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 문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conjuration 〔k`andзur´ei∫∂n〕 주문, 주술, 마법, 요술, 기원, 탄원
Hallstatt 〔h´o:lstæt〕 (오스트리아의 마을 이름에서)할슈타트 문화(기)(의)(기원전 9-5세기의 초기 철기시대)
invocation 〔`inv∂k´ei∫∂n〕 (신에의)기도, 기원, (시의 첫머리의)시신의 영감을 비는말, (법의)발동, 악마를 불러내는 주문
Minoan 〔min´ou∂n〕 미노스(크레타)문명의(기원전3000-1100년경), 고대 크레타 사람, 미노아 사람
origin 〔´o:r∂dзin〕 기원, 가문, 태생, 혈통
prayer 기원, 간원, 기도식, 기도의 문구, 기도의 목적물(the book of Common Prayer(영국 국교회의) 기도서)
refer 〔rif´∂:r〕 (이유.원인.기원등을)...에 돌리다, 귀착시키다, ...의탓으로 하다, (어떤 종류.장소.시대 등에)속하는 것으로 하다, (사건.문제 등을)맡기다, 위탁(부탁)하다, 회부하다, (...을 ...에게)알아보도록하다, 조회하다, (사실등에)주목( 유의)하게 하다, 언급하다, 입밖에내다, 인용하다, 증거로 내놓다, (기술등이)..에 관하여 설명하다, (...을 ...이라고)부르다, 관련되다, 적용되다, (특히 인물.기능 등에 관하여)문의하다, 조회하다, 참고(참조)하다, 지시하다, 가리키다, 나타내다, 주목시키다
ancestry 조상,가계,문벌,계통,발단,기원
There is no royal road to learning. -Euclid.
학문에는 왕도가 없나니.
" 프톨레마이오스 " 1세는 기원전 3세기경 살았던 희랍의 유명한
임금인데 이 대왕을 지도한 사람이 유명한 기하학자 Euclid였다.
성질이 급한 왕이 너무나 지루한 나머지 역정을 내며
무엇인가 왕만은 손쉽게 배울수 있는 비결이 없냐고 묻자
이렇게 대답했다고 한다.
Dictionaries frequently explain the origin of the defined word, state its
part of speech, and indicate its correct use.
사전들은 흔히 정의된 단어의 기원을 설명하고, 언어에서의 그것의 부분을
이야기하고(문장에서 어떤 성분으로 사용되는지를 말해준다), 그리고 그것의
올바른 용도를 지시한다.
(1) 역사적으로 태권도는 2천년 이전 신라시대에 신라가 청년들을 훈련시켜 무술과 문학을 배우고, 국가에 대한 봉사정신을 함양시키기 위하여 꽃다운 젊은이들의 모임인 화랑을 조직한데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들 젊은이들은 자기방어수단을 개발했는데 이 호신술이 대대로 전수되면서 개발되었던 것이다.
→ 「태권도는 2천년 …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는 It has its origin in the Sinla era more than two thousand years ago, when…으로 시작하도록 한다.,
→ 대대로 전수되다: be passed on generation after generation
ANS) Historically it has its origin in the Sinla era more than two thousand years ago, when Sinla organized the Hwarang(Flowery Youth Corps) to train young people in the arts of war, literature and service to the country. These young people developed a means of self-defense, which has been passed on and developed generation after generation.
Metaphysics includes the science of the origin and nature of the universe.
형이상학은 우주의 기원과 성질에 관한 학문을 포함한다.
Metaphysics includes the science of the origin and nature of the universe.
형이상학은 우주의 기원과 성질에 관한 학문을 포함한다.
Between 1969 and 1972, the United States sent astronauts to the moon.
They studied the moon and returned to the earth with rock samples.
Scientists have studied these pieces of rock, the moon's movements, and information about the moon and the earth.
They can finally answer questions about the origin of the moon.
1969년에서 1972년 사이 미국은 우주비행사들을 달로 보냈다.
그들은 달에 대해 조사하고, 암석 샘플을 갖고 지구로 귀환했다.
과학자들은 이 암석조각과 달의 운동 그리고 달과 지구에 관한 정보를 연구했다.
마침내, 그들은 달의 기원에 대한 질문과 해답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스신화] 【델피(Delphi)】 아폴로 신의 위대한 성스런 신전. 그리스 중부
파르나소스 산(Mount Parnassus) 기슭에 있었다. 이곳은 고대부터 종
교적 중심지였다. 기원전 6세기나 7세기 무렵부터 아폴로를 모시기 시
작했다. 이곳에는 세계의 중심이 되는 돌(navel stone) 옴팔로스
(omphalos)가 있었다. 델피는 세계의 중심이라고 생각되었다. 환각상태
에 빠진 노파가 유명한 신탁를 전했다. 그녀는 피티아(Pythia) 또는 피
토네스(Pythoness)라고 알려졌다. 카드무스, 헤라클레스, 오레스테스, 페
르세우스, 크수투스 등이 신탁을 얻기 위해 방문했다.
【미노아문명(Minoan)】 로마인들은 이 말을 사용하지 않았다. 기원전 2,000
년에서 1,000년까지의 크레타(Crete)와 그리스 문명을 묘사하는 현대 용
어. 로마인들도 이 문명을 알았지만 그들이 어떻게 불렀는지는 알 수
없다.
심으로 기원합니다.
appreciate the spirit [취지를 이해하다]
as a matter of policy [방침상]
can be considered only if~ [~의 경우만 고려될 수 있다] 거절을 해도 cannot
be considered unless와 같은 부정적인 표현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n only if~ [그것도 ~인 경우에만] 그 뒤에 조건을 붙여 이중으로 거절
한다.
financial considerations permit [재정상태가 허락하다]
have no choice but to decline [거절할 수 밖에 없다] 단호하게 거절할 때 쓰는 문구.
Nevertheless [그래도]
we do wish [진심으로 기원한다] do를 써서 진심이라는 기분을 나타낸다.
