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학습사전 Home
   

onset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Cambridge M-W M-W Thesaurus OneLook Google


maturity-onset diabetes 〔m∂tj´u∂r∂ti´o:ns`et, -tj´u∂r∂ti´on-〕 중, 노년성 당뇨병

maturity-onset diabetic 중, 노년성 당뇨병의(환자)

onset 〔´ans`et〕 공격, 개시

onset : attack, beginning 습격, 공격, 개시, 시작, 문턱

onset 개시, 착수, 습격(=attack)

As the economy faltered, the shortages of food, clothing and other basic necessities
made queuing an increasingly exhausting and frustrating way of life, an ordeal
made all the more cruel by the onset of an unusually harsh Polish winter.
폴란드 경제가 비틀거림에 따라서, 식량과 옷, 그밖의 기본적인 필수품의 부족으로
줄을 서서 기다리는 일은 점점 더 피곤하게 만들고 좌절하게 만드는 생활양식이
되었는데, 이러한 시련은 여느때와 달리 혹독한 폴란드 겨울의 시작으로
더욱 더 견디기 어려워졌다.

[百] 지연발생근육통 DOMS(Delayed Onset Muscle Syndrome)

late-onset 지발성의,후발성의

onset 공격

In the great broad leaf forests of Eastern Europe
동유럽의 거대한 활엽수림에선
the days are beginning to shorten, and a primeval sound heralds the onset of autumn.
날이 짧아지기 시작하면서 원시의 소리가 가을의 시작을 알립니다
Male red deer are starting their rut.
숫 유럽붉은사슴이 발정을 시작했습니다
The air is heavy with the scent of females.
대기는 암컷의 냄새로 가득차 있습니다
The rules are simple. Winner takes all.
규칙은 간단합니다 승자가 모두 차지하는 것이죠

The incidence of hearing problems is rising among people middle-aged and older.
청력 문제 발생률은 중년의 사람들과 그보다 더 나이든 사람들 사이에서 중가하고 있다.
In Asia, the United Nations estimates, more than 100 million people suffer from some sort of adult-onset hearing impairment.
UN은 아시아에서 1억 이상의 사람들이 성인에게 발병하는 청취 장애와 같은 것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추정한다.

What do we got?
어떤 환자예요?
Katie Bryce, 15-year-old female, new onset seizures, intermittent for the past week.
케이티 브라이스, 15살 여자고 몇 주 동안 간헐적으로 발작 증세를 일으킨답니다
I.V. lost en route, started grand mal seizing as we descended.
정맥주사는 효과 없고 내리면서 심한 발작이 시작됐습니다
All right, get her on her side.
환자를 옆으로 눕혀
Izzie, 10 milligrams diazepam I.M.
이지, 다이애즈팸 10mg 근육주사 놔
No, no. The white lead is on the right.
아니, 아니 흰색 선이 오른쪽으로 가야 돼
Righty, whity -- smoke over fire.
오른쪽은 흰색 당연한 걸 갖고
A large-bore I.V. Don't let the blood hemolyze. Let's go!
구멍이 큰 정맥주사 준비 용혈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해 얼른!

I'm sorry.
죄송해요
It's not really funny.
웃긴 건 아닌데
It's not funny, but...
웃긴 게 아닌데..
What's her diagnosis?
병명이 뭐야?
Alzheimer's...
알츠하이머요..
Early onset.
조발성 치매예요..
And she doesn't want anyone to know.
누구도 알길 원하지 않겠군
No.
당연하죠
She's in a nursing home, and...
지금 요양원에 계세요..
I'm the only person she'll allow to see her.
저만 면회가 가능하고요

마지막 이태원 방문 시기는 증상 발현일 하루 전이다.
The last visit to Itaewon is one day before the onset of symptoms.

일본뇌염은 발병 이후에는 보존적 치료 외 특별한 치료법이 없다.
After the onset of Japanese encephalitis, there is no special treatment other than conservative treatment.

해당연구는 확진환자들의 혈액, 소변, 대변 등의 가검물을 정기적으로 채취해 바이러스의 양, 존재 양상, 증상 발현시기와 바이러스 소멸시기 등을 연구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This study will be conducted in a way that regularly collects specimens such as blood, urine, and feces from confirmed patients to study the amount of virus, its presence pattern, the timing of onset of symptoms, and the time of extinction of the virus.

국내 연구진이 피 한 방울로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발병 여부를 미리 알아볼 수 있는 진단 키트를 개발했다.
Researchers in Korea have developed a diagnostic kit that can detect the onset of Alzheimer's dementia with a drop of blood.

보건당국은 확진자의 발병일을 따지면 최초 감염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Health officials believe that the first source of infection can be found based on the date of onset of the confirmed case.

비교적 이른 나이에 발병할수록 여명이 길고, 반대로 건강한 동년배 노인과 기대여명의 차이가 크다.
The earlier the onset occurs, the longer the life expectancy, and conversely, the difference between life expectancy and healthy same-age elderly is greater.

성인발병 스틸병은 발열, 피부발진 등을 보이는 염증성 질환으로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과 증상은 비슷하나 성인에서 발병하는 특징이 있다.
Adult Still Disease is an inflammatory disease showing fever and skin rash, of which the symptoms are similar to the childhood rheumatoid arthritis, but it is characterized by the adult onset.

환자는 증상 발현 1일 전부터 격리 시점까지 음식점, 쇼핑몰, 호텔 등을 방문했으며 방문한 장소 및 접촉자에 대해 추가 조사 중이다.
The patient has visited a restaurant, shopping malls, hotels, etc. from one day before the onset of symptoms to the time of quarantine, and ongoing investigations are being conducted for the places and contacts.

수족구병은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대부분 자연적으로 회복된다.
Hand-foot-and-mouth disease can be recovered from naturally 7 to 10 days after the onset of symptoms.

전국 시군구 치매안심센터에 설치된 치매쉼터는 초기 치매환자를 돌보는 공간으로 인지재활 프로그램과 상담, 교육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Dementia Shelter, installed at the Dementia Ansim(reassuring)Center in cities and counties nationwide, is a space to care for early-onset dementia patients and provides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s, counseling, and educational services.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증상 발현 후 11일이 지나면 감염력을 잃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According to a study, the novel coronavirus infection disease loses its contagious power 11 days after the onset of symptoms.

어린이 환자는 증상 발생 후 열흘까지 바이러스를 전파시킬 수 있어 이 시기 등원, 등교를 자제해야 한다.
Children patients can transmit the virus up to 10 days after the onset of symptoms, so they should refrain from going to school during this period.

음주 후 흔히 말하는 필름이 끊긴 현상이 자주 반복된다면 초로기 치매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봐야 한다.
If you often experience black out after drinking, you are at a high risk for young onset dementia.

전남의 경우, 한방병원이 24개소로 전국 도중 3번째로 많으며, 3대 중증 응급환자가 발병 후 내원까지 소요 시간이 2백 40분으로 경북, 제주 다음으로 짧게 나타났지만,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다.
In the case of Chungcheongnam-do, there are 24 oriental medicine hospitals, the third-largest in the country, and the time required to visit the hospital after the onset of the three major emergency patients is 240 minutes, the shortest after Gyeongsangbuk-do and Jeju, but there is no medical school.

외부 진료소에 코로나19 검사를 의뢰한 날짜는 사흘 뒤인 18일이다.
The date for the COVID-19 examination is the 18th, three days after the onset of symptoms.

보건당국은 '증상 발현 24시간 전까지의 동선만 공개한다'는 원칙에 따라 그의 입국 후 열흘간의 행적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The health authorities have not disclosed his behavior for ten days after his entry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only revealing movements up to 24 hours before the onset of symptoms."

현재 알려진 유일한 치매 극복 방법은 증상이 나타나기 직전 또는 발현 정도가 미미한 치매 위험군을 사전에 선별해 예방의학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Currently, the only known way to overcome dementia is to select a group at risk of dementia just before the onset of symptoms or insignificant degree of onset and approach it with preventive medicine.

각 환자들의 증상 발현일을 고려하면 29번, 56번, 136번 환자는 종로노인종합복지관에서 83번 환자에게 감염되었을 것으로 방역당국은 추정하고 있다.
Considering the onset of symptoms of each patient, the quarantine authorities estimate that 29th, 56th, and 136th patients were infected by the 83rd patient at the Jongno Senior Welfare Center.

같은 코로나바이러스 계열이지만 사스와 메르스는 증상 시작 7∼10일 뒤에 바이러스 양이 최고점에 도달한다.
Although it is the same coronavirus family, SARS and MERS peak in the amount of virus 7-10 days after the onset of symptoms.

