞고, 파티에 갔었다는 긍정적인 '자신의 의지'를 나타내기 위
해서는 " Yes. "를 써야 옳은 것이며, 파티에 갈 수 없는 부정적인
' 그의 의지'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No."로 대답해야 옳은 것입니다.
☞ Yes를 대신하는 표현
----------------------
How'd you guess ?
===================================
이것은 '아니 어떻게 알았지 ? 그대로야' 라고 상대방의
천리안에 탄복하면서 Yes의 뜻으로 대답하는 것으로, 서로
속마음을 아는 친구끼리의 대화에 알맞는 표현입니다.
"How did you guess ?"를 줄인 표현은 직역하면 '어떻게
알아맞췄지 ?"라는 의미가 되지만,이유를 알고 싶어서 묻는
의문문이 아니라 의문문의 형식을 취한 긍정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How'd you guess ?는 재미있는 표현으로, 부담감없는 자
연스러운 회화 중에서 말의 표현을 즐길 때 사용합니다. 그
러므로 회의식당이나 면접시험 등에서는 안쓰는 것이 좋습
니다. 또 일반적으로 윗 사람에게 쓰는 것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A: Hello ?
B: Repair service. May I help you ?
A: Yes. My phone is out of order.
B: What seems to be the problem ?
A: I don't get a dial tone.
B: All right. What's your number ?
A: 382-7613.
B: Okay, we'll take care of that. Try again in a few minutes.
A: Thank you.
B: You are welcome.
-
A: 여보세요 ?
B: 수리국입니다. 뭘 도와 드릴까요 ?
A: 네. 우뫙 전화가 고장났어요.
B: 어떻게 고장이 났죠 ?
A: 전화 신호가 떨어지질 않아요.
B: 알았습니다. 몇번이죠 ?
A: 382-7613입니다.
B: 고쳐드리겠습니다. 몇분후에 다시 걸어 보십시요.
A: 감사합니다.
B: 천만에요.
-
전화가 잡음이 많이 날 결우 전화회사 수리국에 신고하는 것
을 대화로 엮어 보자. radio나 TV또는 전화의 「잡음」을 static
(스태틱)이라고 한다.
-
A: Repair sevice. May I help you ?
B: Yes. My phone has lost of static.
A: How old is your phone ?
B: About 10 years old.
A: The wiring in your phone may have gotten rusty then.
Could you bring your phone to our office ? We'll clean
it for you.
B: Sure. Where is your office ?
A: We are located at 5786 Main Street.
B: How late are you open ?
A: Four o'clock.
B: All right, I'll take it this afternoon.
-
A: 수리국입니다. 뭘 도와드릴까요 ?
B: 네. 우리 전화에 잡음이 많습니다.
A: 몇년이나 된 전화기인가요 ?
B: 한 10년 됩니다.
A: 그러면 전화기의 배선에 녹이 슬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우리
사무실로 가지고 오실수 있습니까 ? 저희가 깨끗이 해드리겠
습니다.
B: 그러죠. 사무실이 어디 있습니까 ?
A: 5786 메인 스트리트에 있습니다.
B: 몇시까지 문 열지요 ?
A: 4시 입니다.
B: 알겠습니다. 오늘 오후에 가지고 가겠습니다.
※『우리 전화에 잡음이 많다』는 말을 My phone is staticky.(
마이 포온 이즈 스태디키)라고 하는데, staticky는 사전에도 없
는 일종의 slang으로 「잡음이 많은」의 뜻으로 미국인들이 흔히
쓰는 말이다.
* It's a good conversation piece.
이건 좋은 대화거리에요.
The Russian government has assured us that talks are
underway.
러시아 정부는 대화가 진행중이라고 우리를 안심시키고
있습니다.
We had a face to face talk.
(우리는 얼굴을 맞대고 대화를 나누었다.)
colloquy 담화, 대화 (informal discussion)
I enjoy our colloquies, but I sometimes wish that they could be made more
formal and more searching.
Teachers and students will spend more time chatting and exchanging information by computer.
선생님들과 학생들은 컴퓨터로 대화를 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낼 거야.
You have a collect call from Mr. Lee in Seoul, Korea. Will you accept the charge?
한국 서울의 이 선생님으로 부터 요금 대화자 지불의 전화가 왔는데, 요금을 부담 하시겠읍니까?
Please make it a personal call.
대화자 지명통화로 해 주십시오.
중3이에요. (전화 대화 중...)
I'm a ninth grader.
conversation과 dialogue의 차이
- conversation : If you have a conversation with someone, you talk with
them, usually in an informal situation.
- dialogue : Dialogue is communication or discussion between people or
groups of people such as governments or political parties.
난 좋은 대화를 나눴다 I had a good conversation.
남북대화 inter-Korea dialogue
T : Let's get started. Where were we last class?
S1 : We learned the dialogue on page 40.
T : Have you all memorized it? Let's go over what we did last time.
Ss : Okay.
T : All right. Then, let's listen to it again.
Now, go on to Unit 5. Listen carefully to the tape.
S2 : Could you play it once more?
T : Sure. Here are some comprehension questions.
S3 : Do we have to do them?
T : I'm afraid you have to.
교 사: 수업 시작하자. 어디 할 차례지?
학 생1: 40페이지 대화까지 했어요.
교 사: 다 외웠습니까? 지난 시간 내용을 복습합시다.
학생들: 네.
교 사: 자, 다시 들어보세요.
5과를 계속 공부합시다. 테이프를 잘 들어보세요.
학 생2: 한 번 더 들려주세요.
교 사: 그래요. 문제를 풀어보세요.
학 생3: 꼭 해야 돼요?
교 사: 그래요.
Now, let's do some role-playing with this dialogue.
(자, 이제 이 대화를 가지고 역할극을 해봅시다.)