[百] 문화기원신화 (文化起源神話) culture origin myths
Mr.Big
Now that I lost everything to you
You say you want to start something new
And it's breaking my heart you're leaving
Baby I'm grieving
-
But if you wanna leave take good care
Hope you have a lot of nice things to wear
But then a lot of things turn bad out there
Oh baby baby it's a wild world
It's hard to get by just upon a smile
Oh baby baby it's a wild world
I'll always remember you like a child girl
You know I've seen a lot of what the world can do
And it's breaking my heart in two
Cause I never wanna see you sad girl
Don't be a bad girl
-
But if you wanna leave take good care
Hope you make a lot of nice friends out there
But just remember there's a lot of bad and beware
Oh baby baby it's a wild world
It's hard to get by just upon a smile
Oh baby baby it's a wild world
I'll always remember you like a child girl
-
Baby I love you, but if you wanna leave take good care
Hope you make a lot of nice friends out there
But just remember there's a lot of bad and beware
Oh baby baby it's a wild world
It's hard to get by just upon a smile
Oh baby baby it's a wild world
I'll always remember you like a child girl
Oh baby baby it's a wild world
It's hard to get by just upon a smile
Oh baby baby it's a wild world
I'll always remember you like a child girl
-
당신은 나의 모든 것을 앗아가 버리고는
새로운 길을 가야한다고 말합니다.
당신과 헤어져야 하다니 가슴이 미어집니다.
내 사랑아! 목놓아 울고 싶습니다.
-
하지만 굳이 떠나시겠다면, 부디 행복하세요.
좋은 일만 생기길
두손 모아 기원합니다.
하지만 세상에서는 수많은 행복이 불행으로
탈바꿈해 버립니다.
-
오, 내 사랑아! 세상은 너무나 험합니다.
단지 미소로만 살아가기는 힘이 들 겁니다.
오, 내 사랑아! 세상은 너무나 험합니다.
언제까지나 당신을 어린 소녀로 기억할 것입니다.
-
제가 세상의 이치에
밝다는 것을 알고 계시죠.
제 마음은 둘로 쪼개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슬픈 모습을 보고 싶지 않기 때문입니다.
타락한 소녀는 되지 마세요.
-
하지만 굳이 떠나시겠다면, 부디 행복하세요.
험난한 세상에서
좋은 벗들을 많이 사귀길 기원합니다.
하지만 세상이 험하다는 것만은
부디 명심하세요.
-
오, 내 사랑아! 세상은 너무나 험합니다.
단지 미소로만 살아가기는 힘이 들 겁니다.
오, 내 사랑아! 세상은 너무나 험합니다.
언제까지나 당신을 어린 소녀로 기억할 것입니다.
-
내 사랑아! 당신을 사랑합니다.
하지만 굳이 떠나시겠다면, 부디 행복하세요.
험난한 세상에서
좋은 벗들을 많이 사귀길 기원합니다.
하지만 세상이 험하다는 것만은
부디 명심하세요.
-
오, 내 사랑아! 세상은 너무나 험합니다.
단지 미소로만 살아가기는 힘이 들 겁니다.
오, 내 사랑아! 세상은 너무나 험합니다.
언제까지나 당신을 어린 소녀로 기억할 것입니다.
The landmark legislation reopened the discussion in other countries over the issue that has been one of the biggest controversies, along with abortion, the death penalty and the marriage of gay couples.
낙태, 사형제도 그리고 동성애자 결혼 합법화 문제와 더불어 가장 큰 논쟁을 불러일으키던 안락사에 대한 획기적인 합법화 조치는 다른 국가에서도 다시 안락사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The word "euthanasia" originated from the Greek language: eu means "good" and thanatos means "death."
그리스어에서 기원한 “안락사”라는 단어에서 eu는 “좋은” thanatos는 “죽음”을 각각 의미한다.
The meaning of the word is "the intentional termination of life by another at the explicit request of the person who dies."
이 단어는 “환자 자신이 명확히 죽음을 원할 때 다른 사람이 의도적으로 그의 생명을 끊어주는 것”을 뜻한다.
That is, the term "euthanasia" normally implies that the person who wishes to commit suicide must initiate the act.
즉, “안락사”라는 말은 통상적으로 자살을 원하는 사람이 행위를 시작하는 것을 포함한다.
Confucius was born about 551 B.C. to an upper-class family that had lost its money during the Zhou dynasty.
공자는 기원전 551년 경 주왕조에서 가산을 탕진한 한 상류 계급의 가족에서 태어났다.
Because his parents died when he was young, Confucius had to make his own way in the world.
어려서 부모님을 여의었기 때문에 공자는 자수 성가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He was bright student who studied most of the time.
그는 하루의 대부분을 공부에만 열중한 영민한 학생이었다.
He wanted to be a politician, but he was not successful.
그는 정치가가 되길 꿈꾸었으나 이 일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As a teacher, however, he was deeply respected.
그러나 교사로서 그는 깊은 존경을 받았다.
The earliest use and consumption of cacao beans dates back to around 1000 B.C.
카카오 열매를 가장 먼저 사용하고 소비한 것은 기원전 1000년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Later, the Mayan and Aztec civilizations consumed cacao as a drink.
후에 마야와 아즈텍 문명에서도 카카오를 음료로 소비했다.
They often flavored it with ingredients such as chili peppers, and other spices.
그들은 칠레 고추와 다른 향신료와 같은 재료로 그것에 풍미를 곁들였다.
박 전 대통령은 이날 왼쪽 어깨 수술을 받았으며, 병원 정문에서는 그의 쾌유를 기원하는 집회가 열렸다.
Former President Park underwent left shoulder surgery that day, and a rally was held at the front door of the hospital to pray for her healing.
제 목 : [생활영어]굉장한 속도로
날 짜 : 98년 04월 28일
예전에는 신혼부부의 집들이나 새로 이사한 집을 방문할 때 큼직한 통성냥
을 사들고 가는 것이 관습이었다. 이는 불같이 빠르게 일어나라는 기원이
담긴 선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like a house on fire'라는 표현이 있다
. 「불붙은 집처럼」이라는 식의 이 표현은 「굉장한 속도로」라는 의미를
가진다.
A:Congratulations!
B:Oh, thanks for coming to my opening ceremony.
A:I hope your supermarket will prosper like a house on fire.
B:Thank you, but please don't mention fire in front of me. As you kn
ow, my previous supermarket burnt up in flames in a big fire.
A:Oh, I know. That's why I've brought this useful thing as a gift fo
r you.
B:Oh, thank you. A useful thing? I can't figure out what it is, but
I'll try to use it quite often.
A:I hope you'll never use this. It's an extinguisher.
A:축하하네.
B:아,개점식에 와줘서 고맙네.
A:자네의 슈퍼마켓이 빠르게 (타고 있는 집처럼) 번영하기를 바라네.
B:고맙지만,내 앞에서는 불 얘기는 하지 말게. 자네도 알다시피,지난번 슈
퍼마켓이 큰 화재속에서 잿더미가 됐잖아.