방역당국이 18세 이하에서 코로나19의 발병도와 치명률이 낮다고 판단했다.
The quarantine authorities determined that the onset and fatality rate of COVID-19 was low in those under the age of 18.

초로기 치매는 음주, 흡연, 대화, 식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Young onset dementia is closely related to drinking, smoking, conversation, and diet.

초로기 치매 원인의 상당수는 알츠하이머 치매로, 그 외에도 혈관성 치매, 전두측두엽 치매, 알코올성 치매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In many cases, the causes of young onset dementia are Alzheimer's disease, as well as vascular dementia, frontotemporal dementia, and alcoholic dementia.

발병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체온이 올라갈 때 땀을 내어 체온을 조절하는 신체 반응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lthough the cause of the onset has not been clearly identified, it is known that it is related to the body's temperature control mechanisms, which activates sweating, when the body temperature rises.

보건 당국에 따르면 29번 환자는 발병 시점인 지난 5일 이전에 노인종합복지관에서 독거노인 도시락 배달봉사를 했다.
According to the health authorities, the 29th patient delivered a lunch box to the elderly living alone at the Senior Welfare Center voluntarily on the 5th before the onset.

논문에 따르면 사망자 66명은 코로나19 증상이 시작된 후 평균 10일 만에 사망했다.
According to the paper, 66 people died on average 10 days after the onset of COVID-19 symptoms.

의료 윤리적 측면은 의학 태동 시기부터 주된 관심사였다.
The ethical aspect of medicine has been a major concern since the medical onset.

이 중 14명은 31번 환자가 증상 발생일 이후 두 차례 방문한 신천지예수교 대구교회에서 나왔다.
Of these, 14 came from the Daegu Shincheonji Church of Jesus, where Patient 31 visited twice after the onset of symptoms.

아들 또는 며느리가 젊고 건강상태가 좋다면 바이러스에 먼저 노출됐지만 25번 환자보다 늦게 발병할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It is explained that if the son or daughter-in-law is young and in good health, he or she was exposed to the virus first,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onset is later than that of the 25th patient.

협회 추산에 따르면, 50대 가장이 뇌출혈 발병으로 1개월 입원·3개월 재활을 거쳐야 했을 때 2015년 기준 뇌출혈 1인당 평균 진료비 621만8,000원 가운데 개인부담 20%를 가정하면 치료비로 최소 125만원이 든다.
According to the association's estimates, when a head of a household in his 50s had to be hospitalized for one month and rehabilitated for three months due to an onset of cerebral hemorrhage, it would cost at least 1.25 million won for treatment, assuming 20% of the average medical cost per person for cerebral hemorrhage as of 2015, which is 6,218,000 won.

평균 45세에서 65세 사이에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감정과 판단을 담당하는 전두엽 기능이 떨어져 알츠하이머 치매와 달리 초기부터 성격 변화와 이상행동을 보인다.
It is known that the onset occurs between the ages of 45 and 65 on average, and unlike Alzheimer's dementia, the frontal lobe function, which is responsible for emotion and judgment, declines, showing personality changes and abnormal behaviors from the beginning.

당뇨병 발병·진행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A technology that can quickly and accurately diagnose the onset and progression of diabetes has been developed.

일반적인 질환과 크게 다르지 않은 증상에서 발병이 시작됐다가 갑자기 병세가 악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This is because the disease often worsens suddenly after the onset of the disease with symptoms that are not very different from common diseases.

예를 들어 입춘 구간에는 향이 강한 미스킴라일락과 생강나무를 심고, 입동 구간에는 팔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기구를 둔다.
For example, the onset of spring section is planted with strong scented Syringa patula "Miss Kim" and ginger trees, while the onset of winter section has exercise equipment that strengthens arm muscular strength.

이 연구에 따르면, 초기에 집중 재활치료를 받은 뇌졸중 환자군은 그렇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뇌병변 장애 등급이 발병 시점보다 6개월 후에 더 뚜렷하게 개선되었다.
According to the study, stroke patients who were initially treated with intensive rehabilitation improved significantly six months after the onset of the disease, compared to those who were not.

방역당국에 따르면 이태원 클럽 집단감염 사례 중 가장 빠른 증상 발현일은 5월 2일로, 현재까지 3명이 이날을 신종 코로나 증상이 처음 나타난 날짜로 꼽았다.
According to the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uthorities, the earliest symptom onset among the mass infection case confirmed at Itaewon clubs was May 2, and so far, 3 people chose this day as the date when COVID-19 symptoms first appeared.

지난해 갑작스럽게 이 병이 생기면서 생계가 어려워졌지만 헌금이 전달되면서 금전적 걱정을 덜게 됐다.
The sudden onset of the disease last year made it difficult to make a living, but the delivery of the donation eased financial concerns.

증상이 나타난 지 3개월이 흘렀을 무렵 병원을 찾은 그는 의사의 처방을 받고 다소 상태가 호전됐지만, 이내 증상은 더욱 악화됐다.
Three months after the onset of symptoms, he visited the hospital, and after receiving a doctor's prescription, his condition improved somewhat, but soon the symptoms worsened a lot.

한편 중앙임상위가 1,868명의 확진환자를 추적 관찰해 분석한 결과 환자군의 연령 중앙값은 43세, 증상 발생에서 확진 후 입원까지는 5일이 걸렸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Central Clinical Trial Review Committee's follow-up analysis of 1,868 confirmed patients,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43 years old, and it took five days from symptom onset to hospitalization after diagnosis.

증상 발현은 27번 환자가 앞섰지만 확진 판정은 25번 환자가 먼저 받았다.
The 27th confirmed patient preceded the onset of symptoms, but the 25th confirmed patient received the diagnosis first.

특히 신종 코로나는 잠복기 감염이 가능한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추정 발병일에서 최소 2∼3일 전 방문했던 장소와 접촉한 사람은 관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된다.
In particular, as it is estimated that the COVID-19 can be infected in an incubation period, it is suggested that those who met with the infected and the place where the infected visited at least 2-3 days before the estimated onset should be managed.

발병 초기에 치료하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므로 조기에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It is important to diagnose accurately early because effective treatment is possible if treated early on onset.

abrupt onset (갑작스러운 발생)

acute onset (급성 발병, 급성 발현) 동의어=insidious onset. 갑작스럽게 발생하거나 최근에
발생하는 것.

date of onset (발병일)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지연성 근동통, 지연성 근통증, 지연된 근육통)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지연성 근통증) 간헐적인 과사용 (overuse) 후 간질에 발
생한 염증으로 인한 통증.

hydrocephalus (뇌수, 뇌수종) a condition marked by dilatation of the cerebral ventricles,
most often occurring secondarily to obstruction of the cerebrospinal fluid pathways, and
accompanied by an accum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within the skull; the fluid is
usually under increased pressure, but occasionally may be normal or nearly so. It is
typically characterized by enlargement of the head, prominence of the forehead, brain
atrophy, mental deterioration, and convulsions; may be congenital or acquired; and may
be of sudden onset (acute h.) or be slowly progressive (chronic or primary b.).

initiating factor (유발요인) 질환이나 장애의 발병 (onset)에 원인이 되는 요소들.

insidious onset (잠행성 발병) 반대어=acute onset. 점진적이고 포착하기 힘들고 모르는 사
이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

late onset schizophrenia (후기 발병 정신분열증)

migraine (편두통) an often familial symptom complex of periodic attacks of vascular
headache, usually temporal and unilateral in onset, commonly associated with irritability,
nausea, vomiting, constipation or diarrhoea, and often photophobia; attacks are preceded
by constriction of the cranial arteries, usually with resultant prodromal sensory
(especially ocular) symptoms, and commence with the vasodilation that follows.

new or abrupt onset of pain (새롭거나 갑작스러운 동통의 발생)

onset (개시, 시작, 발병)

onset event (유발 시 사건)

pleurisy : inflammation of the pleura, with exudation into its cavity and upon its
surface. It may occur as either an acute or a chronic process. In acute pleurisy the
pleura becomes reddened, then covered with an exudate of lymph, fibrin, and cellular
elements (the dry stage); the disease may progress to the second stage, in which a
copious exudation of serum occurs (stage of liquid effusion). The inflamed surfaces of
the pleura tend to become united by adhesions, which are usually permanent. The
symptoms are a stitch in the side, a chill, followed by fever and a dry cough. As
effusion occurs there is an onset of dyspnea and a diminution of pain. The patient lies
on the affected side.