Let's try it once with the book and once without the book.
(책을 가지고 한 번 해보고, 책 없이 한 번 해봅시다.)
Suppose you are A and that your partner is B.
(네가 A를 하고, 네 짝은 B를 한다고 생각해라.)
Who's your partner? Talk to your partner.
(짝이 누구죠? 짝에게 말해 보세요.)
I'd like a different role. I'd like to take role A.
(저는 다른 역을 맡고 싶어요. A 역할을 할께요.)
Shall we switch/change/swap roles?
(우리, 역할을 바꿀까요?)
Come on, isn't there a volunteer?
If you don't volunteer, I'll just assign you a role.
(자, 지원자 없습니까? 지원하지 않으면, 제가 여러분의 배역을 지정하겠습니다.)
T : Why do you pick on him?
S : I don't pick on him. I just want to talk with him, but he doesn't listen.
T : There must be some reason why he doesn't want to.
S : I don't know what the reason is.
T : Anyway, stop teasing him and mind your own business.
S : I'll try.
T : Also, I want you two to separate.
교사: 왜 그 학생을 놀리지?
학생: 저 놀린게 아니에요. 그 애와 대화하고 싶지만 그가 듣지 않아요.
교사: 그만한 이유가 있겠지.
학생: 무슨 이유인지 모르겠어요.
교사: 어쨌든 그를 그만 괴롭히고 너의 일에나 신경써라.
학생: 알겠습니다.
교사: 그리고 너희 둘은 떨어져야 돼.
T : Everyone, It's time for listening practice. First of all, let's check the tape recorder. Is it clear enough?
S1 : Not bad, Mr. Kim.
T : Can you hear in the back?
S2 : No, Mr. Kim. Is it at the maximum?
T : I wonder.
S2 : If so, I don't think the tape recorder works properly.
T : Oh, I'm sorry. I've got too much bass. Just a second. I'll try it again. Is the volume all right now?
S2 : Yes, Mr. Kim.
T : Good. Now, you will hear the dialogue. Listen carefully.
교 사: 여러분, 오늘은 듣기 연습시간입니다. 우선 녹음기를 확인해 봅시다. 깨끗하게 들립니까?
학생1: 괜찮아요, 선생님.
교 사: 뒤에 있는 학생들도 잘 들리나요?
학생2: 아뇨. 지금이 최대인가요?
교 사: 왜 그럴까.
학생2: 만일 그렇다면 제 생각에는 녹음기가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교 사: 아, 미안해요. 저음을 너무 올렸네요. 잠깐만, 다시 한번 해 볼께요. 이제 괜찮아요?
학생2: 예, 선생님.
교 사: 이제 여러분은 대화를 듣게 될 겁니다. 주의 깊게 들어 보세요.
T : Let's listen to the tape. Min-ho, could you plug the cassette player in for me?
S1 : Yes, sir.
T : You're going to hear a dialogue about In-su's school life. Can you hear in the back?
S2 : No, I can't, Mr. Kim.
T : OK. I'll turn up the volume. Is the sound clear enough?
S1 : Yes, it is.
T : Good. The tape has started. Listen carefully.
교 사: 녹음 테이프를 들어봅시다. 민호, 녹음기의 플러그를 꽂아주겠어요?
학생1: 예, 선생님.
교 사: 여러분은 인수의 학교 생활에 관한 대화를 듣겠습니다. 뒤에까지 잘 들립니까?
학생2: 아니오. 들리지 않습니다.
교 사: 알았어요. 소리를 높일께요. 잘 들리나요?
학생1: 예.
교 사: 좋아요. 이제 녹음 내용이 나옵니다. 주의 깊게 잘 들어 보세요.
T : This time I will show you a video clip. What's the matter? The monitor isn't working.
S1 : Have you plugged it in?
T : Oh, my! Let me check. Yes, you are right.
S2 : The sound is not clear and the volume is too low.
T : You are right. Is that O.K.?
S3 : That's better.
교 사: 이번엔 비디오로 짧은 대화를 보자. 무슨 일이지? 모니터가 작동이 되지 않네.
학생1: 플러그를 꽂으셨어요?
교 사: 점검해보자. 아이고, 네 말이 맞다.
학생2: 소리가 선명하지 않고, 작아요.
교 사: 이제는?
학생3: 좋아요.
T : We'll hear a dialogue on the tape now. Who can plug the tape recorder in for me?
S : I'll do it, Ms. Yun.
T : Thanks.
S : Ms. Yun, it doesn't work.
T : Oh? Please switch it on and press the PLAY button.
S : It still doesn't work.
T : What's wrong with it?
S : There's no tape inside.
T : Oh, dear. Please insert the tape and adjust the volume.
S : Yes, Ms. Yun.
T : Thanks a lot.
교사: 테이프로 대화를 들어 보겠어요. 누가 녹음기 좀 꽂아줄래요?
학생: 제가 할께요.
교사: 고마워요.
학생: 선생님, 작동이 되지 않아요.
교사: 스위치를 켜고 재생단추를 누르세요.
학생: 그래도 작동이 안돼요.
교사: 뭐가 잘못되었을까요?
학생: 테이프가 안에 없어요.
교사: 오, 이런. 테이프를 넣고, 음량을 조절해 주세요.
학생: 예, 선생님.
교사: 고마워요.
A rock concert is an inopportune setting for a quiet conversation.
록 콘서트는 중요한 대화를 위한 것으로는 적절치 않은 선택이다.
Citizens of San Francisco remember that the destruction of the city was caused not by the earthquake but the holocaust that followed.
샌프란시스코 시민들은 그 도시의 파괴가 지진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지진에 잇달은 대화재에 의한 것임을 기억한다.
A rock concert is an inopportune setting for a quiet conversation.
록 콘서트는 중요한 대화를 위한 것으로는 적절치 않은 선택이다.