A:그래,알아. 그래서 선물로 유용한 걸 가져왔지.
B:오,고맙네. 유용한 거라? 뭔지는 모르겠지만,자주 사용하도록 노력할게
.
A:자네가 이걸 결코 사용하지 않기를 바라네. 소화기이거든.
<어구풀이> prosper:번창하다.
previous:이전의.
burn up in flames:다 타버리다.
figure out:짐작하다.
extinguisher:소화기.
씨름 much like wrestling is a hand to hand combat sport between
two opponnents.
레슬링하고 비슷한 씨름은 두명의 상대가 도구없이 하는 스포츠입니다
The objective of the match is to throw the opponent to the ground.
시합의 목적은 상대방을 바닥에 눕히는 것 이지요.
If any parts of the body besides the feet of the wrestler touches
the ground he loses the match.
만약 씨름하는 사람의 신체 가운데에서 발 이외의 부분이 바닥에 닿으
면 지게 됩니다.
THe best way to picture 씨름 is to combine the conventional wrest
-ling with a little bit of judo and a little bit of 스모wrestling.
씨름을 연상하는 최선의 방법은 전형적인 레슬링에 약간의 유도와 약
간의 스모 레슬링을 더한것이라고 생각하면 아마 조금 이해가 됩니다.
But unlike the other types of wrestling mentioned above a wrestler
taking part in a 씨름 match must bind his loins and the upper thi
-gh of his right let with a two foot long cloth called '샅바.'
하지만 지금 언급한 것과 다르게 씨름 선생님들은 '샅바' 라고 부르는
길이가 2피트 정도 되는 천으로 오른쪽 다리하고 허벅지 위 쪽을 묶게
되지요.
One wrestler wears a red 샅바 while the other wears a blue 샅바.
한 선수는 빨간색의 샅바를 매고 다른 선수는 파란색의 샅바를 맵니다
The 씨름 match begins with the two participants kneeling down on
the ground facing each other.
씨름 경기에서는 두 명의 선수가 서로 얼굴을 맞대고 바닥에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시작을 합니다.
Each wrestler grabs a hold of the샅바 at the loins with his right
hand while grabbing the 샅바 at the thigh with his left hand.
각 선수는 오른 쪽으로는 허리의 샅바를 잡고 왼 손으로는 허벅지의
샅바를 잡게 되지요.
The two participants then stand up and try to get the opponent on
the ground by employing various tactics and skills.
두 명의 선수는 일어서서 여러 가지 전술과 기술로 상대방을 바닥에
쓰러뜨리려고 하는 것이지요.
As to the origins of 씨름 it is believed to have gained its popul
-arity approzimately 1500 years ago as paintings of this sport we
-re discovered on a wall in a 고구려 tomb.
고구려 시대의 무덤에 있는 벽화로 본 씨름의 기원은 약 1500년 전에
성행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씨름 was a sport that was enjoyed by people in all levels of the
society from the king to the lowly servants.
씨름은 왕에서 신분이 낮은 하인까지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즐긴 스포
츠였지요.
And during the 신라 and 고려 periods 씨름 became a part of annual
festivity. On every fifteenth day of the seventh lunar month call
-ed '백중' the biggest '씨름' contests were held.
그리고 신라와 고려 시대에는 씨름이 연례행사의 일부가 되었지요. 백
중날이라고 부르는 매년 음력 7월 15일에 가장 큰 씨름대회가 열렸죠.
This day was special because the servants had a chance to proove
their worthiness and to even climb up the social ladder by displa
-ying his dominance on 씨름 matches.
이 날은 특별한 날로 하인들이 씨름 대회에서 자신들의 가치와 우월성
을 보여줌으로써 신분 상승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지요.
씨름 still remains very popular among Koreans. Participants range
from children to the very competitive professionals. The biggest
씨름 matches are usually held on national holidays.
씨름은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 인기가 높습니다. 한국 사람들은 아이들
포부터 경쟁적인 전문 씨름인까지 아주 다양하지요. 가장 큰 씨름경기
들은 명절날에 열립니다.
'장승' is a post made of either wood or stone that was usually
placed in a pair at the entrances to villages temples and at roa-
dsides.
장승은 나무나 돌로 만든 푯말로써 보통 장승 한 쌍이 마을이나 신전
의 입구나 길가에 세워져 있잖아요.
We can hardly find any 장승 nowadays you know it's really hard to
find thme. But it's still a part of the Korean folk tradition.
요즘은 장승 보는 일이 사실 그렇게 쉽지 않지만 장승은 여전히 한국
민속 전통의 하나이지요.
The top portion of one of the poles was carved into a figure res-
embling a male face and several Chinese characters meaning. The
Great General Under Heaven (천하대장군) were inscribed on this
pole as well.
한 쌍의 장승중에서 하나의 꼭대기에는 남자의 얼굴을 닮은 형태와 천
하 대장군을 뜻하는 몇 자의 한자가 새겨져 있지요.
On the other pole was a figure resembling a female face and the
Chinese characters that stand for The Female General Under Ground
(지하여장군) were inscribed on it.
다른 한 장승에는 여자 얼굴을 닮은 형태하고 지하여장군을 뜻하는 한
자가 새겨져 있지요.
If you're still having trouble picturing '장승' try to imagine a
totem pole with the aforementioned descriptions instead of the
animal figures.
만약 여러분이 아직도 장승의 모습을 상상하기 어렵다면 토템 기둥의
동물 모양 대신에 앞서서 얘기한 것들을 한번 대입해서 상상해보세요.
A pair of '장승' was erected in front of villages temples and at
roadsides to keep off evil spirits and to ensure good fortune and
prosperity to all residents.
한 쌍의 장승은 악을 막고 모든 주민의 행운과 부귀를 위하여 마을 입
구나 신전 앞 길가에 세워져 있었지요.
To make certain of their good fortune villagers held ceremonies
in honor of the spirits that resided in the two posts.
행운을 기리기 위해서 마을 사람들은 두 개의 장승에 깃들인 영혼에게
제사를 드리면서 경의를 표시했습니다.
Huge festivities involving the best fod and wine followed the ce-
remonies.
그 제사를 치룬 뒤에는 최상의 음식과 술을 포함한 큰 잔치가 벌어졌
지요.
In addition people performed rituals during times of hardship and
often prayed for a good harvest cure for deadly diseases and saf-
ety during a long journey.