허혈성 뇌졸중 발병 당시 다양한 염증인자와 뇌경색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inflammatory parameters and stroke characteristics on onset of acute ischemic stroke

Propofol과 혼합 정주된 Rocuronium이 기관 내 삽관 환경 및 신경근 차단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ing Propofol and Rocuronium on Intubating Conditions and Onset of Neuromuscular Blocking

E10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4단위 분류는 252쪽을 참조)
-
포함 : 불안정형 당뇨병(brittle diabetes) (진성, mellitus)
연소성 발병 당뇨병(juvenile-onset diabetes) (진성, mellitus)
케토증 경향 당뇨병(ketosis-prone diabetes) (진성, mellitus)
I형 당뇨병(type I diabetes) (진성, mellitus)
제외:영양실조 관련성 당뇨병(diabetes mellitus in malnutrition-related)(E12.-)
신생아 당뇨병(diabetes mellitus in neonatal)(P70.2)
임신, 출산 및 산욕의 당뇨병(diabetes mellitus in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uerperium)(O24.-)
당뇨(glycosuria) NOS(R81)
신성 당뇨(renal glycosuria) (E74.8)
내당력 손상(impaired glucose tolerance)(R73.0)
수술후 저인슐린혈증(postsurgical hypoinsulinaemia)(E89.1)

E11 인슐린-비의존성 당뇨병(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4단위 분류는 252쪽을 보시오)
-
포함 : 성년개시 당뇨병(adult-onset diabetes)(진성, mellitus)(비비만성, nonobses)(비만성, obses)
성숙기개시 당뇨병(maturity-onset diabetes)(진성, mellitus)(비비만성, nonobses)(비만성,
obses)
비케토성 당뇨병(nonketotic diabetes)(진성, mellitus)(비비만성, nonobses)(비만성, obses)
안정형 당뇨병(stable diabetes)(진성, mellitus)(비비만성, nonobses)(비만성, obses)
Ⅱ형 당뇨병(typeⅡdiabetes)(진성, mellitus)(비비만성, nonobses)(비만성, obses)
청년의 인슐린-비의존성 당뇨병(non-insulin-dependent diabetes of the young)
제외:영양실조 관련성 당뇨병(diabetes mellitus in malnutrition-related)(E12.-)
신생아 당뇨병(diabetes mellitus in neonatal)(P70.2)
임신, 출산 및 산욕의 당뇨병(diabetes mellitus in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uerperium)(O24.-)
당뇨(glycosuria) NOS(R81)
신성 당뇨(renal glycosuria)(E74.8)
내당력 손상(impaired glucose tolerance)(R73.0)
수술후 저인슐린혈증(postsurgical hypoinsulinaemia)(E89.1)

F00* 알쯔하이머병에서의 치매(Dementia in Alzheimer's disease)(G30.-+)
-
알쯔하이머병은 신경병리 및 신경 화학적 양상을 특징으로 하는 원인불명의 원발성 퇴행성 대뇌질환
이다. 이 장애는 보통 서서히 발병하며 천천히 그러나 꾸준히 여러해에 걸쳐 발전한다.
F00.0*조발성 알쯔하이머병에서의 치매(Dementia in Alzheimer's disease with early onset)(G30.0+)
65세 이전에 발병한 알쯔하이머병에서의 치매로 상대적으로 급속한 악화경로를 가지며 고위 피질
기능 장애가 매우 다양하다.
알쯔하이머병 2형(Alzheimer's disease, type 2)
알쯔하이머형의 초로성 치매(Presenile dementia, Alzheimer's type)
알쯔하이머형의 원발성 퇴행성 치매, 초로성 발병(Primary degenerative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presenile onset)
F00.1*만발성 알쯔하이머병에서의 치매(Dementia in Alzheimer's disease with late onset)(G30.1+)
65세 이후에 발병한 알쯔하이머병에서의 치매로 보통70대 후반 또는 그 후에 발병하며 느린 진행속
도와 기억력 손상이 주된 양상이다.
알쯔하이머병 1형(Alzheimer's disease, type 1)
알쯔하어머형의 원발성 퇴행성 치매, 노인성 발병(Primary degenerative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presenile onset)
알쯔하이머형의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 Alzheimer's type)
F00.2*비정형 또는 혼합형의 알쯔하이머병에서의 치매(Dementia in Alzheimer's disease, atypical or
mixed type)(G30.8+)
알쯔하이머형의 비정형 치매(Atypical dementia, Alzheimer's type)
F00.9*상세불명의 알쯔하이머병에서의 치매(Dementia in Alzhemer's disease, unspecified)(G30.9+)

F01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
혈관성 치매는 고혈압성 대뇌혈관 질환을 포함하는 혈관질환에 의한 뇌경색의 결과이다.
포함 : 동맥경화성 치매(arteriosclerotic dementia)
F01.0 급성 발병의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of acute onset)
대뇌혈관혈전증, 색전증 또는 출혈에 의한 뇌졸증후에 급속히 발전한다. 드문 경우로, 단독대경색증
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F01.1 다발경색 치매(Multi-infarct dementia)
점진적인 발병을 하며 뇌실질에 경색의 축적을 만드는 수차례의 일과성 허혈 발작에 따른다.
현저한 피질성 치매(Predominantly cortical dementia)
F01.2 피질하 혈관성 치매(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고혈압의 병력 및 대뇌반구의 심부백질의 허혈성 파괴병소가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대뇌피질은
보통 보존되는데 이점은 알쯔하이머병에서 보이는 유사한 임상소견과 대조적이다.
F01.3 피질 및 피질하의 혼합된 혈관성 치매(Mixed cortical and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F01.8 기타 혈관성 치매(Other vascular dementia)
F01.9 상세불명의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unspecified)

F93 소아기에만 발병하는 정서 장애(Emotional disorders with onset specific to childhood)
-
그 자체로는 질적인 비정상적 현상이라기 보다는 정상적 발달경향의 과장이라 볼 수 있다. 발달
적합성이 소아기에만 발병하는 정서 장애(F93.-)와 신경성 장애(F40-F48)의 차이점을 정의하는
진단적 열쇠가 된다.
제외 : 행동 장애와 연관되었을 때(when associated with conduct disorder(F92.-)
F93.0 소아기의 분리 불안 장애(Separation anxiety disorder of childhood)
소아기의 초기에 발생하며 분리에 대한 공포가 불안의 촛점이 되는 경우의 진단. 이 장애는 정상
분리불안에서 부터 분화하는데 그 정도가 통계학적으로 특별한 경우 (정상 연령기간 이상으로 비정
상적 지속이 있을 때) 및 심각한 사회적 기능의 장애와 관련 되었을 때 그러하다.
제외:기분[정동성] 장애(mood[affective] disorders)(F30-F39)
신경증성 장애(neurotic disorders) (F40-F48)
소아기 공포 불안 장애(phobic anxiety disorder of childhood)(F93.1)
소아기의 사회적 불안 장애(social anxiety disorder of childhood)(F93.2)
F93.1 소아기 공포 불안 장애(Phobic anxiety disorder of childhood)
대다수의 어린이에게서 일어나고 뚜렷한 발달기 특수성을 보이며 정도가 비정상인 공포. 정상 정신
사회발달 영역이 아닌(광장공포증등) 소아에서의 공포는 F40-F48의 적당한 항목하에 분류해야 한
다.
제외:일반적 불안 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F41.1)
F93.2 소아기의 사회적 불안 장애(Social anxiety disorder of childhood)
새롭거나 이상하거나 사회적으로 위험에 처한 상황을 만났을 때 불안이나 사회이해와 생소함에
대한 걱정을 하는것. 이 항목은 초기 연령에 발생하고 그정도가 비정상적이며 사회적 기능에서 문제
점을 동반하는 곳에 만 사용한다.
소아기와 청년기의 도피장애(Avoidant disorder of childhood or adolescence)
F93.3 형제간 경쟁장애(Sibling rivalry disorder)
바로밑 동생이 태어났을때 대다수의 어린이에서 나타나는 감정적 장애로써 장애의 지속성과 정도가
통계학적으로 흔하지 않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이상성과 연관되었을 때 형제간 경쟁 장애로 진단된
다.
형제간 질투(Sibling jealousy)
F93.8 기타 소아기 정서 장애(Other childhood emotional disorders)
주체성 장애(Identity disorder)
과잉불안 장애(Overanxious disorder)
제외 : 소아기의 성 주체성 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 of childhood)(F64.2)
F93.9 상세불명의 소아기 정서 장애(Childhood enmotional disorder, unspecified)