He mingled only with fellow tourists and did not attempt to communicate with the native population.
동료 여행가들과만 어울렸지 원주민과는 대화 하려고 하지 않았다.
In the conflagration that followed the 1906 earthquake, much of San Francisco was destroyed.
1906년의 지진에 따른 대화재에서 샌프란스시코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
She hesitated to intrude on their conversation.
그녀는 그들의 대화에 참견하기를 주저했다.
They wanted to keep the dialogue open.
그들은 그 대화를 공개하기를 원했다.
Parents worrying about recent TV images of terrorism and war affecting their children should give them a pencil and paper.
Children have much greater difficulty expressing themselves with language than do adults.
Drawing is an easier way to communicate.
Drawing often gives clues to a child's feelings and can act as a starting place for conversations.
If faces are frowning or if acts of violence are described, your child is most likely struggling with feelings that need discussing.
So ask your children to draw while talking to them.
Children who drew as they discussed an emotional experience gave twice as much as information as those who only talked about it.
폭력 행위와 전쟁에 관한 최근의 TV 영상들이 아이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걱정하는 부모들은 그들에게 연필과 종이를 주어야 한다.
아이들은 어른들보다 말로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데 훨씬 더 큰 어려움을 겪는다.
그림을 그리는 것은 의사소통을 하는 데 좀더 수월한 방법이다.
그림은 종종 아이의 감정이 어떤지를 보여 주는 단서를 제공하고 대화의 출발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얼굴을 찌푸리고 있다거나 폭력적인 행동이 그려진다면 아이는 아마도 논의될 필요가 있는 감정과 싸우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아이에게 대화를 하면서 뭔가 그려 보도록 요청하라.
정서적인 경험을 논의하면서 그림을 그리는 아이들이 그것에 관해 말만 하는 아이들보다 두 배나 더 많은 정보를 주었다.
Everybody wants to be in Professor Frazier's class.
Many of the students sign up for his classes because of his widespread reputation.
He treats all students fairly, and they can always count on his help and encouragement.
Small group discussions take place in his class.
He recommends that every student in his class talk to one another in groups.
All the discussions have a definite relationship to students' interests.
Even the issues that cause argument - race, politics, morality - are brought
because he considers it useful to meet difficult topics openly and honestly.
모두가 Frazier 교수의 수업을 듣고 싶어한다.
많은 학생들이 널리 알려진 명성 때문에 그의 수업을 신청한다.
그는 모든 학생들을 공정하게 대하며, 학생들은 항상 그의 도움과 격려를 기대할 수 있다.
그의 수업에서는 소그룹으로 나누어 토론을 한다.
그는 자신의 수업을 듣는 모든 학생들이 그룹을 이루어 서로 대화하기를 권고한다.
모든 토론은 학생들의 흥미와 명확한 관련을 가진다.
인종, 정치, 도덕성과 같이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쟁점들도 다루어지는데,
왜냐하면 그는 어려운 화제들을 마음을 터놓고 솔직하게 다루는 것이 유용하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But is it all good news? Not always.
They don't operate well when the battery is low.
When a communications satellite failed in 1998, some users lost their phone service.
They are also dangerous to use when you drive.
More and more car accidents happen while people are talking on their cell phones.
In addition, cell phone conversations are not private.
Some people can listen in to other people's conversations when they are talking on their cell phones.
하지만 모두 좋은 소식만 있는 것일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배터리가 약할 때 그것들(휴대전화)은 작동이 잘 되지 않는다.
1988년 통신위성이 고장 났을 때 몇몇 휴대전화 사용자들이 전화 서비스를 받지 못했다.
또한 그것들은 운전할 때 사용하면 위험하다.
점점 더 많은 자동차 사고가 휴대전화로 이야기를 하는 동안 일어난다.
게다가 휴대전화를 이용한 대화가 노출되기도 한다.
몇몇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휴대전화로 통화하는 동안 그들의 대화를 엿들을 수도 있다.
Listening to long talks in a foreign language can be very demanding on students.
Therefore it is generally more suitable for learners in the early stages to listen to fairly short statements and simple conversations.
A number of listening tests contain short statements in the form of instructions or directions.
Other listening tests contain short and easy conversations on which that questions are based.
긴 이야기를 외국어로 듣는 일은 학생들에게 매우 무리가 된다.
그러므로 초기 단계의 학습자들은 아주 짧은 진술과 대화를 듣는 것이 대체로 적절하다.
많은 듣기 평가에는 지시 또는 제시 형태로 된 짧은 진술들이 포함되어 있다.
또 다른 듣기 평가에서는 질문이 따라 나오는 짧고 쉬운 대화들이 포함되어 있다.
As well as talking with our voices we can also talk with our bodies.
This may seem surprising at first.
But if you watch two people having a conversation you will see that it is true.
People often move their hands to emphasize what they are saying and to show the person listening to them that they are saying something important.
Listeners use gestures, too.
They may nod their heads to show that they have understood or shake them to indicate disagreement.
우리는 목소리로 이야기를 나눌 뿐만 아니라 몸으로도 이야기를 할 수 있다.
이것은 처음에는 놀랍게 여겨질지도 모른다.
그러나 만일 당신이 두 사람이 대화를 하는 것을 지켜본다면 그것이 사실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은 자기가 말하는 내용을 강조하고 자기가 중요한 것을 말하고 있다는 점을 경청자 들에게 보여 주기 위하여 손을 자주 움직인다.
경청자도 또한 제스처를 사용한다.
그들은 자기들이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고개를 끄덕이거나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고개를 가로젓는다.
Many parents continue to demand restrictions on free speech on the Internet.
They argue that the pornography and explicit conversations in chat rooms on the Internet damage the health of society.
Although there is still widespread opposition to regulation of the Internet,
a growing number of computer users agree that some degree of government regulation is necessary.