덧붙여서 사람들은 상황이 어려울때 사람들은 의식을 거행하는데 주로
풍작을 위해서 또 중병의 치료를 위해서, 그리고 오랜 여행 동안에 안
전을 위해서 기도하게 됩니다.
The process of erecting a 장승 was ritualistic and a huge task in
in itself.
장승을 세우는 과역은 의례적이고 그 자체로서 힘든 노역입니다.
Firstly the raising of these posts were allowed only during the
lunar leap months that occur only once every three years.
먼저 이러한 장승은 매 3년마다 한번씩 오는 윤달에만 있습니다.
To complicate things further the carving and the placement of the
wooden posts had to be performed on the same day.
이를 더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나무에 모양을 새겨서 장승을 만든 다
음에 세우는 것도 바로 같은 날 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Oh this day every single villager participated.
이 날은 마을 사람들 모두가 참여를 하게 되지요.
Women prepared the food that was to be offered to 산신 that means
mountain spirit during the ceremony while men cleaned the area
where the posts were to be erected and cut and carved the trees
that became 장승.
여자들은 제사 때 산신에게 바칠 음식을 장만하고 남자들은 장승이 세
워질 곳을 청결히 하고 장승이 될 나무를 골라서 문양을 새깁니다.
In most cases pine trees were used but sometimes chestnut and al-
der trees were used as well.
대부분의 경우는 소나무가 사용되지만 때에 따라서는 밤나무, 오리 나
무도 사용이 된다고 합니다.
Its exact origins are not known but it seems to have been preval-
ent during the mid eighth century.
장승의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18세기 중반의 성행을 했었
던 것 같습니다.
Interestingly the distance between villages was measured not from
the center of one to the other but from the 장승 of one village
to the 장승 of another.
흥미로운 것은 마을간의 거리는 마을과 다른 마을의 중심지로부터의
거리가 아닌 장승간의 거리로 결정을 했다는 것 입니다.
현)이며 무감각
이나 무딘 감성, 타인과 분리, 주위환경에 대한 무관심, 쾌감 결여, 외상을 기억나게하는 활동 및
상황을 피하려는 지속적인 배경에 대하여 발생한다. 보통 자율신경의 과각성, 과경계 상태에 있으며
깜짝깜짝 놀라고 불면증에 시달린다. 불안과 우울증도 잘 연관되나 자살관념은 흔하지 않다. 증상의
시작은 외상후 수 주 및 수 개월의 잠복기를 가지며 과정은 유동적이나 다수가 회복된다. 환자의
일부는 수년간의 만성적 경과를 밟으며 인격변조 (F62.0)의 과도기를 거친다.
외상성 신경증(Traumatic neurosis)
F43.2 적응 장애(Adjustment disorders)
일상변화나 일상사건에 적응하는 시기에 일어나는 주관적인 근심과 정서장애 상태로써 사회적 기능,
임무수행에 지장을 준다. 스트레스요인은 개인의 사회적 조직망(사별, 분리, 경험)이나 더 큰 사회
지지 및 가치체계(이주, 망명자 신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입학, 기원했던 목표의 실패,
은퇴, 부모가 되는것 등의 주요한 변화나 분기일 수 있다. 개개인의 성향과 취향에 따라 적응장애의
발현모습과 위험도가 달라지며 스트레스성 요인 없이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증상은 다양하
나 우울한 기분, 불안, 걱정(혹은 혼합형), 일상생활의 수행 불가능, 현재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의 상실, 미래를 계획할 수 있는 능력의 상실로 대표될 수 있다. 성인에 있어 행위장애가 연관
될 수 있다. 우세한 표현 양상은 짧은, 혹은 지속적 우울반응이며 정서나 행위 장애이다.
문화 충격(Culture shock)
비애(悲哀)반응(Grief reaction)
소아에서의 병원증(Hospitalism in children)
제외:소아기 분리 불안 장애(separation anxiety disorder of childhood(F93.0)
F43.8 기타 심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Other reactions to severe stress)
F43.9 상세불명의 심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Reaction to severe stress, unspecified)
F44 해리[전환] 장애(Dissociative[conversion] disorders)
-
해리 또는 전환 장애로도 불리며 과거기억, 자아 각성, 즉각적 감정등과 몸의 움직임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통합소실을 말한다. 모든 종류의 해리장애는 수 주나 수 개월후에 완화되며 특히 외상에
의한 것일 경우에 그러하다. 해결 할 수 없는 문제나 대인관계의 곤란등에서 야기될 때는 마취,
마비등의 더 만성적 장애로 발전할 수 있다. 이 장애는 이전에 "전환 히스테리"로 분류 되었었다.
이 증상의 기원은 심인성이며 외상, 해결불가능의 문제, 장애적 대인관계와 관련된다. 이런 증상들은
환자의, 신체적 질병의 발현에 대한 개념을 나타낸다. 의학적 검사만으로는 기존의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밝힐수 없다. 게다가 기능의 상실이 감정적 갈등이나 필요의 표현이라는 증거가 있다. 증상은
심리학적 스트레스와 밀접히 연관되어 갑자기 나타난다. 수의의 조절하에 신체적 기능장애와 감각의
상실만이 포함된다. 자율신경계에 의한 복잡한 육체적 감각이나 통증은 신체증상화 장애로 분류된
다. 신체적, 정신과적 장애의 후기발현 가능성은 배제될 수 없다.
포함 : 전환성 히스테리(conversion hysteria)
전환 반응(conversion reaction)
히스테리(hysteria)
히스테리성 정신병(hysterical psychosis)
제외 : 꾀병[의식적 꾀병](malingering)[conscious simulation](Z76.5)
F44.0 해리성 기억상실증(Dissociative amnesia)
기질성 정신장애 없이 일상적인 건망증이나 피로로는 설명되지 않는 최근의 중요한 기억의 소실.
기억상실은 외상성 사고, 급작스런 사별이나 사고등에 대한 기억이며 주로 부분적이고 선택적이다.
전반적이고 완전한 기억상실은 드물며 그것은 둔주(遁走)(F44.1)의 일부로 본다. 기질적 뇌장애,
중독, 심한 피로일 경우 이러한 진단은 내려질 수 없다.