F94 소아기 또는 청년기에만 발병하는 사회적 기능수행 장애(Disorders of social functioning with onset
specific to childhood and adolescence)
-
발달기에 시작되는 사회적 기능 장애를 공통으로 하는 이질적 질병의 군(Group)으로써 만연성 발달
장애와는 다르게 사회 구성적 무능력이나 모든 영역의 기능 장애가 특징이 되지 않는다. 심각한
환경적 변형이나 상실이 결정적 원인이 된다.
F94.0 선택적 함구증(Elective mutism)
뚜렷하고 정서적으로 결정된 말하기의 선택성이 특징이며 어린이는 어느 상황에서는 완전한 언어능
력을 보이지만 또 다른 상황에서는 실패하는 장애이다. 이 장애는 사회불안, 움츠림, 감수성 또는
저항등의 인격양상과 관련된다.
선택적 함구증(Selective mutism)
제외:전반적 발달 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F84.-)
정신분열증(schizophrenia)(F20.-)
말하기 및 언어의 특수 발달 장애(specific developmental disorders of speech and
language)(F80.-)
어린아이에 있어서 분리 불안의 일부로써 일시적 무언증(transient mutism as part of
separation anxiety in young children)(F93.0)
F94.1 소아기 반응성 애착 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 of childhood)
5세 이내에 발병하며 정서장애나 환경요소의 변화에 반응하는 사회적 관계의 지속적 비정상성이
특징이다. (환경요소란 두려움 및 과경계, 동년배와의 나쁜 상호작용, 자신과 타인에 대한 공격성,
불행, 일부 경우에서 성장장애). 이 증상은 심한 부모의 학대, 욕설, 소홀함의 직접적 결과로 일어날
수 있다. 발육 및 성장지체에 연관된 부전증을 명시하고자 한다면 추가분류번호 사용.
제외:아스퍼거 증후군(Asperger's syndrome)(F84.5)
소아기 무억제성 애착 장애(disinhibited attachment disorder of childhood)(F94.2)
학대 증후군(maltreatment syndromes)(T74.-)
선택적 애착 양상의 정상 변이(normal variation in pattern of selective attachment)
정신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 소아의 성적 육체적 학대(sexual or physical abuse in
childhood, resulting in psychosocial problems) (Z61.4-Z61.6)
F94.2 소아기 무억제성 애착 장애(Disinhibited attachment disorder of childhood)
5세 이하에서 발병하는 비정상적 사회적 기능수행으로써 환경적 사정이 변하더라도 지속되는 경향
이 있다. 미만성 비선택적 애착 장애, 주의를 탐색하고 무분별하게 친절한 행동, 잘못 조정된 동년배
끼리의 상호작용등을 말하며 정서적 또는 행동장애와 연관될 수도 있다.
감동결여성 인격장애(Affectionless psychopathy)
공공시설 증후군(Institutional syndrome)
제외:아스퍼거 증후군(Asperger's syndrome)(F84.5)
어린이의 병원증(hospitalism in children)(F43.2)
과운동성 장애(hyperkinetic disorders)(F90.-)
소아기 반응성 애착 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 of childhood)(F94.1)
F94.8 기타 소아기 사회 기능수행 장애(Other childhood disorders of social functioning)
F94.9 상세불명의 소아기 사회적 기능수행 장애(Childhood disorder of social functioning, unspecified)

F98 소아기나 청년기에 주로 발병하는 기타 행동 및 정서 장애(Other behavioural and emotional disorders
with onset usually occurring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
소아기의 발생을 특징적으로 공유하는 이질적 장애군으로써 많은 관점에서 다르다. 이런 병태중
일부는 잘 정의된 증후군이나 그외는 증상의 빈도와 정신사회적 문제와의 관계, 다른 증후군과 어울
리지 않기때문에 포함되는 단지 증상의 복합체일 뿐이다.
제외:호흡정지 발작(breath-holding spells)(R06.8)
소아기의 성 주체성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 of childhood)(F64.2)
클라인-레빈 증후군(Kleine-Levin syndrome)(G47.8)
강박 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F42.-)
정서적 원인에 의한 수면 장애(sleep disorders due to emotional causes)(F51.-)
F98.0 비기질성 유뇨증(遺尿症)(Nonorganic enuresis)
환자의 정신연령에 비해 비정상적인, 낮 및 밤의 불수의적 유뇨로써 간질발작, 구조적 요로장애,
신경학적 장애 등으로 인한 방광조절 부족의 결과가 아님을 특징으로 한다. 유뇨증은 출생부터
나타나든지 후천적 방광조절 시기에 따라 일어날 수 있다. 더욱 광범위한 정서 또는 행동장애와
연관될 수 도 있고 안될 수 도 있다.
비기질적 기원의 유뇨증(원발성, 이차성)(Enuresis(primary, secondary)of nonorganic origin)
기능성 유뇨증(Functional enuresis)
심인성 유뇨증(Psychogenic enuresis)
비기질성 기원의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of nonorganic origin)
제외 : 유뇨증(enuresis) NOS(R32)
F98.1 비기질성 유분증(遺糞症)(Nonorganic encopresis)
개인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비추어 적합하지않은 곳에 수의적 또는 불수의적 인 변(便)의 실금으로
써 그 굳기는 정상이거나 정상에 가깝다. 이러한 병태는 정상적 유아기 실금(失禁)의 비정상적
연속이 될수있고, 장조절력을 획득후 자제(自制)의 상실이 될 수도 있으며, 정상심리학적 장조절력에
도 불구하고 부적당한 곳에 고의로 배변하는 행위일 수도 있다. 이 장애는 하나의 증상으로써 또는
정서 장애(F93.-)나 행동 장애(F91.-) 등의 일부 형태로써 발현된다. 유분증과 변비가 공존할때는
유분증과 변비를 일으키는 원인을 감별하려면 추가로 분류번호를 사용할 것.
기능적 유분증(Functional encopresis)
비기질적 기원의 변실금(Incontinence of faeces of nonorganic orgin)
심인성 유분증(Psychogenic encopresis)
제외 : 유분증(encopresis) NOS(R15)
F98.2 영아기 또는 소아기의 섭식 장애(Feeding disorder of infancy and childhood)
섭식 장애의 여러형태는 영아 및 조기 소아기에만 주로 발현된다. 기질적 질병이 없고 합리적으로
유능한 돌보는 사람이 있고, 적당한 음식이 공급되는데도 극도의 변덕과 먹기를 거부함이 특징이다.
이것은 반추(오심 또는 위장관의 질병없이 반복되는 역류를 의미)와 연관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영아의 반추 장애(Rumination disorder of infancy)
제외 : 신경성 식욕부진 및 기타 섭식 장애(anorexia nervosa and other eating disorders)(F50.-)
섭식 곤란 및 그릇된 관리(feeding difficulties and mismanagement)(R63.3)
신생아의 섭식 문제(feeding problems of newborn)(P92.-)
영아기 또는 소아기의 이식증(異食症)(pica of infancy or childhood(F98.3)
F98.3 영아기 또는 소아기의 이식증(Pica of infancy and childhood)
흙, 페인트조각(Paint-chipping)등 비-영양 물질을 지속적으로 먹는 장애. 이식증은 정신과적 장애
(자폐증 같은)의 부분적 증상일 수 있고 비교적 고립된 정신병리학적 행동으로 일어날 수도 있는데
후자만이 여기에 분류된다. 이런 현상은 정신적으로 뒤떨어진 어린이에서 잘 나타나며 정신적 발육
지체이 있다면 F70-F79가 주요 진단분류번호로 쓰여야 한다
F98.4 상동증적 운동 장애(Stereotyped movement disorders)
알려진 어떤 정신과적 또는 신경학적 병태의 일부분적 형태가 아닌 자발적, 반복적, 상동적, 비기능적
인(주로 운율적) 동작. 이런 동작이 다른 장애의 증상으로 나타났다면 그 장애의 분류번호가 사용된
다. 자기 상해를 주지않는 다양한 동작은 몸흔들기, 머리흔들기, 머리 쥐어뜯기, 머리꼬기, 손가락
튀기는 버릇, 손비틀기 등이다. 상동적 자기상해성 행위는 머리부딪기, 뺨 때리기, 눈찌르기, 손물기,
입술깨물기 등 신체의 일부를 무는 버릇을 말한다. 모든 상동적 운동장애는 종종 정신적 발육지체와
연관되며 이때는 양쪽 다 분류한다. 시각 장애 아동에서의 눈찌르기 행동은 양쪽 다 분류하는데
눈찌르기는 이 항목으로 하고 시각 병태는 적절한 신체장애분류번호를 사용한다.
상동증적/습관 장애(Stereotype/habit disorder)
제외 : 비정상적 불수의성 운동(abnormal involuntary movements)(R25.-)
기질적 기원의 운동장애(movement disorders of organic origin)(G20-G25)
손톱물어뜯기(nail-biting)(F98.8)
코 파기 (nose-picking)(F98.8)
넓은 정신과적 병태의 일부로써 상동증(stereotypies that are part of a broader psychiatric
condition)(F00-F95)
엄지손가락빨기(thumb-sucking) (F98.8)
틱 장애(tic disorders)(F95.-)
발모벽(拔毛癖)(trichotillomania) (F63.3)
F98.5 말더듬[눌어증(訥語症)](Stuttering[stammering])
음성, 음절, 단어의 반복성과 늘어짐이 특징이며 발어의 운율을 깨뜨리는 주저함과 잠시멈춤의 형태
를 취할 수도 있다. 이것은 그 증상이 말하기의 유창함을 방해하는 정도에만 장애로 분류된다.
제외:틱 장애(tic disorders)(F95.-)
언어혼란증(cluttering)(F98.6)
F98.6 언어 혼란증(Cluttering)
주저함이나 반복은 없으나 말하는 속도가 빨라, 유창하게 되지않고 언어이해 도가 감소되는 정도의
장애. 말하기는 산만하고 부정율동이며 빠른 반사적 분출로써 잘못된 구(句)를 이룬다.
제외:말더듬(stuttering)(F98.5)
틱 장애(tic disorders)(F95.-)
F98.8 소아기와 청소년기에 주로 발생하는 기타 명시된 행동 및 정서 장애(Other specified behavioural
and emotional disorders with onset usually occurring in cjo;djppd amd adolescence)
활동항진 없는 주의 결핍 장애(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out hyperactivity)
과도한 자위행위(Excessive masturbation)
손톱 물어뜯기(Nail-biting)
코 파기(Nose-picking)
엄지손가락 빨기(Thumb-sucking)
F98.9 소아기 및 청소년기에 주로 발병하는 상세불명의 행동 및 정서 장애(Unspecified behavioural and
emotional disorders with onset usually occurring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G11 유전성 운동실조(Hereditary ataxia)
-
제외:유전성 및 특발성 신경병증(hereditary and idiopathic neuropathy)(G60.-)
영아성 뇌성마비(infantile cerebral palsy)(G80.-)
대사 장애(metabolic disorders)(E70-E90)
G11.0 선천성 비진행성 운동실조(Congenital nonprogressive ataxia)
G11.1 조기발병 소뇌성 운동실조증(Early-onset cerebellar ataxia)
주 : 발병은 보통 20세 이전(Onset usually before the age of 20)
본태성 진전을(를) 동반한 조기발병 소뇌성 운동마비(Early-onset cerebellar ataxia with essential
tremor)
간대성 근경련증[헌트 운동실조증]을(를) 동반한 조기발병 소뇌성 운동마비(Early-onset
cerebellar ataxia with myoclonus[Hunt's ataxia])
보류성 건반사을(를) 동반한 조기발병 소뇌성 운동마비(Early-onset cerebellar ataxia with retained
tendon reflexes)
프리드라이히 운동실조(상염색체 열성)(Friedreich's ataxia(autosomal recessive))
반성열성 척수소뇌성 운동실조(X-linked recessive spinocerebellar ataxia)
G11.2 만기발병 소뇌성 운동실조(Late-onset cerebellar ataxia)
주 : 발병은 보통 20세 이후(Onset usually after the age of 20)
G11.3 DNA 복구 결손을 수반한 소뇌성 운동실조(Cerebellar ataxia with defective DNA repair)
모세혈관 확장성 운동실조[루이-바아](Ataxia telangiectasia[Louis-bar])
제외 : 코케인 증후군(Cockayne's syndrome)(Q87.1)
색소성 건피증(xeroderma pigmentosum)(Q82.1)
G11.4 유전성 강직성 대마비(强直性對麻痺)(Hereditary spastic paraplegia)
G11.8 기타 유전성 운동실조(Other hereditary ataxias)
G11.9 상세불명의 유전성 운동실조(Hereditary ataxia, unspecified)
유전성 소뇌성 운동실조(Hereditary cerebellar ataxia) NOS
유전성 소뇌성 변성(Hereditary cerebellar degeneration)
유전성 소뇌성 질환(Hereditary cerebellar disease)
유전성 소뇌성 증후군(Hereditary cerebellar syndrome)