They want the government to pass regulations to protect the privacy of the user and to limit the amount of pornography available to children.
Most computer users indicate that they do not trust high-tech companies to provide fool-proof solutions.
많은 부모들은 인터넷상에서의 자유로운 발언에 대해 제한해 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외설적인 그림과 인터넷 채팅 방에서의 노골적인 대화가 사회의 건강성을 해친다고 주장한다.
비록 인터넷의 규제에 대해 여전히 광범위한 반대가 있다 할지라도
점점 늘어나는 많은 컴퓨터 사용자들은 어느 정도 정부의 규제가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한다.
그들은 정부가 법안을 통과시켜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아이들이 접근 가능한 외설적인 그림의 양에 대해 제한해 주기를 원한다.
대부분의 컴퓨터 사용자들은 마땅한 해결책을 제공하지 못하는 첨단기술 회사들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When you're having a conversation with someone and he is angry, listen patiently.
Once you get impatient and start arguing, your position hardens, the other person's position hardens, and it becomes impossible to find a mutually agreeable solution to the issues being discussed.
So if you don't want to get into an argument, stay calm and say nothing, though you'll certainly be tempted to interrupt and respond to the person's statements.
Within a few minutes the person will use up all of his anger and energy and talk himself out.
Now that he has calmed down, you can have an intelligent conversation.
어떤 사람과 대화를 하고 있는데 그가 화를 내면 참을성 있게 들어주어야 한다.
일단 인내심을 잃고 논쟁을 시작하면, 여러분의 입장이 완고해지고, 상대방의 입장도 완고해지며, 논의되고 있는 문제에 대하여 서로 동의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기가 불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논쟁에 말려들고 싶지 않으면, 꼭 끼어 들어서 그 사람의 말에 대꾸를 하고 싶은 유혹이 생길지라도, 침묵을 지키고 아무 말도 하지 말아야 한다.
이삼 분 이내에 그 사람은 자신의 화를 다 내고 에너지를 다 쓰고 하고 싶은 말을 다 하게 될 것이다.
이제 상대방의 기분이 가라앉았으므로, 지적인 대화를 할 수 있다.
People can now watch a great variety of video tapes at home on the VCR.
Materials available include everything stocked at the local video store and movies or any other programs from the 24-hour selections on television, as well as tapes made at home or borrowed from friends.
Such entertainment in the home is also more affordable than it is in public places.
The greater convenience of watching tapes at any hour and pausing a tape or finishing it at a later time makes entertainment possible for people who have very limited opportunities to go to the movies or watch television.
The VCR also enables family and friends to be together in a relaxed atmosphere, enjoying one another’s company and also communicating in a way that is not possible in a movie theater.
사람들은 지금 가정에서 VCR로 다양한 비디오테이프를 본다.
이용할 수 있는 자료에는 집에서 만들거나 친구에게 빌려온 테이프뿐만 아니라 동네 비디오 가게에 쌓여 있는 모든 것들, 영화, 혹은 24시간 방영되는 텔레비전에서 선택된 다른 프로그램들이 포함된다.
또한 그런 오락물은 공개된 장소보다는 가정에서 더 이용하기 쉽다.
언제든지 테이프를 볼 수 있고, 일시로 중지하거나 나중에 다 볼 수 있다는 편리함이, 영화관에 가거나 텔레비전을 볼 시간이 제약된 사람들에게 즐길 수 있도록 해준다.
VCR은 또한 가족과 친구들이 서로의 모임을 즐기며, 영화관에서는 불가능한 대화를 나누며, 편안한 분위기에서 함께 모일 수 있게 한다.
Several factors can interfere with having a good memory.
One such factor is a lack of motivation.
Without a real desire to learn or remember something, you probably won’t.
Another cause is a lack of practice.
To stay sharp, memory skills, like any other skill, must be used on a regular basis.
A third factor that can hurt memory is self-doubt.
If you’re convinced you won’t remember something, you probably won’t.
A person with a positive attitude will do much better on a test than someone who is sure he or she won’t remember the material.
Lastly, distraction can interfere with memory.
If you are being distracted by the sound of a television or a conversation nearby,
try to find a quiet environment before you attempt to commit something to memory.
기억력을 저해하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
그 중의 하나가 동기 결여이다.
어떤 것을 배우거나 기억하고자 하는 진정한 욕망이 없으면, 당신은 아마도 배우거나 기억할 수가 없을 것이다.
또 다른 원인은 연습의 부족이다.
예리한 기억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기술처럼 기억술도 규칙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기억력을 해칠 수 있는 세 번째 요인은 자기의심이다.
만일 당신이 무언가를 기억하지 못할 것이라고 믿으면, 당신은 아마도 기억하지 못할 것이다.
적극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은 시험에서 그 내용을 잘 기억하지 못할 것이라고 굳게 믿는 사람보다 훨씬 더 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의산만이 기억을 방해할 수 있다.
만일 당신이 TV소리나 근처의 대화로 주의가 산만해 진다면,
당신이 무엇을 기억하려고 하기 전에 조용한 환경을 찾으려고 노력하라.
A movie set is the area where a motion picture is filmed.
Most sets are built inside movie studios.
These sets are built in large, windowless buildings, called “sound stages.”
Here, both the picture and the dialogue are recorded.
Indoor sets on sound stages are convenient because all the necessary cameras, sound equipment, and wiring can be permanently installed.
At other times, however, a movie set is built “on location,” which means outside the studio.
This enables the film makers to use actual physical landscape as the scenery.
If the movie calls for rivers, mountains, or jungles,
it may be cheaper to film in real places than to build imitation scenery.
영화 세트는 영화가 촬영되는 곳이다.
대부분의 영화세트들은 영화 스튜디오 안에 설치된다.