제외:알콜성 또는 기타 정신활성물질 유발성 기억상실 장애(alcohol- or other psychoactive
substance-induced amnesic disorder)(4단위 항목.6에 해당되는 F10-F19)
기억상실(amnesia) NOS(R41.3)
선행성 기억상실(anterograde amnesia)(R41.1)
역행성 기억상실(retrograde amnesia)(R41.2)
비알콜성 기질적 기억상실 증후군(nonalcoholic organic amnesic syndrome)(F04)
간질증에서 발작후 기억상실(postictal amnesia on epilepsy)(G40.-)
F44.1 해리성 둔주(遁走)(Dissociative fugue)
해리성 둔주는 해리성 기억상실에 일상정도를 벗어나는 고의적 의식의 배회를 말한다. 둔주 기간에
기억상실이 있으나 독립된 관찰자에게는 정상으로 보일 수 있다
제외:간질증에서의 발작후 배회증(postictal fugue in epilepsy)(G40.-)
F44.2 해리성 혼미(Dissociative stupor)
해리성 혼미란 빛, 소음, 접촉 등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 및 수의운동의 감소, 소실을 말하지만 검사상
으론 신체적 원인을 찾을 수 없다. 또한 최근의 스트레스성 사건, 문제의 형태로 심인성 원인이
존재한다.
제외:기질적 긴장성 장애(organic catatonic disorder)(F06.1)
혼미(stupor)NOS(R40.1)
긴장성 혼미(catatonic stupor)(F20.2)
우울성 혼미(depressive stupor)(F31-F33)
조증성 혼미(manic stupor)(F30.2)
F44.3 몽환상태와 빙의증(憑依症)(Trance and possession disorders)
환경에 대한 각성과 자아의 일시적 상실 상태. 여기선 불수의적 타의적으로 종교의식이나 문화적으
로 인정되는 상황에 의한 최면상태만을 의미한다.
제외 : 급성이며 일시적인 정신병성 장애와 연관된 상태(states associated with acute and transient
psychotic disorders)(F23.-)
기질성 인격장애와 연관된 상태(states associated with organic personality disorder)(F07.0)
뇌진탕후 증후군와 연관된 상태(states associated with postconcussional syndrome)(F07.2)
정신활성물질 중독와 연관된 상태(states associated with psychoactive substance
intoxication)(4단위항목.0에 해당되는 F10-F19)
정신분열증와 연관된 상태(states associated with schizophrenia)(F20.-)
F44.4 해리성 운동 장애(Dissociative motor disorders)
일반적 종류는 사지의 전체 또는 부분의 운동능력의 상실이다. 이것은 운동실조, 실행증(失行症),
무동증, 발성불능증, 구음장애, 수의운동장애, 발작, 마비의 형태와 비슷하다.
심인성 실어증(Psychogenic aphonia)
심인성부전실어증(Psychogenic dysphonia)
F44.5 해리성 경련(Dissociative convulsions)
간질 발작과 그 운동양상이 비슷하지만 혀를 깨물거나 떨어져 타박상을 입거나 요실금은 드물고,
의식은 혼미나 최면상태가 되거나 서로 교체된다.
F44.6 해리성 무감각 및 감각상실(Dissociative anaesthesia and sensory loss)
피부의 감각상실 부분은 의학적으로 정의된 경계가 아니라 환자가 생각하는 신체기능에 의해 명확
하게 구분된다. 이것은 신경학적 병소일수 없는 감각 종류상의 차등적 손실이다. 감각상실은 이상감
각증과 동반될수 있다. 해리성 장애에 시각 및 청각의 장애가 완전한 것은 아니다.
심인성 귀머거리(Psychogenic deafness)
F44.7 혼합형 해리[전환] 장애(Mixed dissociative [conversion] disorders)(F44.0-F44.6에 분류된 장애의
복합)
F44.8 기타 해리[전환]장애(Other dissociative [conversion] disorders)
간저 증후군(Ganser's syndrome)
다중 인격증(Multiple personality)
심인성 혼돈(Psychogenic confusion)
심인성 몽롱상태(Psychogenic twilight state)
F44.9 상세불명의 해리[전환]장애(Dissociative [conversion] disorder, unspecified)
F98 소아기나 청년기에 주로 발병하는 기타 행동 및 정서 장애(Other behavioural and emotional disorders
with onset usually occurring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
소아기의 발생을 특징적으로 공유하는 이질적 장애군으로써 많은 관점에서 다르다. 이런 병태중
일부는 잘 정의된 증후군이나 그외는 증상의 빈도와 정신사회적 문제와의 관계, 다른 증후군과 어울
리지 않기때문에 포함되는 단지 증상의 복합체일 뿐이다.
제외:호흡정지 발작(breath-holding spells)(R06.8)
소아기의 성 주체성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 of childhood)(F64.2)
클라인-레빈 증후군(Kleine-Levin syndrome)(G47.8)
강박 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F42.-)
정서적 원인에 의한 수면 장애(sleep disorders due to emotional causes)(F51.-)
F98.0 비기질성 유뇨증(遺尿症)(Nonorganic enuresis)
환자의 정신연령에 비해 비정상적인, 낮 및 밤의 불수의적 유뇨로써 간질발작, 구조적 요로장애,
신경학적 장애 등으로 인한 방광조절 부족의 결과가 아님을 특징으로 한다. 유뇨증은 출생부터
나타나든지 후천적 방광조절 시기에 따라 일어날 수 있다. 더욱 광범위한 정서 또는 행동장애와
연관될 수 도 있고 안될 수 도 있다.
비기질적 기원의 유뇨증(원발성, 이차성)(Enuresis(primary, secondary)of nonorganic origin)
기능성 유뇨증(Functional enuresis)
심인성 유뇨증(Psychogenic enuresis)
비기질성 기원의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of nonorganic origin)
제외 : 유뇨증(enuresis) NOS(R32)
F98.1 비기질성 유분증(遺糞症)(Nonorganic encopresis)
개인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비추어 적합하지않은 곳에 수의적 또는 불수의적 인 변(便)의 실금으로
써 그 굳기는 정상이거나 정상에 가깝다. 이러한 병태는 정상적 유아기 실금(失禁)의 비정상적
연속이 될수있고, 장조절력을 획득후 자제(自制)의 상실이 될 수도 있으며, 정상심리학적 장조절력에
도 불구하고 부적당한 곳에 고의로 배변하는 행위일 수도 있다. 이 장애는 하나의 증상으로써 또는
정서 장애(F93.-)나 행동 장애(F91.-) 등의 일부 형태로써 발현된다. 유분증과 변비가 공존할때는
유분증과 변비를 일으키는 원인을 감별하려면 추가로 분류번호를 사용할 것.