G30 알쯔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
포함 : 노인성 및 초로성 형태(senile and presenile forms)
제외 : 뇌의 노인성 변성(senile degeneration of brain) NEC(G31.1)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 NOS(F03)
노쇠(senility) NOS(R54)
G30.0 조기발병을 수반한 알쯔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with early onset)
주: 발병은 보통 65세 이전.
G30.1 만기발병을 수반한 알쯔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with late onset)
주: 발병은 주로 65세 이후.
G30.8 기타 알쯔하이머병(Other Alzheimer's disease)
G30.9 상세불명의 알쯔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unspecified)

G40 간질(Epilepsy)
-
제외:란다우-클레프너 증후군(Landau-Kleffner syndrome)(F80.3)
발작(경련성)(seizure(convulsive)) NOS(R56.8)
간질지속 상태(status epilepticus)(G41.-)
토드 마비(Todd's paralysis)(G83.8)
G40.0 국소발병의 발작을 동반한 국소관련성(촛점성, focal) (부분적, partial) 특발성
간질 및 간질성 증후군(Localization-related idiopathic epilepsy and epileptic syndromes with
seizures of localized onset)
중심 측두엽성 뇌파 스파이크를 동반한 양성 소아기 간질(Benign childhood epilepsy with
centrotemporal EEG spikes)
후두성 뇌파 발작을 동반한 소아기 간질(Childhood epilepsy with occipital EEG paroxysms)
G40.1 단순성 부분 발작을 동반한 국소관련성(촛점성, focal) (부분적, partial) 증상성 간질 및 간질성
증후군(Localization-related symptomatic epilepsy and epileptic syndromes with simple partial
seizures)
의식의 변화가 없는 발작(Attacks without alteration of consciousness)
속발성 전신발작으로 진행하는 단순성 부분발작(Simple partial seizures developing into
secondarily generalized seizures)
G40.2 복합성 부분발작을 동반한 국소관련성(촛점성, focal) (부분적, partial) 증상성 간질 및 간질성 증후군
(Localization-related symptomatic epilepsy and epileptic syndromes with complex partial
seizures)
간혹 자동증을 동반하며 의식의 변화가 있는 발작(Attacks with alteration of consciousness, often
with automatisms)
속발성 전신발작으로 진행하는 복합성 부분발작(Complex partial seizures developing into
secondarily generalized seizures)
G40.3 전신성 특발성 간질 및 간질성 증후군(Generalized idiopathic epilepsy and epileptic syndromes)
양성 신생아 경련(가족성)(Benign neonatal convulsions(familial))
양성 유아의 간대성 근경련성 간질(Benign myoclonic epilepsy in infancy)
소년기 결여간질 [신속 소간질](Childhood absence epilepsy[Pyknolepsy])
각성시 대발작을 동반한 간질(Epilepsy with gand mal seizures on awakening)
연소성 간대성 근경련성 간질(충동성 소발작) (Juvenile myoclonic epilepsy [impulsive petit mal])
연소성 방심 간질(Juvenile absence epilepsy)
간대성 비특정 간질성 발작(Clonic nonspecific epileptic seizures)
근간대성 비특정 간질성 발작(Myoclonic nonspecific epileptic seizures)
긴장성 비특정 간질성 발작(Tonic nonspecific epileptic seizures)
긴장성-간대성 비특정 간질성 발작(tonic-clonic nonspecific epileptic seizures)
이완성 비특정 간질성 발작(Atonic nonspecific epileptic seizures)
G40.4 기타 전신성 간질 및 간질성 증후군(Other generalized epilepsy and epileptic syndromes)
근간대성 결여를 동반한 간질(Epilepsy with myoclonic absences)
근간대성-기립불능성 발작을 동반한 간질(Epilepsy with myoclonic-astatic seizures)
레녹스-가스토 증후군(Lennox-Gastaut syndrome)
살람 발작(Salaam attacks)
웨스트 증후군(West's syndrome)
유아성 경련(Infantile spasms)
증상성 조기 근간대성 뇌병증(Symptomatic early myoclonic encephalopathy)
G40.5 특별한 간질성 증후군(Special epileptic syndromes)
지속성 부분 간질[코제브니코프](Epilepsia partialis continua)[Kozhevnikof]
수면 박탈과(와) 관련된 간질성 발작(Epileptic seizures related to sleep deprivation)
스트레스과(와) 관련된 간질성 발작(Epileptic seizures related to stress)
알콜과(와) 관련된 간질성 발작(Epileptic seizures related to alcohol)
약물과(와) 관련된 간질성 발작(Epileptic seizures related to drugs)
호르몬 변화과(와) 관련된 간질성 발작(Epileptic seizures related to hormonal changes)
약물 유발성일 때 약물감별을 원한다면 추가로 외인분류번호(XX장)를 사용할 것.
G40.6 상세불명의 대발작(소발작이 있든지 없든지)(Grand mal seizures, unspecified (with or without
petit mal))
G40.7 대발작이 없는 상세불명의 소발작(Petit mal, unspecified, without grand mal seizures)
G40.8 기타 명시된 간질(Other epilepsy)
촛점성인지 전신성인지 결정되지 않은 간질 및 간질성 증후군
G40.9 상세불명의 간질(Epilepsy, unspecified)
간질성 경련(Epileptic convulsions) NOS
간질성 발작(Epileptic fits(seizures)) NOS