이러한 세트 들은 ‘음향 스테이지’라고 불리는 창문이 없는 거대한 건물들 안에 제작된다.
이곳에서는 영상과 대화가 함께 녹화된다.
음향 스테이지에 설치된 실내 세트에는 필요한 모든 카메라, 음향 장비, 배선 등을 영구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그렇지만 다른 경우에는 영화 세트가 ‘야외에’ 설치되기도 하는데, 이것은 세트가 스튜디오 밖에 설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영화 제작자들로 하여금 실제 자연 경관을 영화의 장면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영화에서 강, 산, 혹은 정글 등의 장면이 필요한 경우,
장면을 본뜬 세트를 만드는 것보다 실제 장소에서 영화를 촬영하는 것이 돈이 덜 들 것이다.
When I was 10 years old, I took two of my friends to the station to show off my dad.
After showing them around the station, I asked Dad if we could each have a soda.
I detected just the slightest hesitation in my father's voice that day,
but he said “Sure” and gave us each a dime.
We all thanked my father and headed home for lunch.
That evening I happened to hear my parents talking.
Mom seemed upset with Dad, and said,
“You should have just said you didn't have money for sodas.
That money was for your lunch.
The kids have to understand that we don't have any extra money and you need to have your lunch.”
열 살 때, 나는 아빠를 자랑하기 위해 친구 둘을 데리고 역으로 갔다.
친구들에게 역 구경을 시켜준 다음, 아빠에게 탄산음료를 사줄 수 있느냐고 물었다.
아빠의 목소리에 미세한 주저함이 있음을 눈치 챘다.
그러나 아빠는 “그럼”이라고 하시며 우리들 각자에게 은화 한 닢씩을 주셨다.
우리 모두는 고마움을 표하고 점심을 먹기 위해 집으로 향했다.
그 날 저녁에 난 우연히 부모님께서 나누시는 대화를 들었다.
어머니는 아빠에게 화가 난 듯 말씀하셨다.
“당신은 음료수 사 줄 돈이 없다고 말씀하셨어야 했어요.
그 돈은 당신 점심 값이었잖아요.
얘들은 우리가 가욋돈이 없다는 것과 당신이 점심을 드실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해요.”
Sleepwalking and sleep-talking seem to be different sleep disorders.
Sleepwalkers are capable of walking down stairs or out of doors, all the while remaining fast asleep.
Sleep-talkers, in contrast, stay still, but they effortlessly carry on long conversations.
To be sure, what they say doesn't make any sense.
Yet despite the differences, there are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sleep disorders.
During their walking or talking hours, neither sleepwalkers nor sleep-talkers remember what happened the night before.
Also, both disorders appear to be passed down from parents to children.
하지만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두 종류의 수면 장애 간에 약간의 유사점이 있다.
자면서 걸어 다니기와 자면서 말하기는 별개의 수면장애인 듯싶다.
자면서 걸어 다니는 사람은 내내 잠든 채로 계단을 내려가거나 문 밖으로 나가기도 한다.
반면에 자면서 말하는 사람은 움직이지는 않지만 힘들이지 않고 긴 대화를 할 수 있다.
그들이 말하는 것은 분명히 별다른 의미가 없다.
걷거나 말하는 동안 이 사람들은 전 날 밤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기억하지 못한다.
또한 이러한 수면장애는 둘 다 유전되는 것 같다.
To converse well, either with another person or with a crowd, it is vitally necessary to feel relaxed and comfortably at ease.
개인 또는 군중과 대화를 잘하기 위해서는, 편안하고 안락하게 느끼는 것이 지극히 중요하다.
Many intelligent people have thought themselves slow and dull because they could not produce witty remarks in rapid succession as their companions seemed able to do.
많은 지적인 사람들이 자신들을 느리고 둔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그들의 동료들이 할 수 있는 것 같은 재담을 연속적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This is often because of a pang of embarrassment or self-consciousness, which is akin to stage fright.
이것은 종종 당황에 대한 또는 수줍음의 고통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은 무대 공포증과 비슷하다.
Feeling a little uncomfortable and ill at ease in the presence of others, one finds his mind won't work right.
남들 앞에서 불편하고 불안하게 느낄 때 그 사람은 그의 정신이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은 것을 발견한다.
It simply refuses to come up with the bright remark or the lively comeback that would have found so beautiful a place in the conversation.
그것은 대화에서 아주 아름다운 자리를 차지할 수 있는 총명한 말이나 생생한 재치 있는 응답을 하는 것을 거부한다.
Being able to put aside one's self-centered focus and impulses has social benefits:
자기 중심적인 관점이나 충동을 피하는 능력은 사회적인 이익이 있다.
it opens the way to empathy, to real listening, to taking another person's perspective.
그것은 감정이입, 진정한 경청,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는 역지사지(易地思之)로 향한 길을 열어 준다.
Empathy, as we have seen, leads to caring, altruism, and compassion.
앞에서도 보았듯이 감정이입은 배려심, 애타주의, 동정심을 이끌어 낸다.
Seeing things from another's perspective breaks down biased stereotypes, and so breeds tolerance and acceptance of differences.
타인의 관점으로 사물을 볼 때, 우리는 편견에 의한 고정 관념을 깨뜨리며, 서로의 차이에 대한 관용과 수용을 발전시킬 수 있다.
These capacities are ever more called on in our increasingly pluralistic society, allowing people to live together in mutual respect and creating the possibility of productive public discourse.
이러한 능력은 점점 더 다원화되어 가는 사회에서 더욱 요청되는 것으로서, 사람들이 서로 존중하면서 사는 것과 생산적이고 공개적인 대화[의견 교환]을 가능케 해준다.
These are basic arts of democracy.
이러한 것들이 바로 민주주의 기본적인 기술인 것이다.
Reading a book is a kind of conversation.