기능적 유분증(Functional encopresis)
비기질적 기원의 변실금(Incontinence of faeces of nonorganic orgin)
심인성 유분증(Psychogenic encopresis)
제외 : 유분증(encopresis) NOS(R15)
F98.2 영아기 또는 소아기의 섭식 장애(Feeding disorder of infancy and childhood)
섭식 장애의 여러형태는 영아 및 조기 소아기에만 주로 발현된다. 기질적 질병이 없고 합리적으로
유능한 돌보는 사람이 있고, 적당한 음식이 공급되는데도 극도의 변덕과 먹기를 거부함이 특징이다.
이것은 반추(오심 또는 위장관의 질병없이 반복되는 역류를 의미)와 연관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영아의 반추 장애(Rumination disorder of infancy)
제외 : 신경성 식욕부진 및 기타 섭식 장애(anorexia nervosa and other eating disorders)(F50.-)
섭식 곤란 및 그릇된 관리(feeding difficulties and mismanagement)(R63.3)
신생아의 섭식 문제(feeding problems of newborn)(P92.-)
영아기 또는 소아기의 이식증(異食症)(pica of infancy or childhood(F98.3)
F98.3 영아기 또는 소아기의 이식증(Pica of infancy and childhood)
흙, 페인트조각(Paint-chipping)등 비-영양 물질을 지속적으로 먹는 장애. 이식증은 정신과적 장애
(자폐증 같은)의 부분적 증상일 수 있고 비교적 고립된 정신병리학적 행동으로 일어날 수도 있는데
후자만이 여기에 분류된다. 이런 현상은 정신적으로 뒤떨어진 어린이에서 잘 나타나며 정신적 발육
지체이 있다면 F70-F79가 주요 진단분류번호로 쓰여야 한다
F98.4 상동증적 운동 장애(Stereotyped movement disorders)
알려진 어떤 정신과적 또는 신경학적 병태의 일부분적 형태가 아닌 자발적, 반복적, 상동적, 비기능적
인(주로 운율적) 동작. 이런 동작이 다른 장애의 증상으로 나타났다면 그 장애의 분류번호가 사용된
다. 자기 상해를 주지않는 다양한 동작은 몸흔들기, 머리흔들기, 머리 쥐어뜯기, 머리꼬기, 손가락
튀기는 버릇, 손비틀기 등이다. 상동적 자기상해성 행위는 머리부딪기, 뺨 때리기, 눈찌르기, 손물기,
입술깨물기 등 신체의 일부를 무는 버릇을 말한다. 모든 상동적 운동장애는 종종 정신적 발육지체와
연관되며 이때는 양쪽 다 분류한다. 시각 장애 아동에서의 눈찌르기 행동은 양쪽 다 분류하는데
눈찌르기는 이 항목으로 하고 시각 병태는 적절한 신체장애분류번호를 사용한다.
상동증적/습관 장애(Stereotype/habit disorder)
제외 : 비정상적 불수의성 운동(abnormal involuntary movements)(R25.-)
기질적 기원의 운동장애(movement disorders of organic origin)(G20-G25)
손톱물어뜯기(nail-biting)(F98.8)
코 파기 (nose-picking)(F98.8)
넓은 정신과적 병태의 일부로써 상동증(stereotypies that are part of a broader psychiatric
condition)(F00-F95)
엄지손가락빨기(thumb-sucking) (F98.8)
틱 장애(tic disorders)(F95.-)
발모벽(拔毛癖)(trichotillomania) (F63.3)
F98.5 말더듬[눌어증(訥語症)](Stuttering[stammering])
음성, 음절, 단어의 반복성과 늘어짐이 특징이며 발어의 운율을 깨뜨리는 주저함과 잠시멈춤의 형태
를 취할 수도 있다. 이것은 그 증상이 말하기의 유창함을 방해하는 정도에만 장애로 분류된다.
제외:틱 장애(tic disorders)(F95.-)
언어혼란증(cluttering)(F98.6)
F98.6 언어 혼란증(Cluttering)
주저함이나 반복은 없으나 말하는 속도가 빨라, 유창하게 되지않고 언어이해 도가 감소되는 정도의
장애. 말하기는 산만하고 부정율동이며 빠른 반사적 분출로써 잘못된 구(句)를 이룬다.
제외:말더듬(stuttering)(F98.5)
틱 장애(tic disorders)(F95.-)
F98.8 소아기와 청소년기에 주로 발생하는 기타 명시된 행동 및 정서 장애(Other specified behavioural
and emotional disorders with onset usually occurring in cjo;djppd amd adolescence)
활동항진 없는 주의 결핍 장애(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out hyperactivity)
과도한 자위행위(Excessive masturbation)
손톱 물어뜯기(Nail-biting)
코 파기(Nose-picking)
엄지손가락 빨기(Thumb-sucking)
F98.9 소아기 및 청소년기에 주로 발병하는 상세불명의 행동 및 정서 장애(Unspecified behavioural and
emotional disorders with onset usually occurring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I01 심장 침습이 있는 류마티스 열(Rheumatic fever with heart involvement)
-
제외:류마티스성 기원의 만성 심장 질환(I05-I09)으로 류마티스성 열이 현존하지 않거나 류마티스
진행의 재발 또는 활동성이 없는 것. 사망시에 있어서 류마티스의 활동성에 대한 의문이 있을
때는 2권에 안내된 질병 및 사망의 분류 준칙을 참조할 것.
I01.0 급성 류마티스성 심낭염(Acute rheumatic pericarditis)
심낭염을 동반한 I00의 모든 병태(Any condition in I00 with pericarditis)
류마티스성 심낭염(급성)(Rheumatic pericarditis(acute))
제외:류마티스성으로 명시되지 않을 때(when not specified as rheumatic)(I30.-)
I01.1 급성 류마티스성 심내막염(Acute rheumatic endocarditis)
심내막염 또는 심판막염을 동반한 I00의 모든 병태(Any condition in I00 with endocarditis or
valvulitis)
급성 류마티스성 심판막염(Acute rheumatic valvulitis)
I01.2 급성 류마티스성 심근염(Acute rheumatic myocarditis)
심근염을 동반한 I00의 모든 상태(Any condition in I00 with myocarditis)
I01.8 기타 급성 류마티스성 심장 질환(Other acute rheumatic heart disease)
급성 류마티스성 범심염(汎心炎)(Acute rheumatic pancarditis)
기타 또는 다발성 형의 심장 침습을 동반한 I00의 모든 상태(Any condition in I00 with other or
multiple types of heart involvement)
I01.9 상세불명의 급성 류마티스성 심장 질환(Acute rheumatic heart disease, unspecified)
상세불명 형의 심장 침습을 동반한 I00의 모든 병태(Any condition in I00 with unspecified type
of heart involvement)
급성 류마티스성 심장염(Rheumatic carditis, acute)
활동성 또는 급성 류마티스성 심장 질환(Rheumatic heart disease, active or acute)
WHERE IT'S AT - Names for a common symbol
-
The @ symbol has been a central part of the Internet and its forerunners ever
since it was chosen to be a separator in e-mail addresses by Ray Tomlinson in
1972.