G43 편두통(Migraine)
-
약물 유발성일 때 약물감별을 원한다면 추가로 외인분류번호(XX장)를 사용할 것
제외:두통(headache) NOS(R51)
G43.0 전조가 없는 편두통[일반 편두통](Migraine without aura)[common migraine]
G43.1 전조가 있는 편두통[고전적 편두통](Migraine with aura)[classical migraine]
두통이 없는 편두통 전조(Migraine aura without headache)
뇌저 편두통( Migraine basilar)
대리증 편두통(Migraine equivalents)
가족성 편측마비성 편두통(Migraine familial hemiplegic)
급성 발병전조를 동반한 편두통(Migraine with acute-onset aura)
연장된 전조를 동반한 편두통(Migraine with prolonged aura)
전형적 전조를 동반한 편두통(Migraine with typical aura)
G43.2 편두통 지속상태(Status migrainosus)
G43.3 합병증이 있는 편두통(Complicated migraine)
G43.8 기타 편두통(Other migraine)
망막성 편두통(Retinal migraine)
안근마비성 편두통(Ophthalmoplegic migraine)
G43.9 상세불명의 편두통(Migraine, unspecified)

I21 급성 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
-
포함:급성으로 명시되었거나 또는 발병으로 부터 지속기간이 4주 이내인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specified as acute or with a stated duration of 4 weeks(28days) or less from
onset)
제외:급성 심근경색증에 의한 특정 현재 합병증(certain current complications following acute
myocardial infarction)(I23.-)
오래된 심근경색증 (old myocardial infarction)(I25.2)
만성으로 명시었거나 발병으로 부터 4주(28일) 이상 경과된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specified as acute or with a stated duration of more than 4weeks(more than
28 days)from onset)(I25.8)
속발성 심근경색증 (subsequent myocardial infarction)(I22.-)
심근 경색후(後) 증후군(postmyocardial infarction syndrome)(I24.1)
I21.0 전(前)벽의 급성 경벽성 심근경색증(Acute transmural myocardial infarction of anterior wall)
전(벽)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anterior(wall)) NOS
전첨부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anteroapical)
전측부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anterolateral)
전중격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anteroseptal)
I21.1 하벽의 급성 경벽성 심근경색증(Acute transmural myocardial infarction of inferior wall)
횡격막쪽 벽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diaphragmatic wall)
하(벽)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inferior(wall)) NOS
하측부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inferolateral)
하후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inferoposterior)
I21.2 기타 부위의 급성 경벽성 심근경색증(Acute transmural myocardial infarction of other sites)
첨부-측부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apical-lateral)
기저-측부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basal-lateral)
고측부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high lateral)
측부(벽)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lateral(wall)) NOS
후(진성)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posterior(true))
후기저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posterobasal)
후측부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posterolateral)
후중격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posteroseptal)
중격의 경벽성 경색증(급성)(Transmural infarction(acute) of septal) NOS
I21.3 상세불명 부위의 급성 경벽성 심근경색증(Acute transmural myocardial infarction of unspecified
site)
경벽성 심근경색증(Transmural myocardial infarction) NOS
I21.4 급성 심내막하 심근경색증(Acute subendocardial myocardial infarction)
비경벽성 심근경색증(Nontransmural myocardial infarction) NOS
I21.9 상세불명의 급성 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 unspecified)
심근경색증(급성)(Myocardial infarction(acute) NOS

I22 속발성 심근경색증(Subsequent myocardial infarction)
-
포함:재발성 심근경색증(recurrent myocardial infarction)
제외:만성으로 명시되었거나 발병으로 부터 4주(28일)이상 경과 된 것(specified as chronic or
with a state duration of more than 4 weeks(more than 28 days) from onset)(I25.8)
I22.0 전벽의 속발성 심근경색증(Subsequent myocardial infarction of anterior wall)
전(벽)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infarction(acute) of anterior(wall)) NOS
전첨부성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infarction(acute) of anteroapical)
전측부성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infarction(acute) of anterolateral)
전중격성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infarction(acute) of anteroseptal)
I22.1 하벽의 속발성 심근경색증(Subsequent myocardial infarction of inferior wall)
횡격막쪽 벽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infarction(acute) of diaphragmatic wall)
하(벽)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infarction(acute) of inferior(wall)) NOS
하측부성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infarction(acute) of inferolateral)
하후성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infarction(acute) of inferoposterior)
I22.8 기타 부위의 속발성 심근경색증(Subsequent myocardial infarction of other sites)
첨부-측부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myocardialinfarction(acute) of apical-lateral)
기저-측부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myocardialinfarction(acute) of basal-lateral)
고측부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myocardialinfarction(acute) of high lateral)
측(벽)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myocardialinfarction(acute) of lateral(wall)) NOS
후(진성)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myocardialinfarction(acute) of posterior(true))
후기저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myocardialinfarction(acute) of posterobasal)
후측부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myocardialinfarction(acute) of posterolateral)
후중격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myocardialinfarction(acute) of posteroseptal)
중격의 속발성 심근경색증(급성)(Subsequent myocardialinfarction(acute) of septal) NOS
I22.9 상세불명부위의 속발성 심근경색증(Subsequent myocardial infarction of unspecified site)

I24 기타 급성 허혈성 심장 질환(Other acute ischaemic heart diseases)
-
제외:협심증(angina pectoris) (I20.-)
신생아의 일과성 심근 허혈(transient myocardial ischaemia of newborn)(P29.4)
I24.0 심근경색증을 유발하지 않은 관상동맥 혈전증(Coronary thrombosis not resulting in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증을 유발하지 않은 관상 색전증(Coronary embolismnot resulting in myocardial
infarction)(동맥, artery) (정맥, vein)
심근경색증을 유발하지 않은 관상 폐색(Coronary occlusion resulting in myocardial infarction)(동
맥, artery) (정맥, vein)
심근경색증을 유발하지 않은 관상 혈전색전증(Coronary thromboembolism resulting in myocardial
infarction)(동맥, artery) (정맥, vein)
제외:만성으로 명시되었거나 발병으로부터 4주(28일) 이상 지속기간의 기재가 있는 것(specified
as chronic or with a stated duration of more than 4 weeks(more than 28 days) from
onset)(I25.8)
I24.1 드레슬러 증후군(Dressler's syndrome)
심근경색후 증후군(Postmyocardial infarction syndrome)
I24.8 기타 형태의 급성 허혈성 심장 질환(Other forms of acute ischaemic heart disease)
관상동맥 부전(Coronary failure)
관상동맥 기능부전(Coronary insufficiency)
I24.9 상세불명의 급성 허혈성 심장 질환(Acute ischaemic heart disease, unspecified)
제외:허혈성 심장 질환(만성)(ischaemic heart disease (chronic)) NOS(I25.9)

I25 만성 허혈성 심장 질환(Chronic ischaemic heart disease)
-
제외: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NOS(I51.6)
I25.0 죽상경화성 심혈관 질환으로 기술된 것(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so described)
I25.1 죽상경화성 심장 질환(Atherosclerotic heart disease)
관상(동맥) 죽종(Cornary(artery) atheroma)
관상(동맥) 죽상경화증(Cornary(artery) atherosclerosis)
관상(동맥) 질환(Cornary(artery) disease)
관상(동맥) 경화증(Cornary(artery) sclerosis)
I25.2 오래된 심근경색증(Old myocardial infarction)
치유된 심근경색증(Healed myocardial infarction)
심전도 또는 기타 특수검사에 의해 진단된 과거의 심근경색증으로서 현재
증상이 없는 것(Past myocardial infarction diagnosed by ECG or other special investigation, but
currently presenting no symptoms)
I25.3 심장의 동맥류(Aneurysm of heart)
벽성 동맥류(Aneurysm mural)
심실성 동맥류(Aneurysm ventricular)
I25.4 관상동맥 동맥류(Coronary artery aneurysm)
후천성 관상동정맥 누출관(Coronary arteriovenous fistula, acquired)
제외 : 선천성 관상(동맥)동맥류(congenital coronary(artery) aneurysm)(Q24.5)
I25.5 허혈성 심근병증(Ischaemic cardiomyopathy)
I25.6 무증상성 심근허혈(Silent myocardial ischaemia)
I25.8 기타 형태의 만성 허혈성 심장 질환(Other forms of chronic ischaemic heart disease)
만성으로 명시되었거나 또는 기재된 지속기간이 발병으로부터 4주(28일) 이상인 I21-I22 및 I24.-의
모든 병태(Any condition in I21-I22 and I24.- specified as chronic or with a stated duration of
more than 4 weeks(more than 28 days) from onset)
I25.9 상세불명의 만성 허혈성 심장 질환(Chronic ischaemic heart disease, unspecified)
허혈성 심장 질환(만성)(Ischaemic heart disease(chronic)) NOS