책을 읽는 것은 일종의 대화다.
You may think that it is not, because the author does all of the talking, and you have nothing to say; but if you think that, you do not realize your duty as a reader―and you are not using your opportunities.
당신은 아마 그렇지 않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왜냐하면 작가가 모든 말을 하고 당신이 말할 것이 없어서.
그러나 그렇게 생각한다면 당신은 독자로서의 의무를 깨닫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당신의 기회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Actually, the reader is the one who has the last word.
실제로 독자는 마지막 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The author has said what he wanted to say, and then it is the reader's turn.
작가는 말하고 싶은 것을 말했고 이제 독자의 차례이다.
The conversation, however, should be an orderly one, with first one talking and then the other.
그러나 대화는 첫 번째 사람이 말하고 그다음 다른 사람이 말을 하는 질서 있는 것이어야 한다.
You can help relieve your hard-of-hearing companion from straining to catch your words when dining out by selecting a seat in a large room with carpeting and drapes, away from the walls and kitchen.
외식할 때 당신의 말을 들으려고 애쓰는 귀가 어두운 친구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은, 벽과 부엌에서 멀리 떨어진, 카페트가 깔리고 휘장이 드리워진 큰 방에 자리를 고르는 것이다.
People with hearing loss and hearing aids can best digest a conversation when background noise is absorbed by soft surroundings.
청각 장애가 있거나 보청기를 낀 사람들은 이면의 소음이 부드러운 주위환경에 흡수될 때 최상으로 대화를 이해할 수 있다.
A friend with severe hearing loss may also prefer a well-lit restaurant, so she can follow your lip movement and facial expressions ―and you'll both be able to see what you're eating.
심각한 청각장애가 있는 친구는 환한 레스토랑 또한 선호한다.
그래서 그녀는 당신의 입술 움직임과 얼굴 표정을 읽을 수 있고 당신 둘 모두 무엇을 먹는지 볼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you may still need to rephrase―not repeat―sentences so your companion can pick up more of what you say.
하지만 그래도 당신은 문장을 되풀이하는게 아니라 바꾸어 말할 필요가 있다.
그럼으로써 당신의 동반자는 당신이 말한 내용을 더 많이 알아들을 수 있다.
Men can cooperate with one another better than animals because they can talk.
사람은 대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동물보다 서로 잘 협력할 수 있다.
They teach one another, handing on knowledge and skills, learning things by heart, often using poetry to help them.
그들은 지식과 기술을 전하고 무엇을 암기하고 종종 그들에게 도움을 주는 시(詩)를 사용하여 서로를 가르친다.
When writing was invented people could store more knowledge than they could remember, and human knowledge grew.
글이 발명 되었을 때 사람들은 기억할 수 있는 것 보다 더욱 많은 지식을 저장할 수 있었으며 인간의 지식은 늘어났다.
If anyone tries to sell you an item over the telephone, just say "No, thank you" and hang up without any further conversation.
만약 누군가가 당신에게 전화로 어떤 물건을 팔려고 한다면 그냥 "No, thank you,"라고 말해라.
그리고 더 이상 대화하지 말고 전화를 끊어라.
Dancing lessons, stocks, light bulbs, magazines―all sorts of things may be offered.
춤 강습, 주식, 전구, 잡지―이 모든 것이 제안될 것이다.
Don't get involved!
말려들지 마라.
They will try to tempt you with every kind of prize, free demonstration, or gift.
그들은 당신을 온갖 종류의 경품, 무료 실물 선전, 선물로 유혹할 것이다.
Don't fall for it.
그것 때문에 현혹되지 말라.
Reputable firms rarely use this technique for selling―any more than they use door-to-door salesmen.
명성있는 회사는 판매를 위해 이런 것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그들이 가정 판매원을 쓰지 않는 것처럼.
Newcomers to the United States should take no chances with telephone salesmen.
미국에 처음 오는 사람들은 전화로 세일즈하는 사람에게 모험을 해서는 안된다.
It is dangerous to do.
그것은 위험하다.
The train's conductor, an African American, started a conversation.
아프리카계 미국인인 차장이 대화를 시작했다.
This was the era of Civil Rights, Kent State and the Vietnam War.
이 대화는 공민권 시대, Kent주, 베트남 전쟁에 대한 것이었다.
He was highly intelligent and well-informed.
그는 매우 지적이었고 견문도 넓었다.
When it began to get dark, he stopped by to remind me that the dining car was closing "in case you want to eat."
어두워지기 시작했을 때 그는 혹시 내가 뭔가 먹기를 원할까봐 식당차가 닫는다고 말해주러 들렀다.
I said I wasn't hungry, which was not true.
나는 배고프지 않다고 말했고 그것은 사실이 아니었다.
It is quite valuable to review the previous lesson or chapter before moving on to the next one.
바로 이전에 배웠던 단원을 복습하는 거나 바로 다음에 배울 단원에 들어가기 전에 예습하는 것은 꽤 유용하다.
By doing this you prevent the normal process of forgetting.
이렇게 함으로써 당신은 잊어버리는 정상적인 진행을 막을 수 있다.
For example, people good at remembering names often repeat a person's name in the course of their conversation, "I understand your point of view, Frank."
예를 들어, 이름을 잘 기억하는 사람들은 "나는 너의 관점을 이해한다, Frank." 라는 식으로 대화중에 사람의 이름을 자주 반복한다.
In most cultures, strangers don't talk to each other unless they are introduced.
대부분의 문화에서 서로 낯선 사람끼리는 소개받기 전에는 말을 하지 않는다.
But Americans are uncomfortable with silence.
그러나 미국인들은 침묵이 흐를 때 불편함을 느낀다.
So when two American strangers are together, they feel that they must break the silence.
그래서 서로 모르는 미국인 둘이 만날 때 그들은 침묵을 깨야 한다고 느낀다.