@ 기호는 1972년 Ray Tomlinson이 이메일 주소의 분리자로 선택하고나서 인터넷과
인터넷 선봉자들의 중심부분이 되어 왔다.
From puzzled comments which surface from time to time in various newsgroups,
it appears the biggest problem for many Net users is deciding what to call it.
그것을 어떻게 불러야 하는가 하는 문제가 다양한 뉴스그룹에 때때로 올라오는
당황스러운 의견들로 시작해서 많은 인터넷사용자들의 가장 큰 문제로 떠올랐다.
This is perhaps unsurprising, as outside the narrow limits of bookkeeping,
invoicing and related areas few people use it regularly.
이것은 부기, 송장작성 및 관련분야에서 극히 일부의 사람들만 @를 계속 사용해오던
것이었기 때문에 놀랄만한 일은 아니다.
Even fewer ever have to find a name for it, so it is just noted mentally
as something like "that letter a with the curly line round it".
@의 이름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적었기 때문에 그냥 "a에 꼬부랑꼬리가 붙어
있는 글자" 따위로 대충 불러지기도 했다.
-
It use in business actually goes back to late medieval times.
그것이 비즈니스에서 실제로 쓰여지기 시작한 것은 중세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It was originally a contraction for the Latin word ad, meaning
"to, toward, at" and was used in accounts or invoices to introduce the price
of something ("3 yds of lace for my lady @ 1/4d a yard").
@는 원래 "-로, -쪽으로, -에"를 의미하는 라틴어 ad의 축약형이었고
어떤 물건의 가격을 표시하기 위해 회계나 송장에 쓰여졌었다.
In cursive writing, the upright stroke of the 'd' curved over to the left
and extended around the 'a'; eventually the lower part fused with the 'a'
to form one symbol.
필기체에서는 d의 수직획은 왼쪽으로 굽어져서 a를 감싸는데까지 나간다.
결국은 아랫부분은 한 자로 만들어지기 위해 a에 흡수되었다.
Even after Latin ceased to be commonly understood, the symbol remained in use
with the equivalent English sense of at.
라틴어가 일반적으로 통용되던 시절이 끝나고도 그 기호는 영어의 at와 동등한
의미로 남아서 사용되었다.
-
Because business employed it, it was put on typewriter keyboards from
about 1880 onwards, though it is very noticeable that the designers of
several of the early machines didn't think it important enough to include
it (neither the Sholes keyboard of 1873 nor the early Caligraph one had it,
giving preference to the ampersand instead), and was carried over to the
standard computer character sets of EBCDIC and ASCII in the sixties.
비즈니스에서 @가 채용되었기 때문에 1880년경부터 타자기 자판에 추가되었다.
하지만 초기 타자기를 디자인하는 사람들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도
주목할 일이다.(1873년의 숄즈 자판과 초기 캘리그래프모델은 @자판 대신에
&를 두었었다.) 이것이 1960년대의 EBCDIC과 ASCII 문자세트에 반영되었다.
From there, it has spread out across the networked world, perforce even
into language groups such as Arabic, Tamil or Japanese which do not use
the Roman alphabet.
이후 네트웍이 발달하면서 그것은 전세계에 전파되어 로마자를 쓰지 않는
아라비아어, 타밀어, 일본어 등의 언어군에도 적용되었다.
-
A discussion on the LINGUIST discussion list about names for @ in various
languages produced an enormous response, from which most of the facts which
follow are drawn.
언어학자들의 토론거리로 @를 여러가지 언어에서 어떻게 부를 것인가가 등장하면서
많은 반응을 일으켰고 많은 사건이 일어났다.
Some have just transliterated the English name 'at' or 'commercial at'
into the local language.
어떤 사람들은 영어이름 at나 commercial at를 그나라말로 번역하기도 했다.
What is interesting is that nearly all the languages cited have developed
colloquial names for it which have food or animal references.
재미있는 것은 대부분의 언어에서 구어체 이름으로 음식이나 동물을 의미하는
단어가 붙여졌다는 것이다.
-
In German, it is frequently called Klammeraffe, 'spider monkey' (you can
imagine the monkey's tail), though this word also has a figurative sens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English 'leech' ("He grips like a leech").
독일에서는 Klammeraffe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거미원숭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독자는 원숭이의 꼬리를 연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이름은
영어의 leech(거머리)(그는 거머리같이 잡았다)가 모양을 묘사하는 것과 비슷한
점이 있다.
Danish has grisehale, 'pig's tail' (as does Norwegian), but more commonly
calls it snabel a, 'a (with an) elephant's trunk', as does Swedish,
where it is the name recommended by the Swedish Language Board.
덴마크말에서 @를 지칭하는 것으로 돼지꼬리라는 의미의 grisehale(노르웨이어로도
마찬가지이다)이 쓰이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snabel a(코끼리 코가 달린 a)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다. snabel a는 스웨덴의 스웨덴어위원회에서 추천된 스웨덴말
이기도 하다.
Dutch has apestaart or apestaartje, '(little) monkey's tail' (the 'je' is
a diminutive); this turns up in Friesian as apesturtsje and in Swedish
and Finnish in the form apinanhanta.
네덜란드말에서는 (작은)원숭이꼬리라는 의미의 apestaart 또는 apestaartje가
있다.(je는 약한 느낌을 주는 접미사) 이 말이 프리즐랜드어로는 apesturtsje가
되고 스웨덴어와 핀란드어로는 apinanhanta가 되었다.
Finnish also has kiss"anh"anta, 'cat's tail' and, most wonderfully, miukumauku,
'the miaow sign'.
핀란드어로는 고양이꼬리의 의미로 kissanhanta라는 말을 쓰기도 하고 가장 특이한
이름으로 고양이울음소리인 miukumauku라는 단어를 쓰기도 한다.
In Hungarian it is kukac, 'worm; maggot', in Russian 'little dog',
in Serbian majmun, 'monkey', with a similar term in Bulgarian.