J45 천식(Asthma)
-
제외:급성 중증 천식(acute severe asthma)(J46)
만성(폐쇄성) 천식성 기관지염(chronic asthmatic (obstructive) bronchitis)(J44.-)
만성 폐쇄성 천식(chronic obstructive asthma)(J44.-)
호산구성 천식(eosinophilic asthma)(J82)
외부요인에 의한 폐질환(lung diseases due to external agents)(J60-J70)
천식 지속상태(status asthmaticus)(J46)
J45.0 주로 알레르기성 천식(Predominantly allergic asthma)
알레르기성 기관지염(Allergic bronchitis) NOS
천식을 동반한 알레르기성 비염(Allergic rhinitis with asthma)
아토피성 천식(Atopic asthma)
외인성 알레르기성 천식(Extrinsic allergic asthma)
천식을 동반한 고초열(Hay fever with asthma)
J45.1 비알레르기성 천식(Nonallergic asthma)
특이체질성 천식(Idiosyncratic asthma)
내인성 비알레르기성 천식(Intrinsic nonallergic asthma)
J45.8 혼합형 천식(Mixed asthma)
J45.0 및 J45.1에 기입된 병태의 합병(Combination of conditions listed in J45.0 and J45.1)
J45.9 상세불명의 천식(Asthma, unspecified)
천식성 기관지염(Asthmatic bronchitis) NOS
만기발병 천식(Late-onset asthma)

M06 기타 류마토이드 관절염(Other rheumatoid arthritis)(540∼541쪽의 부위별 분류번호참조)
-
M06.0 혈청검사 음성인 류마토이드 관절염(Seronegative rheumatoid arthritis)
M06.1 성인 발병성 스틸병(Adult-onset Still's disease)
제외:스틸병(Still's disease) NOS(M08.2)
M06.2 류마토이드 점액낭염(Rheumatoid bursitis)
M06.3 류마토이드 소결절(Rheumatoid nodule)
M06.4 염증성 다발성 관절병증(Inflammatory polyarthropathy)
제외:다발성 관절염증(polyarthritis) NOS(M13.0)
M06.8 기타 명시된 류마토이드 관절염(Other specified rheumatoid arthritis)
M06.9 상세불명의 류마토이드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unspecified)

M08 연소자성 관절염(Juvenile arthritis)(540∼541쪽의 부위별 분류번호 참조)
-
포함:16세이전에 발병하여 3개월이상 지속되는 소아의 관절염(arthritis in children, with onset
before 16th birthday and lasting longer than 3 months)
제외:펠티 증후군(Felty's syndrome)(M05.0)
연소자성 피부근염(juvenile dermatomyositis)(M33.0)
M08.0 연소자성 류마토이드 관절염(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류마토이드 인자와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는 연소자성 류마토이드 관절염(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with or without rheumatoid factor)
M08.1 연소자성 강직성 척추염(juvenile ankylosing spondylitis)
제외 : 성인에 있어서의 강직성 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in adults)(M45)
M08.2 전신적으로 발병된 연소자성 관절염(Juvenile arthritis with systemic onset)
스틸 병(Still's disease) NOS
제외 : 성인 발병성 스틸병(Adult-onset Still's disease)(M06.1)
M08.3 (혈청검사 음성인) 연소자성 다발성 관절염(Juvenile polyarthritis (seronegative))
만성 연소자성 다발성 관절염(Chronic juvenile polyarthritis)
M08.4 소수관절의 연소자성 관절염(Pauciaticular juvenile arthritis)
M08.8 기타 연소자성 관절염(Other juvenile arthritis)
M08.9 상세불명의 연소자성 관절염(Juvenile arthritis, unspecified)

N92 과다, 빈발 및 불규칙 월경(Excessive, frequent and irregular menstruation)
-
제외:폐경기후 출혈(postmenopausal bleeding)(N95.0)
N92.0 규칙적 주기를 가진 과다 및 빈발월경(Excessive and frequent menstruation with regular cycle)
다량 주기(Heavy periods) NOS
월경과다(Menorrhagia) NOS
빈발월경(Polymenorrhoea)
N92.1 불규칙적 주기를 가진 과다 및 빈발월경(Excessive and frequent menstruation with irregular cycle)
불규칙적인 월경간 출혈(Irregular intermenstrual bleeding)
월경 출혈간 불규칙, 짧아진 간격(Irregular, shortened intervals between menstrual bleeding)
과다부정 자궁출혈(Menometrorrhagia)
부정 자궁출혈(Metrorrhagia)
N92.2 사춘기때의 과다 월경(Excessive menstruation at puberty)
월경 주기 시작과 관련된 과다 출혈(Excessive bleeding associated with onset of menstrual
periods)
사춘기성 월경과다(Pubertal menorrhagia)
사춘기성 출혈(Puberty bleeding)
N92.3 배란 출혈(Ovulation bleeding)
규칙적 월경간 출혈(Regular intermenstrual bleeding)
N92.4 폐경기전 시기의 과다 출혈(Excessive bleeding in the premenopausal period)
갱년기성 월경과다 또는 부정자궁출혈(Climacteric menorrhagia or metrorrhagia)
폐경기성 월경과다 또는 부정자궁출혈(Menopausal menorrhagia or metrorrhagia)
갱년기전성 월경과다 또는 부정자궁출혈(Preclimacteric menorrhagia or metrorrhagia)
폐경기전성 월경과다 또는 부정자궁출혈(Premenopausal menorrhagia or metrorrhagia)
N92.5 기타 명시된 불규칙 월경(Other specified irregular menstruation)
N92.6 상세불명의 불규칙 월경(Irregular menstruation, unspecified)
불규칙 출혈(Irregular bleeding) NOS
불규칙 주기(Irregular periods) NOS
제외 : 길어진 간격 또는 소량출혈을 동반한 불규칙 월경(irregular menstruation with lengthened
intervals or scanty bleeding)(N91.3-N91.5)
짧아진 간격 또는 과다출혈을 동반한 불규칙 월경(irregular menstruation with shortened
intervals or excessive bleeding)(N92.1)

O32 태아의 알려진 또는 의심되는 태위장애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known or suspected
malpresentation of fetus)
-
포함:산모의 관찰, 입원 또는 기타 산과적 관리, 또는 분만 시작 전의 제왕 절개를 요하는 병태(the
listed conditions as a reason for observation, hospitalization or other obstetric care of the
mother, or for Caesarean section before onset of labour)
제외:난산과 관련나열된 병태(the listed conditions with obstructed labour)(O64.-)
O32.0 불안정위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unstable lie)
O32.1 둔위 태위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breech presentation)
O32.2 횡위 또는 사위 태향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transverse and oblique lie)
사위 태위(Oblique presentation)
횡위 태위(Transverse presentation)
O32.3 안면, 이마 및 턱 태위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face, brow and chin presentation)
O32.4 만기의 상위 두부에 대한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high head at term)
골반상협부 가장자리로 두부의 진입 실패(Failure of head to enter pelvic brim)
O32.5 하나 이상의 태아의 이상태위를 동반한 다태 임신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multiple gestation
with malpresentation of one fetus or more)
O32.6 복합위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compound presentation)
O32.8 태아의 기타 이상태위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other malpresentation of fetus)
O32.9 상세불명의 태아의 이상태위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malpresentation of fetus, unspecified)