Strangers in elevators, waiting rooms, or other public places often talk to each other.
엘리베이터, 대합실, 혹은 다른 공공 장소에서건 사람들은 서로에게 말을 건다.
Such conversations are usually humorous exchanges.
그러한 대화는 대개 유머스러운 것이다.
A good way for strangers to open a conversation is with a simple comment about the weather.
낯선 사람에게 대화를 걸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날씨에 관한 간단한 말이다.
One day Sally, an American student, went to a party in England.
어느 날 미국 학생인 Sally가 영국에서 파티에 갔다.
Her English friends, Betty and Joan, were engaged in a serious conversation.
그녀의 영국 친구인 Betty와 Joan은 진지한 대화를 하고 있었다.
She was curious and walked over to them.
그녀는 호기심이 나서 그들에게 걸어갔다.
Approaching them, she overheard Betty say, "I lost quite a bit."
그들에게 접근했을 때 그녀는 "많이 잃어버렸어."라고 Betty가 말하는 것을 듣게 되었다.
As Betty was quite overweight and had been trying to lose weight for some time, Sally wanted to know how much Betty had lost.
Betty의 몸무게가 너무 많이 나가 얼마 동안 몸무게를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었으므로, Sally는 Betty의 몸무게가 얼마나 줄었는지를 알고자 했다.
Breaking into the conversation, she asked, "May I ask how much you lost?"
그들의 대화에 끼어들어서 그녀의 "몸무게가 얼마나 줄었니?"라고 물었다.
Betty replied rather abruptly, "Fifty pounds or so.
I'm not sure exactly how much."
Betty는 다소 퉁명스럽게 "50파운드쯤, 정확히는 모르겠어."라고 대꾸했다.
Sally was surprised.
Later, however, she learned that Betty had lost a lot of money at a fancy department store.
그러나 그후 Sally는 Betty가 장신구 백화점에서 많은 돈을 잃었다는 것을 알고서 놀랬다.
We have found that when an individual walks up to another person and engages in a conversation, which happens billions of times each day in the world, one of two things can happen.
그래서 우리는 일상 생활 속에서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과 만나 대화를 나눌 때 두 가지 가운데 한 가지가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In stores, restaurants and offices, conversations stopped, forks were put
down, typewriters and business machines hushed.
상점과 식당, 사무실에서는 대화가 중지되고, 포크가 내려놓아졌으며,
타자기와 사무기계가 잠잠해졌다.
The dance at the local social club was in full swing as a couple who had
just met chatted with each other. The conversation inevitably turned to
their former marriages.
"I lost my husband at sea," said the woman.
"I'm so sorry," replied the man. "How did happen? Was he swimming?"
"Oh, it wasn't like that," she answered. "I lost him to a redhead on a
cruise ship."
사교 클럽의 댄스 파티가 무르익었을 때 방금 만난 한 남녀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대화는 어쩔 수 없이 그들의 과거 결혼생활 쪽으로 흘렀다.
"저는 남편을 항해 중에 잃었어요." 여자가 말했다.
"안됐군요," 남자가 대답했다. "어떻게 된 겁니까? 그분이 수영은 했나요?"
"아, 그런 게 아니었어요," 그녀가 대답했다. "관광 여객선에서 남편을 어떤
빨강머리의 여자에게 빼앗겼어요."
Silence is unnatural to man. He begins life with a cry and ends it in
stillness. In the interval he does all he can to make a noise in the
world, and there are few things of which he stands in more fear than
of the absence of noise. Even the conversation is in a great measure
a desperate attempt to prevent a dreadful silence.
침묵은 인간에게 부자연스럽다. 인간은 소리쳐 울면서 인생을 시작하고
죽을 때 침묵한다. 살아있는 동안 인간은 최대한으로 떠들어댄다. 인간에게
침묵보다 더 두려워하는 것은 없다. 대화라는 것도 대개는 끔찍스런 침묵을
예방하려는 필사적인 노력이다.
Several neighbors had gathered for dinner, and the conversation turned to
pets. Our hostess commented that she had the dumbest dog ever.
"Any dog that digs up the same rosebush 20 times has to be pretty dumb,"
she said. Everyone seemed to agree, until the 75-year-old grandmother
of the neighborhood remarked, "I'm not too surprised at the dog, but
I am a little concerned about the person who planted the rosebush that
many times."
여러 명의 이웃 사람들이 만찬에 모였는데, 대화가 애완 동물 쪽으로 돌았다.
주인 여자는 자기 집 개가 이 세상에서 가장 둔하다고 말했다.
"같은 장미화단을 20번씩이나 파헤치는 개라면 아주 둔하지요." 모든 사람이
수긍하는 것 같았는데 75세의 동네 할머니가 말했다. "그 개에 대해서는
별로 이상할 것이 없지만, 같은 장미화단을 20번씩이나 가꾼 사람에 관해서는
걱정이 됩니다."
Remember that man whom you are talking to is a hundred times as much as
interested in himself and his wants and his problems as he is interested
in you and your problems. His toothache means more to him than a famine
in China. Think of that the next time you start a conversation.
당신과 이야기를 하고 있는 사람은 당신이나 당신의 문제보다 자신과 자신의
문제에 백배 관심이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라. 그에게는 중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근보다 그의 치통이 더 중요하다. 다음 번 대화를 시작할 때는
이 점을 생각하라.
American men talk together comfortably at a distance of three or more feet
from each other, unless they are forced closer for instance by having
adjacent seats in an airplane.
Latin Americans are accustomed to shorter interaction distances―two feet
or less.
Therefore, when an American and a Latin converse, the Latin tries to get
closer in order to feel comfortable.
The American backs away―for the same reason.