헝가리말로는 kukac(벌레, 구더기), 러시아어로는 작은 개, 세르비아어로는
majmun(원숭이, 불가리아어도 비슷하다)이 쓰인다.
Both Spanish and Portuguese have arroba, which derives from a unit of weight.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에서는 중량단위에서 온 arroba가 있다.
In Thai, the name transliterates as 'the wiggling worm-like character'.
태국에서는 꼬물거리는 벌레 모양의 글자로 직역되는 이름을 쓴다.
Czechs often call it zavin'ac which is a rolled-up herring or rollmop;
the most-used Hebrew term is strudel, from the famous Viennese rolled-up
apple sweet.
체코에서는 동그랗게 만 청어, 청어요리의 의미인 zavinac으로 부르는 경우가 흔하고
히브리어로는 비인의 유명한 요리인 말린 애플스위트에서 온 strudel이 많이 쓰인다.
Another common Swedish name is kanelbulle, 'cinnamon bun', which is rolled up
in a similar way.
스웨덴에서 자주 쓰이는 이름으로 비슷한게 말린 '감빵'의 의미인 kanelbulle가 있다.
-
The most curious usage, because it seems to have spread furthest from its
origins, whatever they are, is snail.
말의 기원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보이면서도 널리 퍼져있어 신기하게 보이는
용법으로 달팽이가 있다.
The French have called it escargot for a long time (though more formal
terms are arobase or a commercial), but the term is also common in Italian
(chiocciola), and has recently appeared in Hebrew(shablul),
Korean (dalphaengi) and Esperanto (heliko).
프랑스에서는 오랫동안 escargot로 불러왔고(arobase나 a commercial이 좀더
정식 표현이긴 하지만) 이탈리아어로 chiocciola, 최근의 히브리어에 shablul,
한국어의 달팽이(골뱅이가 더많이 쓰임:역자 주), 에스페란토어의 heliko 등이
똑같이 달팽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
In English the name of the sign seems to be most commonly given as at or,
more fully, commercial at, which is the official name given to it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haracter sets.
영어로는 at, 완전하게는 commercial at가 가장 보편적으로 통용되고 있고
이것이 국제표준 문자세트에서의 공식명칭이다.
Other names include whirlpool (from its use in the joke computer language
INTERCAL) and fetch (from FORTH), but these are much less common.
다른 이름으로 whirlpool(소용돌이모양)(컴퓨터 은어로 사용된데서 유래한),
fetch(forth에서 유래한)가 있으나 훨씬 덜 사용된다.
A couple of the international names have come over into English:
snail is fairly frequently used; more surprisingly, so is snabel from Danish.
두개의 국제적인 이름이 영어로 넘어오고 있는데 snail이 꽤 자주 사용되고
놀랍게도 덴마크말인 snabel도 자주 사용되는 경향이다.
-
Even so, as far as English is concerned at is likely to remain the standard
name for the symbol.
그래도 영어로는 아무래도 at가 @에 대한 이름의 표준으로 남아 있다.
But there is evidence that the sign itself is moving out from its Internet
heartland to printed publications.
그러나 @ 기호 자체가 인터넷 중심부에서 인쇄매체로 넘어가고 있는 징후로 해석될
증거가 있다.
Recently the British newspaper, the Guardian, began to advertise
a bookselling service by post, whose title (not e-mail address)
is "Books@The Guardian". Do I detect a trend?
최근 영국 신문 Guardian에서는 서적 우편판매서비스를 광고하기 시작했는데
그 서비스의 이름은 "Books@The Guardian"(이메일 주소가 아니다)이었다.
필자가 경향을 제대로 탐지했는 지 모르겠다.
-
At least we shall have no problem finding a name for the symbol.
적어도 @ 기호에 대한 이름을 찾는데는 문제가 없을 것이다.
할로윈(Halloween)
할로윈 데이는 성자의 날(11월 1일) 바로 전날(10월의 마지막날)이다.
호박 속을 파서 만든 호박등이나 횃불을 들고 마녀와 귀신 분장을 한 의상행렬, 가장무도회가 벌어지는 할로윈 데이의 기원은 정확하지 않다. 다만 기독교가 전래되기 전 1세기 중반, 당시 영국에 살고 있던 켈트족의 정신적 지주였던 승려 드루이드 (Druid)에 의해 전파되었다는 것이 신학자들의 설명이다.
켈트족들은 마법에 걸린 사후의 인간 영혼은 드루이드가 섬기는 신(神)인 삼하인(Samhain)에 의해 구원 받을 수 있다고 믿었다. 삼하인은 인간의 죽음과 사 후 세계를 관장하는 죽음의 신. 당연히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켈트족들은 자신의 가족이나 친구 혹은 사랑하는 사람의 영혼이 구원을 받도록 하기 위해 동물을, 때로는 사람까지 희생 제물로 바치는 의식을 베풀었는데, 이 날이 바로 '할로윈 데이'의 기원이 되었다.
당시 사람들은 10월 31일에 겨울이 시작된다고 믿었다. 그리고 이날 열리는 삼하인 축제날에는 죽은 자들이 긴 겨울밤에 활동하기 위해 되살아난다고 생각했다. 즉, 유령이나 마귀, 마녀, 해적, 요정들이 인간을 대신해서 세상을 다스린다는 것. 이런 이유로 사람들은 가능한 바깥 출입을 삼가고 귀신들에게 자신들의 집을 볼품없게 보이게 위해 일부로 벽난로의 불을 꺼뜨리기도 했다.
한편 켈트족을 포함한 유럽인들은 11월1일을 '모든 성인(聖人)들의 날(All Hallow Day)'로 지켜왔기 때문에 언젠가부터 그 전날의 삼하인 축제를 '모든 성인들의 날 이브(All Hallows’Eve)'라는 명칭으로 바꾸어 부르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 말이 훗날 '할로윈(Halloween)'으로 바뀌어 오늘날에 이르게 된 것이다.
There is no royal road to learning. -Euclid.
학문에는 왕도가 없나니. 프톨레마이오 1세 (Ptolemy I, the king of Egypt,)는 기원전 3세기경 살았던 희랍의 유명한
임금인데 이 대왕을 지도한 사람이 유명한 기하학자 Euclid였다.
성질이 급한 왕이 너무나 지루한 나머지 역정을 내며
무엇인가 왕만은 손쉽게 배울수 있는 비결이 없냐고 묻자
이렇게 대답했다고 한다.
검색결과는 33 건이고 총 697 라인의 자료가 출력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