O33 알려진 또는 의심되는 불균형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known or suspected disproportion)
-
포함:산모의 관찰, 입원 또는 기타 산과적 관리 또는 분만시작 전의 제왕 절개를 요하는 나열된
병태(the listed conditions as a reason for observation, hospitalization or other obstetric
care of the mother, or for caesarean section before onset of labour)
제외:난산과 관련된 나열된 병태(the listed conditions with obstructed labour)(O65-O66)
O33.0 모성 골반 뼈의 변형으로 인한 불균형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disproportion due to deformity
of maternal pelvic bones)
불균형을 초래하는 골반 변형(Pelvic deformity causing disproportion) NOS
O33.1 균등협착 골반으로 인한 불균형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disproportion due to generally
contracted pelvis)
불균형을 초래하는 협착된 골반(Co을 초래하는 (골반)출구 협착(Outlet contraction (pelvis) causing disproportion)
O33.4 혼합성 모성 및 태아 기원성 불균형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disproportion of mixed maternal
and fetal origin)
O33.5 비정상적 거대 태아로 인한 불균형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disproportion due to unusually
large fetus)
정상적으로 형성된 태아를 갖는 태아 기원성 불균형(Disproportion of fetal origin with normally
formed fetus)
태아 불균형(Fetal disproportio

O34 골반 기관의 알려진 또는 의심되는 비정상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known or suspected
abnormality of pelvic organs)
-
포함:산모의 관찰, 입원 또는 기타 산과적 관리 또는 분만 시작 전의 제왕 절개를 요하는 나열된
병태(the listed conditions as a reason for observation, hospitalization or other obsteric care
of the mother, or for caesareasection before onset of labour)
제외:난산과 관련된 나열된 병태(the listed conditions with obstructed labour)(O65.5)
O34.0 자궁의 선천성 기형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congenital malformation of uterus)
이중 자궁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double uterus)
쌍각 자궁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uterus bicornis)
O34.1 자궁체부 종양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tumour of corpus uteri)
자궁체부 용종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polyp of corpus uteri)
자궁 근종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uterine fibroid)
제외:자궁 경부 종양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tumour of cervix)(O34.4)
O34.2 이전의 외과수술로 인한 자궁 반흔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due to uterine scar from previous
surgery)
이전의 제왕절개로 인한 반흔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scar from previous Caesarean section)
제외 : 이전의 제왕절개에 이은 질 분만(vaginal delivery following previous caesarean section)
NOS(O75.7)
O34.3 자궁 경관 무력증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cervical incompetence)
자궁 경관 무력증의 언급에 상관없는 자궁경부봉축술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cerclage with
or without mention of cervical incompetence)
자궁 경관 무력증의 언급에 상관없는 쉬로드카법 봉합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Shirodkar
suture with or without mention of cervical incomptence)
O34.4 자궁 경부에 기타 이상이 있는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other abnormalities of cervix)
자궁 경부의 용종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polyp of cervix)
자궁 경부의 이전의 외과수술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surgery to cervix)
자궁 경부의 협착 또는 협착증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stricture or stenosis of cervix)
자궁 경부 종양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tumour of cervix)
O34.5 임신 자궁에 기타 이상이 있는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other abnormali-ties of gravid uterus)
임신자궁의 감돈증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incarceration of gravid uterus)
임신자궁의 탈출증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prolapse of gravid uterus)
임신자궁의 후경증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retroversion of gravid uterus)
O34.6 질 이상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abnormality of vagina)
질의 이전 외과수술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previous surgery to vagina)
협착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stenosis of vagina) (후천성, acquired)(선천성, congenital)
질 협착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stricture of vagina)
질 종양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tumour of vagina)
제외 : 임신중 질 정맥류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vaginal varices in pregnancy)(O22.1)
O34.7 외음부 및 회음부 이상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abnormality of vulva and perineum)
회음부 섬유증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fibrosis of perineum)
회음부 또는 외음부의 이전 외과수술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previous surgery to perineum
or vulva)
경직 회음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rigid perineum)
외음부 종양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tumour of vulva)
제외:임신중 회음부 및 외음부 정맥류의 산모 관리(maternal care for perineal and vulval varices
in pregnancy)(O22.1)
O34.8 골반 기관의 기타 이상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other abnormalities of pelvic organs)
방광류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cystocele)
(이전의)골반 바닥 교정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pelvic floor repair(previous))
수하 복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pendulous abdomen)
직장류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rectocele)
경직 골반 바닥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rigid pelvic floor)
O34.9 상세불명의 골반 기관 이상의 산모관리(Maternal care for abnormality of pelvic organ, unspecified)

O42 양막의 조기 파열(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
O42.0 진통 시작 24시간내 양막의 조기파열(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onset of labour within
24 hours)
O42.1 진통 시작 24시간후 양막의 조기파열(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onset of labour after 24
hours)
제외:치료에 의해 지연된 진통의 경우(with labour delayed by therapy)(O42.2)
O42.2 치료에 의해 지연된 진통, 양막의 조기 파열(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labour delayed by
therapy)
O42.9 상세불명의 양막의 조기 파열(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unspecified)

O60 조기 분만(Preterm delivery)
-
임신 37주 전 분만의 (자연적) 시작(Onset (spontaneous) of delivery before 37 completed weeks
of gestation)

O71 기타 산과적 외상(Other obstetric trauma)
-
포함 : 기기에 의한 손상(damage from instruments)
O71.0 진통 시작 전의 자궁 파열(Rupture of uterus before onset of labour)
O71.1 분만중 자궁 파열(Rupture of uterus during labour)
진통 시작 전에 발생한 것이라 기재되지 않은 자궁 파열(Rupture of uterus not stated as occurring
before onset of labour)
O71.2 분만후의 자궁내반증(Postpartum inversion of uterus)
O71.3 자궁경부의 산과적 열상(Obstetric laceration of cervix)
자궁경부의 윤상 박리(Annular detachment of cervix)
O71.4 단독 산과적 상부 질 열상(Obstetric high vaginal laceration alone)
회음부 열상의 언급이 없는 질벽의 열상(Laceration of vaginal wall without mention of perineal
laceration)
제외:회음부 열상을 동반한 경우(with perineal laceration)(O70.-)
O71.5 골반 기관에 대한 기타 산과적 손상(Other obstetric injury to pelvic organs)
방광에 대한 산과적 손상(Obstetric injury to bladder)
요도에 대한 산과적 손상(Obstetric injury to urethra)
O71.6 골반 관절 및 인대에 대한 산과적 손상(Obstetric damage to pelvic joints and ligaments)
산과적 내치골 결합연골의 적출(Obstetric avulsion of inner symphyseal cartilage)
산과적 미골손상(Obstetric damage to coccyx)
산과적 (치골)결합의 외상성 분리(Obstetric traumatic separation of symphysis(pubis))
O71.7 골반의 산과적 혈종(Obstetric haematoma of pelvis)
회음부의 산과적 혈종(Obstetric haematoma of perineum)
질의 산과적 혈종(Obstetric haematoma of vagina)
외음부의 산과적 혈종(Obstetric haematoma of vulva)
O71.8 기타 명시된 산과적 외상(Other specified obstetric trauma)
O71.9 상세불명의 산과적 외상(Obstetric trauma, unspecified)

P20 자궁내 저산소증(Intrauterine hypoxia)
-
포함:비정상 태아 심박동(abnormal fetal heart rate)
태아 또는 자궁내산증(fetal or intrauterine acidosis)
태아 또는 자궁내 무산소증(fetal or intrauterine anoxia)
태아 또는 자궁내질식(fetal or intrauterine asphyxia)
태아 또는 자궁내곤란(절박가사)(fetal or intrauterine distress)
태아 또는 자궁내저산소증(fetal or intrauterine hypoxia)
양수내 태변(meconium in liquor)
태변의 배출(passage of meconium)
제외:무산소증 또는 저산소증으로 인한 두개강내 출혈(intracranial haemorrhage due ro anoxia
or hypoxia)(P52.-)
P20.0 진통 시작 전에 처음으로 발견되는 자궁내 저산소증(Intrauterine hypoxia first noted before onset
of labour)
P20.1 진통 및 분만중 처음으로 발견되는 자궁내 저산소증(Intrauterine hypoxia first noted during labour
and delivery)
P20.9 상세불명의 자궁내 저 산소증(Intrauterine hypoxia, unspecified)

R96 기타 원인 미상의 급사(Other sudden death, cause unknown)
-
제외 : 심장성 급사라고 기술된 것(sudden cardiac death, so described)(I46.1)
영아 급사 증후군(sudden infant death syndrome)(R95)
R96.0 순간적 사망(Instantaneous death)
R96.1 다른 설명없이 증상의 발생으로부터 24시간 이내에 일어난 사망(Death occurring less than 24 hours
from onset of symptoms, not otherwise explained)
아무 원인도 발견할 수 없고 횡사 또는 즉사가 아닌 사망(Death known not to be violent or
instantaneous for which no cause can be discovered)
질병의 징후없는 죽음(Death without sign of disease)

VOT(음성유발시간: Voice Onset Time)
VTT(음성종료시간: Voice Termination Time)


검색결과는 98 건이고 총 897 라인의 자료가 출력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