"I have observed an American backing up the entire length of a long
corridor while a foreigner, whom he considers aggressive, tries to
catch up with him," writes an anthropologist.
비행기 안에서처럼 바짝 붙은 좌석이 아니라면 미국인들은 3피트 이상 거리를
두고 이야기할 때 편안함을 느낀다.
남미 사람들은 좀더 가까운 거리, 2피트 이내에서 이야기하는 것에 익숙하다.
그래서 미국인과 남미인이 대화를 할 때, 남미인은 편안함을 느끼기 위해
다가서려고 한다.
미국인은 같은 이유로 물러선다. "저돌적이라고 여겨지는 외국인이 다가서려
하자 긴 복도 끝까지 밀려나는 한 미국인을 본 적이 있다."라고 어떤
인류학자가 쓴 글이 있다.
*take place 발생하다 happen:
언제 이런 대화를 했냐?
When did this conversation take place?
*stimulating 자극적인; 활기를 띠게 하는 pleasant because suggesting or encouraging new ideas or ways of thinking:
우리는 아주 활발한 대화를 했다.
We had a most stimulating conversation.
Most of us like the conversational parts of a story better than the others.
This is partly mental laziness, but is also due to the fact that
conversation shows character more quickly than anything else.
Study a few conversational pages in any standard novel known to you, and
note how readily you can build up a mental picture of the speakers from
what they say and the way in which they say it.
Careful study of conversation of this kind is also helpful in forming
habits of pleasant, straightforward talk―a very rare accomplishment.
대부분의 사람들은 소설에서 대화 부분을 제일 좋아한다.
정신적으로 게으른 탓도 있지만 대화는 다른 어떤 것보다 인물을 빨리 알게
해준다는 사실 때문이다.
잘 알려진 소설 속에서 대화체로 된 몇 페이지를 연구해보면 말하는 내용과
방법을 통해 말하는 사람의 심리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게 된다.
이런 종류의 대화를 면밀히 연구하면 즐겁고 솔직하게 말하는 습관을 기르게
되는데 이것은 아주 귀한 소양이다.
He recommends that managers encourage a team approach and urge employees
to solve problems with co-wokers on their own, to develop better
communication skills, and to adopt problem-solving attitudes when
discussing sensitive issues.
그는 경영인들에게 팀 단위의 업무를 권장하며 직원들에게는 동료와의 문제를
스스로 풀고, 대화 기술을 향상시키고, 민감한 문제를 논의할 때는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자세로 임하라고 권고한다.
A:Guess what! Gapdol and Juliet are getting married.
무엇인지 알아맞춰봐! 갑돌이와 줄리엣이 결혼한대.
B:Really! It's an international marriage. When did they decide that?
정말! 국제결혼이구나. 언제 그렇게 결심했지?
*
Guess what!은 I have something important to tell you의 뜻으로 [알아맞춰
보세요!]의 뜻이다. [정말이야?]는 Is it true?나 Do you mean it?으로 묻는다.
그러나 이 대화에서 Really!는 Oh, that's interesting!의 뜻으로,
여기서는 질문이 아니라 감탄하는 느낌의 표현이다. When did they decide
that?은 When did they decide that they would get married?를 줄인
표현으로서 When did that happen? 처럼 간단히 말할 수 있다.
A:Learning any languages takes a lot of effort. But don't give up. Why
don't we practice those dialogues together?
어떤 언어든지 배우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 하지만, 포기하지
마라! 우리 함께 그 대화를 연습해 볼까?
B:Good idea. That just might help.
좋은 생각이야. 그게 바로 도움이 될것 같아.
**
Leaming any~.의 leaming은 무생물 주어로서, [When you leam any
languages, you have to take a lot of effort]의 뜻이다.
[Why don't we practice~]는 상대방에게 권유할 때 쓰는 표현으로 How
about practicing~?의 뜻이다.
Good idea는 That's a good idea가 원 표현이다. 또한 That just might help는
[도움이 되겠는 걸]의 뜻이다.
권씨는 캐나다를 자주 여행하기 때문에 그곳에서 귀사의 대표와 만나 서로에게
유익한 사항에 관해 의견을 나눌 수 있으리라고 봅니다.
Mr. Kwon frequently travels to Canada and could meet with your
representatives there to discuss items of mutual interest.
frequently travel to~ [~로 자주 여행을 가다]
could meet with you [귀하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가능성을 나타낸다.
with와 함께 쓰임으로써, 만남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함께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discuss items of mutual interest [서로에게 유익한 사항에 관해 이야기
나누다] 아직 만나지 않은 상태이므로 너무 구체적인 내용은 말하지 말고 대략
적인 사항만 적도록 한다.
Thank you for your letter of May 22 and the enclosures which served to
open this "direct" route of communications between us. Cary Clark had
already given us a general rundown on your fine films and his thoughts
on how we might proceed in working toward a possible business
relationship. David Jenkins had also broached the matter with us in a
recent letter and even provided one of your press packages for us to
study.
귀하의 5월 22일자 편지와 동봉자료 덕분에 직접적인 대화의 길이 열린 데 대
해 감사드립니다. 캐리 클락씨로부터 귀사의 훌륭한 필름에 대한 개략적인 설
명과, 앞으로의 거래를 어떤 식으로 해나갈 것인지에 대한 의견을 들었습니다.
데이비드 젠킨스씨도 최근에 보낸 편지에서 이 문제에 관해 의견을 제시했으
며, 귀사의 인쇄물을 검토자료로 보내주었습니다.
a general rundown [대체적인 설명]
had broached the matter [안건을 제기하다]
Thank you for your letter of June 6 suggesting that we resume
negotiations on a possible distributorship for our products in
Argentina, which have been suspended since early 19….
자료가 1000라인이 넘어 잘랐습니다.
검색은 128 건, 총 1000 라인의 자료가 출력된 상태에서 중단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